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가 어느 땐데…"종량제 봉투는 현금만 받아요" 이유 봤더니 [박한신의 커머스톡]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쓰레기종량제 봉투 사러갔다가 기분 상한 적 있는 소비자들이 적지 않을 것 같습니다. 편의점이나 슈퍼마켓에서 파는 종량제 봉투를 사러가면 '현금 결제'를 요구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인데요. 요즘은 현금을 가지고 다니지 않는 소비자들이 많은데다 종량제 봉투는 온라인으로는 살 수도 없으니 현금결제 요구가 낭패일 수밖에 없죠.

그렇다면 왜 유독 종량제 봉투는 현금결제만 받는 경우가 많을까요. 이유가 있습니다. 편의점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편의점에서 파는 다른 상품은 가맹점주들이 본사에 일괄적으로 발주한 뒤 배송 받아 판매하는 구조인데요. 종량제 봉투는 아닙니다. 가맹점주들이 구청 등 지방자치단체에 직접 구매요청을 해서 받아와야 합니다.판매 이전 단계인 조달방식부터 이원화되는 번거로움이 생기는 셈입니다. 굳이 종량제 봉투를 구비해놓지 않는 점주들이 많은 이유죠. 구청으로부터 봉투를 가져와도 본사 조달이 아니기 때문에 바코드 생성 등 카드 결제를 위한 절차가 매우 번거롭다고 합니다. 점주로서는 이 과정에서 또 '귀찮은데 현금만 받자'라는 생각이 들기 쉽습니다.

그렇다고 종량제 봉투가 이윤이 많이 남는 상품일까요. 전혀 아니었습니다. 각 지자체마다 봉투 가격이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점주가 가져가는 종량제 봉투 마진 비율은 6~10% 수준이라고 합니다. 다른 제품보다 훨씬 낮습니다. 여기에서 3% 가량의 카드 수수료를 떼면 남는 게 없다는 것이죠.
예를 들어 20리터 봉투 10장을 구매하면 5000원 정도 매출이 생기는데요, 마진이 10%라고 가정해도 500원이 남습니다. 카드 수수료 3%(150원)을 제하면 350원입니다. 종량제 봉투는 면세상품이니 세금은 없지만, 350원의 이익을 다시 본사와 나눠야 합니다. 대략 점주가 8, 본사가 2입니다. 결국 10장 팔면 280원 남는 겁니다. 봉투가 붙어 있어 수량을 잘 못 세거나 분실 등이 일어나면 역마진 보기 쉬운 셈이죠.결국 종량제 봉투는 구비하는 것 자체가 소비자 편의를 위한 서비스 차원이거나, 다른 상품 구매를 유도하기 위한 미끼 상품밖에는 안된다는 얘깁니다. 다른 상품과 같이 사면 카드결제를 받기도 하는 이유입니다.

재미있는 것은 일부 지자체 또한 점주들에게 봉투를 팔 때 현금만 받는 경우가 많다는 점입니다. 자신들도 남는 게 없기 때문이라는 이유인데요, 실물 현금을 받으면 관리가 어려우니 계좌이체를 요구하기도 한다네요. 그런데 그럴 거면 차라리 종량제봉투 가격 체계를 근본적으로 바꿔야 하지 않을까요?

박한신 기자 ph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