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주총서 "메타버스와 로봇을 신성장 동력으로 삼겠다"

한종희 삼성전자 부회장 "신성장 동력 메타버스와 로봇서 찾겠다"
"AI·5G·전장 분야 M&A도 적극 검토"
GOS 성능저하 논란 사과 “고객 마음 못 헤아렸다”
한종희 삼성전자 대표이사 부회장(DX부문장)이 16일 오전 경기도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53기 삼성전자 정기주주총회에서 인사말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삼성전자가 로봇과 메타사업을 신성장 사업으로 적극 육성하기로 했다. 인공지능(AI) 5G 자동자 전자장비 부문 인수합병(M&A)도 추진하기로 했다.

한종희 삼성전자 부회장은 16일 수원시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주주총회에서 "신사업 발굴의 첫 행보는 로봇 사업"이라며 "로봇을 고객 접점의 새로운 기회 영역으로 생각하고, 전담 조직을 강화해 로봇을 신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메타버스에 대해선 "메타버스 등 신성장 사업을 적극 개발할 계획으로, 고객이 언제 어디서든지 메타버스 경험을 할 수 있게 최적화된 메타버스 디바이스와 솔루션을 개발하겠다"고 설명했다.

○로봇·메타버스 기기 출시 예고

삼성전자는 그간 새로운 성장동력 사업이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전장업체인 하만을 인수한 이후 이렇다할 M&A 소식도 없어 경쟁업체에 비해 미래 사업 대비에 소홀하다는 평가도 있었다.

한 부회장이 로봇과 메타버스를 신성장사업으로 언급한 것도 그런 점을 의식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그는 "회사는 중장기적으로 기존 사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신성장 동력 육성 발굴도 병행해 지속 성장하는 사업 포트폴리오를 구축할 것"이라고도 설명했다.

이미 삼성전자는 2020년 말 조직개편에서 로봇사업화TF를 신설했다. 지난해 말에는 조직개편을 통해 로봇사업팀으로 격상시키기도 했다. 한 부회장은 "다양한 영역에서 로봇 기술을 축적해 미래 세대가 '라이프 컴패니언' 로봇을 경험할 수 있도록 앞장설 방침"이라고 밝혔다. 지난 1월 열린 세계 최대 가전·IT 전시회 'CES 2022'에서 인터랙션 로봇인 '삼성 봇 아이'와 가사 보조 로봇인 '삼성 봇 핸디' 2종을 선보이기도 했다. 메타버스 기기 출시도 진행 중이다. 업계에서는 AR(증강현실) 등을 체험할 수 있는 글래스를 비롯한 관련 제품들을 선보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한 부회장은 지난달 말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막한 세계 최대 이동통신 전시회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 2022' 전시장에서 한국 기자들과 만나 "메타버스 기기를 준비하고 있다"면서 "메타버스 플랫폼 디바이스가 요즘의 화두로, 잘 준비하고 있으니 기대해 달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한 부회장은 삼성전자의 M&A 관련해선 "현재 대내외 불확실성으로 M&A 실행 시기를 특정하기 어렵다"면서 "회사의 지속 성장과 주주가치 제고에 도움이 된다면 사업 영역이나 규모에 제한을 두지 않고 있으며 인공지능, 5G 전장 등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수 있는 다양한 분야에 대해 적극적으로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다.

○주주들 송곳질문에 진땀

삼성전자 주주 506만명 가운데 1600여명이 이날 주총 현장에 직접 참석했다. 삼성전자 주총 역사상 역대 최대 인원이다. 지난해 주총 참석인원 900명 보다도 약 두배가까이 많은 숫자였다.

2030 세대의 주주들도 여럿 눈에 띄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소액주주 수가 2020년 말 약 215만명에서 지난해 말 504만명(보통주 기준)으로 급증하면서 젊은 주주들의 주총 참여가 늘었다"고 설명했다.

이날 경영진들은 주주들의 송곳질문으로 경영진이 진땀을 빼기도했다. 한 주주가 삼성전자 스마트폰 갤럭시S22의 게임 성능을 강제로 저하하는 '게임 옵티마이징 서비스'(GOS) 논란에 대해 사과의향이 있는지를 묻자 한 부회장은 단상 앞으로 나와 90도로 고개를 숙였다. 그는 이어서 "고객 여러분 마음을 처음부터 헤아리지 못한 점에 대해 다시 한번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또 "GOS는 게임들의 다양한 특성을 반영해 스마트폰 성능을 최적화하는 의도로 기획했다"며 "고사양 게임은 장시간 일관성 있는 성능이 중요하다고 판단해 게임에 지장이 없다고 판단한 적정 한도까지 CPU(중앙처리장치), GPU(그래픽처리장치)의 성능을 제한해 발열은 최소화하고 대신 일관성 있는 성능을 제공하고자 했다"고 해명했다.한 부회장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관련, 러시아 철수 가능성을 묻는 질의에 대해선 "현재 러시아에 대한 제품 공급은 중단한 상태"라며 "앞으로도 (우크라이나 사태가) 사업에 끼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게 다양한 방면의 컨틴전시 플랜을 만들어 면밀히 대처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신영 기자 nyus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