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 용산 이전] 용산 집무실 어떤 모습…관저는 한남동 공관으로(종합)

비서실에 기자실까지 한 건물로…민관 회의실 늘리고 전면에 시민공원
'소통' 강조 백악관 웨스트윙 모델로…尹 "공원 잔디밭서 결혼식도"
尹측 "내주 예비비 승인되면 3말 국방부→합참 이동, 4말 리모델링 완료"

'용산시대'를 열게 된 새 대통령실 공간은 어떤 모습일까.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취임 후 집무실을 서울 용산구 국방부 청사로 옮기는 계획을 확정하면서 그에 따른 집무실과 주변 공간 구성 방안에 관심이 쏠린다.
◇ 1층에 기자실, 비서실 줄이고 빈자리는 민관 회의실로…"프레스룸 자주 가겠다"
윤 당선인과 인수위 측이 20일 기자회견에서 발표한 내용을 종합하면 국방부 청사 건물에는 대통령 집무실, 비서실과 함께 기자실이 들어선다.

기존 국방부 청사 건물은 총 10개 층으로 이뤄져 있다. 기자실 이외에 대통령 집무실이나 비서실이 어디로 갈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언급이 없었지만, 기존 장·차관실이 있던 2층 공간을 활용하는 방안을 청와대 이전 태스크포스(TF)에서 유력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새 집무실 가까이에 비서실장을 비롯해 정무·공보를 맡은 비서진들의 업무 공간을 두고, 민관 합동 위원회도 같은 건물에 입주시켜 수시로 회의를 열겠다는 게 윤 당선인의 구상이라는 것이다.

여기에 기자실을 1층에 둠으로써 국민과의 소통에도 한층 강력한 의지를 피력한 것으로 해석된다. 윤 당선인은 이날 회견에서 "물리적 공간의 문제보다 더 중요한 것은 소통의 의지라는 점을 잘 알고 있다"며 "집무실 1층에 프레스센터(기자실)를 설치해서 수시로 언론과 소통하는 대통령이 되겠다"고 말했다.

기존 청와대 경내에 대통령 집무실이 있는 본관과 비서실(여민관), 기자실에 해당하는 춘추관 등이 모두 별개 동으로 떨어져 있는 것과 차별화를 시도하는 모습이다.

대통령 집무실인 오벌 오피스와 나란히 내각 회의실, 부통령실, 비서실장실, 대변인실, 국가안보보좌관실, 프레스룸 등이 배치된 미국 백악관 집무동 '웨스트 윙'의 수평적 구조를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 이는 윤 당선인이 그동안 강조해 온 '청와대 조직 슬림화' 구상과도 맞닿아 있다.

앞서 제2부속실, 수석비서관제 폐지 등을 공약한 윤 당선인은 이날도 "청와대 비서동이 지금 3개 동인데, (새 대통령실은) 그것을 합친 것보다는 작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일단 청와대 직원 수는 줄이고 (나머지 공간에는) 민관합동위원회의 사무국, 회의실을 많이 만들(겠다)"라고 덧붙였다.

경륜이 있는 외부전문가들이 한 건물에서 정부 인사들과 회의를 하고 의사결정 과정에 더 활발하게 참여하는 구조를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윤 당선인은 1층의 프레스룸에 자주 가겠다며 소통 의지를 강조했다.
◇ 당분간 한남동서 출퇴근…집무실 부지內 관저·영빈관 신축도 차후 검토
5월 10일 취임식 직후 용산 집무실에 입주하겠다는 구상에 따라 임시 관저는 한남동 육군참모총장 공관을 리모델링 해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청와대 이전 TF 팀장인 국민의힘 윤한홍 의원은 설명했다.

윤 당선인은 관저 문제와 관련해 "(당장은 한남동) 공관을 수리해서 들어가는데 장기적으로는 이 구역(국방부 부지) 안에 관저나 외부 손님들을 모실 수 있는 시설들을 만드는 것이 좋지 않겠나 생각을 한다"고 설명하면서도 "지금은 그것(관저 신축)까지는 고려하고 있지 않다"고 덧붙였다.

관저로 활용이 유력한 한남동 공관과 국방부 청사 건물까지 출퇴근길 이동에는 교통통제 시 차량으로 3∼5분가량이 소요될 것으로 당선인 측은 예상하고 있다.

이와 관련 윤한홍 의원은 관저 신축과 관련, "아직 검토는 안 했다"라면서도 "대통령이 밖에서 출퇴근하는 게 교통통제라든지 계속 불편이 야기된다면 집무실 근처에 관저가 있는 게 맞지 않느냐 하는 검토는 있었다"고 부연했다.

영빈관의 경우 앞서 국방컨벤션센터, 전쟁기념관, 국립중앙박물관 등이 다양한 후보지로 거론돼 왔다.

윤 당선인은 그러나 이날 회견에서 주한미군으로부터 반환을 앞둔 용산공원 부지 내에 영빈관 격의 건물을 새로 건립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그는 장기적인 구상으로 "용산공원이 우리에게 반환이 되면 그쪽에다가 (미국) 워싱턴에 있는 블레어하우스 같은 것을 건립하는 방안도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용산공원 조성 및 새 건물 완공 전까지는 기존 청와대 영빈관이나 본관 건물을 활용하는 방안도 있다고 언급했다.

그는 "물론 이 안(국방부 부지)에도 국방컨벤션 등이 있지만, 외국 귀빈을 모셔야 한다고 하면 (청와대 부지를) 공원으로 개방하더라도 저녁 국빈만찬 같은 행사 때 쓸 수 있지 않겠나"라고 설명했다.
◇ 집무실 일대 100만평 시민에 개방…"추가 군사시설·고도제한 없을 것"
집무실 우측과 남측 전면에 자리할 용산공원 조성 계획도 관심 포인트다.

현재 용산기지 부지는 전체 반환 예정 부지(203만㎡)의 약 10%인 21만8천㎡ 정도가 반환된 상태다.

이를 대통령 집무실 예정지 앞 부지를 포함, 올해 중으로 4분의 1까지 반환을 조속히 마무리해 시민공원 조성에 속도를 내겠다는 방침이다.

윤 당선인이 이날 회견장에서 직접 공개한 조감도를 보면 새 대통령 집무실(현 국방부 청사)을 중심으로 앞마당에 공원이 조성돼 있고, 우측으로 근무지원단, 좌측에 합동참모본부 건물이 자리했다.

국방부 장관실을 포함한 기존의 국방부 내 주요 업무공간은 합동참모본부 건물을 함께 사용하게 된다는 설명이다.

윤 당선인은 특히 이같은 '용산공원' 조성안과 관련해 "서울에 과거에 이런 공원이 없었다"면서 "여기(용산 부지)는 공원을 이렇게 (조성) 하게 되면 잔디밭에서 결혼식도 할 수 있다"라고도 말했다.

이어 집무실 건물 부지부터 전쟁기념관 일대로 이어지는 공간을 전부 합치면 전체 100만평 규모에 이른다며 "이제 청와대란 없다"라고 강조했다.

공원에는 잔디밭이 펼쳐져 있고 주변을 나무가 에워싸고 있는 모습으로, 공원에서 대통령 집무실이 있는 국방부 청사까지 펜스나 담장은 보이지 않았다.

개방된 구조를 부각하는 형태로 보이나, 대통령 집무실 주변으로 집회·시위에 따른 공원 이용객의 불편이나, 경호상 위험 등에 대한 지적도 나온다.

관저나 영빈관 건물은 현재 조감도 상에 나타나 있지 않다.

한편, 용산 집무실 설치에 따른 추가적인 주민 불편은 없을 것이라는 게 당선인 측 설명이다.

집무실 이전 계획과 관련해 배포한 설명자료에서 국방부와 합참 시설 등 군사시설 방어를 위해 설치된 기존 대공방어체계 이상으로 용산 주변과 남산 일대에 추가적인 방공포대를 설치하거나 군사시설을 구축할 필요는 없으며, 고도 제한도 그대로 유지된다고 밝혔다.

◇ 5·10 입주 타임라인은…이사비용 468억원, 3말 국방부 이사·4말 리모델링 완료
집무실 이전은 이달 말 국방부가 합참 건물로 이사를 완료하는 대로 청사 리모델링 작업에 착수, 4월 말까지 새 대통령실 공간을 완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후 경호처의 사전 준비 작업을 거쳐 윤 당선인은 5월 10일 취임식 당일부터 대통령 신분으로 집무실에서 업무를 개시한다는 계획이다.

한남동 임시관저도 같은 입주 일정을 목표로 한다.

당선인 측은 이같은 일정에 따른 이전 비용으로 약 469억 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이날 중으로 행정안전부와 기획재정부에 예비비를 요청한다며 "다음 주 국무회의 때 예비비(가) 의결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