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태형의 현장노트] '창극 리어'가 아닌 '배삼식의 리어'

'리어왕' 각색한 국립창극단 신작
작가의 해석·스타일 전면에 표출
정극 비중 높고 다양한 국악 사용
“…골짜기에 재잘대며/개울을 따라/달리고 장난치며/굽이치고 노래하며/때로 벼랑을 만나/아득히 떨어지며/하얗게 부서져/소리치며 솟구치다
/여울에 꿈을 꾸며/다시 흐르고 흘러 흘러//물이여/멀고 먼 길/너의 그 모든 노래/이제 잦아드는/저 가없는 바다…“
지난 22일 국립극장 달오름극장에서 개막한 ‘창극 리어’(사진)의 마지막 장면에 흐르는 코러스의 주요 대목입니다. 셰익스피어의 비극 ‘리어왕’을 작가 배삼식이 각색하고, 안무가 정영두가 연출한 국립창극단의 신작은 물로 시작해 물로 끝납니다.

코러스는 극을 여는 합창에서 “물이여, 리어여”라고 외칩니다. 어리석은 욕심에 고고한 셋째 딸 코딜리어를 내치고, 믿었던 두 딸에게 배신당하고, 그 충격에 미쳐서 광야를 헤매다. 극적으로 재회한 코딜리어를 골육상잔의 전쟁에서 잃고, 그 슬픔에 빠져 숨을 거두는 리어의 파란만장한 삶을 물에 빗댑니다. 여기서 물은 작가가 원작을 읽으며 떠올린, 대자연 속 다양한 형태로 순환하는 물의 모습입니다. 리어의 첫 대사인 “상선(上善)은 약수(若水)일러니 만물을 이(利)로이 하되 다투지 아니하고 모두가 저어하난 낮은 곳에 처(處)하는” 노자(老子)의 ‘물’이 아닙니다.상선약수, 천지불인(天地不仁) 등 ‘도덕경’ ‘노자’의 여러 구절이 인용되지만, 노자 사상은 극에 녹아들지 못합니다. 오히려 무대를 지배하는 대자연 속 물의 은유와 충돌합니다. 극에서 노자의 ‘물 철학’을 대변하는 인물은 리어가 아니라 어깨에 앉힌 새와 놀고, ‘귀거래(歸去來)’를 외치는 울버니(리어 장녀 거너릴의 남편)입니다. 원작과는 다르게 끝까지 처제(코딜리어)와 다투지 않고 뒤로 물러납니다. 이번 공연에선 원작처럼 처제가 프랑스 왕과 결혼해 프랑스군, 즉 외세를 끌고 오는 게 아니라, 지방 영주들을 모아 내전을 일으키는 것으로 설정돼 전쟁에 참여할 명분이 없기도 합니다. 울버니는 원작에선 막판 해결사로 나서지만 이런 설정 때문에 이번 극에선 끝까지 ‘못난이’(거너릴의 시점)로 겉돕니다. 노자의 ‘물 철학’처럼 말이죠. 마지막 코러스 중간에 독창으론 유일하게 울버니가 ‘귀거래’ 송을 다시 부르지만, 존재감이 약합니다.
연출은 작가의 ‘물 은유’를 충실하게 형상화합니다. 극 초반 무대 전체에 채워진 물은 높낮이와 흐름을 달리하며 인물의 심리와 작품의 정서를 드러냅니다. 작곡을 맡은 정재일은 물의 이미지를 표현한 배경음악을 초반에 깝니다. 이번 공연에선 음악극 각색에서 흔히 등장하는 코러스가 처음과 끝뿐 아니라 중간중간 개입하는데요. 무대 배경이 되기도 하는 등 비중이 높습니다. 하지만 극의 상황을 설명하고 서사를 이끌어가는 일반적인 역할보다는 시적인 ’물노래‘처럼 작품에 대한 작가의 해석을 객석에 직접 전달하는 데 치중합니다.

울버니와 코딜리어처럼 일부 장면과 캐릭터가 변형되고 압축됐지만, 극은 원작의 플롯을 거의 그대로 빼놓지 않고 촘촘히 따라갑니다. 그런데 서사는 주로 정통 연극 스타일의 대사와 연기로 진행됩니다. 그러다가 주요 인물의 노래나 코러스가, 나올 때쯤이다 싶으면 어김없이 등장합니다. 인물의 절절한 마음을 표출하는 판소리 창(唱)은 역시나 감동적입니다. 창뿐만 아니라 경기 민요와 국악가요 스타일의 노래도 나옵니다. 국악기와 양악기가 섞인 13인조 밴드는 각 노래 장르에 특성에 맞는 악기로 모나지 않게 반주합니다.유기적인 대본과 공들인 무대, 배우들의 열연 등 공연의 완성도는 뛰어납니다. 달오름극장에서 창극을 오래 하다 보니 공연장에 최적화된 음향을 들려줍니다. 하지만 대본도, 구성도, 연출도, 음악도 기존 음악극의 상투적인 기법과 관습에 의존합니다. 정극 비중이 높다 보니 창극이 아니라 창이 많이 들어간 음악극을 보는 느낌입니다.

작가의 전작 ‘트로이의 여인들’(2016년)이 보여준 창극 예술의 새로운 지평을 기대했다면 실망할 수도 있습니다. 물론 원작이 다르니 단순히 함께 놓고 보는 것은 무리겠지만, 전 세계에서 다양한 양식으로 재창작되는 고전들을 ’창극화‘한 것인 만큼 비교가 불가피한 측면도 있습니다.
‘트로이의 여인들’에선 도창과 마당 형식 등 창극적 요소가 서사를 이끌며 소리와 음악이 거의 끊이지 않고 흘렀습니다. 단출하고 현대적인 무대를 배경으로 판소리가 가진 서사의 힘과 소리의 표현력으로, 다시 말해 창극 예술로 그리스 고전의 내용을 감동적으로 표출했습니다. 당시 정재일 음악감독의 창의적인 시도도 인상적이었는데요. 캐릭터의 특색에 맞는 국악기를 하나씩 배치하고 다른 여인들과는 격이 다른 헬레나만 본인이 직접 무대에 올라 피아노를 치는 등 결이 다른 음악으로 표현해 감탄을 자아냈습니다. 판소리 양식을 쉬운 언어로 최대한 살리는 작가의 각색이 돋보였습니다.
.
’리어‘는 원작의 방대한 분량과 복잡한 서사를 다 살리다 보니 어쩔 수 없는 측면이 있겠지만 정극 양식이 바탕을 이룹니다. 80대 리어를 열연한 31세의 김준수는 소리 대목에선 공감을 자아내지만 정극의 대사와 연기에선 연륜과 공력의 부족을 드러냅니다.
여기에 작가 특유의 스타일과 해석이 전면에 드러납니다. 편견일 수도 있지만 작가가 즐기는 은유적 화법보다는 직설화법이 판소리 양식에 맞습니다. 원작에서 가장 인상적인 장면 중 하나는 두 딸에게 배신당한 리어가 폭풍우 치는 광야에서 비와 바람과 천둥과 번개에 맞서며 광기를 드러내는 모습입니다. 이번 공연에서 리어의 광기어린 독백을 판소리로 어떻게 표현해낼까 궁금했는데 코러스의 간접적 묘사와 장면 연출로 대체합니다. 판소리의 걸쭉한 직설적 입담을 기대했던 광대도 금방 뜻을 이해할 수 없는 비유 어법을 많이 사용합니다.한자성어와 일상적으로 잘 쓰이지 않은 단어가 가사와 대사에 많이 쓰입니다. 판소리 다섯 바탕의 사설과 비슷한 느낌을 줍니다, 하지만 이해하기 쉽지 않습니다. ‘다섯 바탕’ 창극 공연 중엔 한글 자막을 봐도 뜻을 몰라 함께 뜨는 영어 자막을 봐야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창작 창극에서도 그런 경험을 할 줄은 몰랐습니다. 창극 예술 양식의 확장보다는 퇴보로 보이는 요인들입니다. ‘창극 리어’보다는 ‘배삼식의 리어’로 평가하는 게 더 어울리는 공연입니다.

송태형 문화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