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수첩] '치명률 0.12%' 공치사에 가려진 것들
입력
수정
지면A34
의료진 감염 늘어 돌봄공백 극심수도권 요양병원에서 일하는 간호사 A씨는 최근 코로나19 유전자증폭(PCR) 검사에서 ‘양성’이 떴다. 원래대로라면 7일간 집에서 재택치료를 해야 하지만, A씨는 3일만 격리한 뒤 병동으로 다시 출근했다. 코로나19에 걸린 의료진이 많아지면서 ‘돌봄 공백’이 생기자 병원 측에서 ‘무증상이라면 나와서 일해달라’고 요청했기 때문이다. A씨는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내가 못 쉬는 건 둘째치고, 몸이 약한 환자들에게 옮기면 어쩌나 싶어요. 자칫 환자에게 옮기기라도 하면 보호자들이 가만있지 않을 겁니다.”
방역 풀면 요양병원 더 위험해져
이선아 바이오헬스부 기자
코로나19에 걸린 의료진이 환자를 돌보는 모습은 이제 현장에선 그리 생경한 일이 아니다. 정부는 의료진의 경우 3차 접종을 완료하고 무증상·경증이라면 격리기간을 3~5일까지 단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정부는 이 같은 격리 단축 지침을 요양시설 종사자에게도 확대 적용했다. 돌봄 인력 부족으로 인한 ‘고육지책’이다.하지만 의료계에선 “오히려 ‘독’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끊이지 않는다. 코로나19 확진자가 환자를 돌보다가 ‘연쇄 감염’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오미크론 확진자는 증상 발현 후 최대 8일까지 바이러스를 배출할 수 있다. 요양병원에 있는 환자는 고령층이 대부분이라 코로나19에 걸리면 위중증, 사망 위험이 높다.
이런 우려는 현실화하고 있다. 이달 20~26일 집계된 코로나19 사망자 2516명 중 39%(973명)가 요양병원·시설에서 숨진 사람들이었다. 이재갑 한림대성심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요양시설 내에서 고위험군을 간병하는 종사자의 격리기간을 단축한 건 말도 안 되는 조치”라며 “집단발병이 잦은 이들 시설에 기름을 붓는 격”이라고 지적했다.
상황이 이런데도 정부는 ‘낮은 치명률 자랑’에 여념이 없다. 김부겸 국무총리를 비롯한 정부 당국자들은 ‘누적 치명률 0.12%’를 근거로 “인구가 비슷한 세계 주요국과 비교할 때 소중한 국민의 희생을 10분의 1 이하로 최소화해 왔다”고 수차례 강조했다.
여기에 대통령직인수위원회까지 혼란을 부추기고 있다. 느닷없이 ‘식당·카페 영업시간 제한 전면 폐지’라는 카드를 꺼내 들었다. 물론 ‘정점이 지나면’이라는 단서를 달았지만 현장 상황을 감안할 때 섣부르다는 비판이 나온다. 이달 초 질병관리청이 내놓은 분석에 따르면 영업시간이 1시간만 연장돼도 확진자는 10% 증가한다. 코로나19 ‘약한 고리’로 꼽히는 고위험 시설은 더 큰 위험에 놓일 수밖에 없다. 정부와 인수위 모두 위중증 환자·사망자 증가세가 ‘현재진행 중’이란 걸 간과하고 있는 건 아닌지 우려스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