北, 기어이 미사일 도발 감행했지만 초기 폭발…신형 ICBM 추정

북한이 11일 만에 탄도미사일을 쐈지만 발사 직후 미사일이 폭발하며 실패했다. 북한의 미사일 도발은 올 들어서만 10번째로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당선 후 처음이다. 이 미사일은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시험발사였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한·미의 거듭된 경고에도 북한이 미사일 발사를 감행하며 한반도 정세가 크게 얼어붙을 전망이다.

北, ICBM 발사하려 했을 가능성

북한이 2020년 11월 노동당 창건 기념 열병식에서 처음 공개한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17형'./ 연합뉴스
합동참모본부는 16일 “북한이 오전 9시30분경 순안 일대에서 미상 발사체를 발사했으나 발사 후 실패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한·미 정보당국에서 추가 분석 중”이라고 발표했다. 이 미사일은 발사 초기 단계인 고도 20㎞ 이하에서 공중폭발한 것으로 알려졌다. 군 당국은 해당 미사일을 탄도미사일로 추정하고 있다. 미국 인도·태평양사령부는 이날 즉각 성명을 발표하고 “북한이 오늘 탄도미사일을 발사했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며 “한국, 일본을 비롯한 역내 동맹국·파트너들과 긴밀히 협의 중”이라고 밝혔다.

군 당국은 이번 미사일이 기존에 진행한 미사일과 같은 것이라 추정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미가 ‘레드라인’으로 설정한 ICBM 관련 발사일 가능성이 높다는 뜻이다. 북한은 지난달 27일과 지난 5일 이번 발사와 같은 장소인 평양 순안비행장서 궤적을 속여 신형 ICBM ‘화성-17형’ 성능 시험 발사를 진행한 바 있다. 앞서 한·미 군 당국은 이르면 이번주 중 북한이 화성-17형의 최대 사거리 발사를 할 것으로 예상을 내놨는데, 북한이 이날 화성-17형을 고각으로 발사해 최대 사거리를 시험하려 했지만 실패했을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북한이 이날 미사일 발사에는 실패했지만 새 정부 출범을 앞두고 향후 협상을 위한 ‘몸값’을 올리기 위해 오히려 더 많은 무력 도발에 나설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북한은 지난 2017년 5월 중거리탄도미사일(IRBM) ‘화성-12형’ 시험발사에 처음 성공했는데, 전달인 4월에 약 열흘 간격으로 3차례에 걸쳐 쏜 같은 미사일은 모두 공중 폭발하며 실패했다. 북한은 발사에 성공한 이후에도 같은해 8월과 9월 두 차례에 걸쳐 일본 상공을 가로질러 북태평양 해상으로 최대 비행거리(약 5000㎞)에 근접하게 발사했다.

한미, '북폭' 훈련 재개도 검토

한미가 북한의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추가 발사 동향을 예의주시하는 가운데 주한미군이 요격미사일의 전개·배치 훈련 내용을 이례적으로 공개했다. 주한미군은 지난 15일 35방공여단이 정해진 모의 전투 상황에서 요격용인 패트리엇 지대공 미사일을 특정 장소로 전개하고 대공 및 미사일 작전을 수행하는 등의 전개 및 재배치 훈련이 실시됐다고 밝혔다./ 주한미군 제공
미국의 대북 압박 수위도 올라가고 있다. 미군 7함대사령부는 15일(현지시간) 핵추진 항공모함 ‘에이브러햄 링컨함’에서 스텔스 다목적 전투기 F-35C, 주력 전투기인 F/A-18 호넷 등이 출격하는 모습을 공개하고 서해상에서 장거리 비행을 했다고 밝혔다. 미 7함대가 항모 공중 훈련 실시 장면을 공개한 것은 매우 이례적이다. 7함대사령부는 “북한의 ICBM 발사는 다수의 유엔 안보리 결의와 국제적 공약을 뻔뻔하게 위반한 것”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한국군도 군사적 대응을 시사하기 시작했다. 정부 고위 소식통에 따르면 한·미 군 당국은 북한이 ICBM 도발을 감행할 경우 4년여간 중단됐던 미군의 장거리 폭격기가 참여하는 ‘블루 라이트닝’ 훈련을 재개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한·미는 탄도탄 추적요격훈련도 강화하고 맞대응 차원에서 탄도미사일 발사도 준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한·미는 북한이 2017년 7월 ICBM ‘화성-14형’을 발사했을 때도 각각 탄도미사일 현무-IIA와 에이태큼스(ATACMS) 미사일을 발사하며 대북 경고 메시지를 보낸 바 있다. 박원곤 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는 “북한은 정상국가와는 다른 미사일 개발 패턴을 보이기 때문에 4월15일 김일성 생일 전까지는 추가 도발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송영찬 기자 0ful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