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키나와 미군기지는 냉전 산물…한국·대만 압박도 작용"
입력
수정
학술서 '오키나와 반환과 동아시아 냉전체제' 출간 오키나와는 일본 주요 섬 가운데 가장 남쪽에 있는 규슈와 대만 중간쯤에 있다. 역사적으로 류큐(琉球)라는 독립된 왕국이 존재했다.
지금은 날씨가 온화하고 바다가 예쁜 관광지로 명성이 높다.
올해로 오키나와가 일본으로 반환된 지 50주년이 됐다. 미국은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뒤 오키나와를 통치하다 1972년 5월 15일 일본에 돌려줬다.
하지만 오키나와에는 여전히 미국의 그림자가 짙게 드리워져 있다.
가장 큰 도시인 나하에서 북쪽으로 조금만 이동하면 거대한 미군 부대가 보인다. 일본 정부는 미군 기지를 오키나와섬의 다른 곳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지만, 해양환경 파괴를 우려하는 현지 주민의 반대로 논쟁이 이어지고 있다.
오키나와 문제를 연구해 온 나리타 지히로(成田千尋) 리쓰메이칸대 전문연구원은 신간 '오키나와 반환과 동아시아 냉전체제'에서 종전부터 반환까지 오키나와를 둘러싸고 벌어진 다양한 일을 분석해 미군 기지 존속이 냉전의 산물이었다고 주장한다.
저자는 미국과 일본이 1950년대까지는 오키나와의 잠재적 주권이 일본에 있으나 동아시아에서 긴장 상태가 유지된다면 미국이 배타적으로 통치하는 데 합의했다고 설명한다. 아울러 이승만 정권은 오키나와의 일본 반환을 반대하며 자치와 독립을 바랐다고 부연한다.
1960년대 베트남전쟁이 일어나면서 동아시아 정세가 급변했다.
저자는 당시 미국이 한일 국교 정상화 타결을 압박했고, 한국과 일본의 베트남전 협력을 끌어냈다고 짚는다.
오키나와는 미군 보급·출격 기지로 활용됐다.
저자는 1968년 미군 폭격기 B-52가 오키나와에 배치되면서 반전 움직임이 거세졌고, 미일 간 반환 교섭이 본격적으로 이뤄졌다고 말한다.
이어 반환 논의 과정에서 미국과 일본은 물론 한국, 대만, 북한, 중국의 복잡한 입장이 얽혀 오키나와 사람들이 원한 '미군 기지 없는 오키나와 반환'이 실현되지 않았다고 지적한다.
그는 "반환 후에도 오키나와 미군 기지가 유지된 배경에는 안전 보장상 불안을 안고 있는 한국과 대만 정부의 계속적 압박과 일본의 군사 대국화에 대한 중국 정부의 우려가 있었다"고 주장한다.
저자는 오키나와에 대한 한국 정부 입장이 시기에 따라 선회했다고 본다.
이승만 정권 시절에는, 독립국이었다가 17세기부터 일본 지배를 받은 오키나와 역사에 공감했으나 1960년대 이후 북한과 대결 구도 속에서 오키나와 미군 기지 유지를 바라는 쪽으로 바뀌었다는 것이다.
또 중국의 경우 오키나와 미군 기지가 일본의 군국주의 재현을 막을 '병마개' 역할을 한다고 여겨 기지 존속을 바랐다고 판단한다.
저자는 결론에서 "미군 기지 철거를 요구한 사람들에게 오키나와 반환은 일본·미국·한국·대만의 일정한 합의 하에서 고착된 냉전체제와 새로운 투쟁의 시작이었다"며 "한반도의 남북 대립, 중국과 대만의 양안 대립은 오늘날에도 계속돼 오키나와 미군 기지 유지를 정당화하는 이유가 되고 있다"고 역설했다.
이어 "지금 오키나와 기지 문제는 '오키나와 문제'로 인식돼 알고 있어도 어쩔 수 없는 문제, 자신들과는 무관한 문제로 치부되기 십상"이라고 했다. 소명출판. 임경화 옮김. 434쪽. 3만1천원. /연합뉴스
지금은 날씨가 온화하고 바다가 예쁜 관광지로 명성이 높다.
올해로 오키나와가 일본으로 반환된 지 50주년이 됐다. 미국은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뒤 오키나와를 통치하다 1972년 5월 15일 일본에 돌려줬다.
하지만 오키나와에는 여전히 미국의 그림자가 짙게 드리워져 있다.
가장 큰 도시인 나하에서 북쪽으로 조금만 이동하면 거대한 미군 부대가 보인다. 일본 정부는 미군 기지를 오키나와섬의 다른 곳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지만, 해양환경 파괴를 우려하는 현지 주민의 반대로 논쟁이 이어지고 있다.
오키나와 문제를 연구해 온 나리타 지히로(成田千尋) 리쓰메이칸대 전문연구원은 신간 '오키나와 반환과 동아시아 냉전체제'에서 종전부터 반환까지 오키나와를 둘러싸고 벌어진 다양한 일을 분석해 미군 기지 존속이 냉전의 산물이었다고 주장한다.
저자는 미국과 일본이 1950년대까지는 오키나와의 잠재적 주권이 일본에 있으나 동아시아에서 긴장 상태가 유지된다면 미국이 배타적으로 통치하는 데 합의했다고 설명한다. 아울러 이승만 정권은 오키나와의 일본 반환을 반대하며 자치와 독립을 바랐다고 부연한다.
1960년대 베트남전쟁이 일어나면서 동아시아 정세가 급변했다.
저자는 당시 미국이 한일 국교 정상화 타결을 압박했고, 한국과 일본의 베트남전 협력을 끌어냈다고 짚는다.
오키나와는 미군 보급·출격 기지로 활용됐다.
저자는 1968년 미군 폭격기 B-52가 오키나와에 배치되면서 반전 움직임이 거세졌고, 미일 간 반환 교섭이 본격적으로 이뤄졌다고 말한다.
이어 반환 논의 과정에서 미국과 일본은 물론 한국, 대만, 북한, 중국의 복잡한 입장이 얽혀 오키나와 사람들이 원한 '미군 기지 없는 오키나와 반환'이 실현되지 않았다고 지적한다.
그는 "반환 후에도 오키나와 미군 기지가 유지된 배경에는 안전 보장상 불안을 안고 있는 한국과 대만 정부의 계속적 압박과 일본의 군사 대국화에 대한 중국 정부의 우려가 있었다"고 주장한다.
저자는 오키나와에 대한 한국 정부 입장이 시기에 따라 선회했다고 본다.
이승만 정권 시절에는, 독립국이었다가 17세기부터 일본 지배를 받은 오키나와 역사에 공감했으나 1960년대 이후 북한과 대결 구도 속에서 오키나와 미군 기지 유지를 바라는 쪽으로 바뀌었다는 것이다.
또 중국의 경우 오키나와 미군 기지가 일본의 군국주의 재현을 막을 '병마개' 역할을 한다고 여겨 기지 존속을 바랐다고 판단한다.
저자는 결론에서 "미군 기지 철거를 요구한 사람들에게 오키나와 반환은 일본·미국·한국·대만의 일정한 합의 하에서 고착된 냉전체제와 새로운 투쟁의 시작이었다"며 "한반도의 남북 대립, 중국과 대만의 양안 대립은 오늘날에도 계속돼 오키나와 미군 기지 유지를 정당화하는 이유가 되고 있다"고 역설했다.
이어 "지금 오키나와 기지 문제는 '오키나와 문제'로 인식돼 알고 있어도 어쩔 수 없는 문제, 자신들과는 무관한 문제로 치부되기 십상"이라고 했다. 소명출판. 임경화 옮김. 434쪽. 3만1천원.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