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채 문제 잡겠다는 이창용 "기준금리로 연착륙 이끌겠다"
입력
수정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후보자는 1일 "금리를 통해서 가계부채 문제가 연착륙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이날 오전 인사청문회 태스크포스(TF) 사무실이 있는 서울 중구 부영태평빌딩 로비서 기자들과 만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가장 빠른 속도로 올라가는 가계부채 증가 속도를 잡을 수 있도록 한은이 정책적 노력을 해야 한다"며 이 같이 말했다. 한은의 금리인상 기조를 바탕으로 가계부채 증가속도를 늦추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그는 이어 "금리가 균형금리보다 낮으면 가계부채가 너무 늘어나서 자산가격에 영향을 주고 국가경제 안정화에 나쁜 영향을 준다”며 "장기적으로는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과 가계부채를 어떻게 해결할지 고민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가계대출이 많은 상태에서는) 금리에 따라 성장률이 둔화할 수 있다"며 "앞으로 고령화에 따라 나이 많은 분들이 은퇴 후 생활자금을 위해 가계대출을 받기 시작하면 가계대출의 퀄리티(질)도 나빠질 수 있기 때문에 중장기적으로 해결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우크라이나 사태가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이야기하니 비둘기파(통화 완화 선호)라고 하는데, 물가에 미치는 영향도 만만찮아서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보고 있다”며 “매파 비둘기파로 구분하는 것 적절치 않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어떨때는 매파도 비둘기파도 될 수 있다”며 “데이터를 보고 정부정책 조합을 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한미 금리역전 가능성에 대해서는 “미국은 금리인상 올리는 속도가 빠르고 금리역전할 가능성은 당연하다”며 “우리 경제를 볼때 한미 금리역전이 자본유출에 미치는 영향이 적을 것이라고 아직까지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걱정은 (금리격차에 따른) 환율 절하가 물가에 미치는 영향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치솟는 물가에 대해서는 “상반기는 3.1%보다 높고, 하반기는 예측하기보다는 불확실성 큰 상황에서 리스크관리에 치중하겠다”며 “우크라이나 사태가 얼마나 오래갈지와 유가가 어느 정도까지 오를지, 중국 봉쇄조치가 얼마나 갈지 등 하반기 불확실성이 너무 크다”고 말했다.
김익환 기자 lovepen@hankyung.com
그는 이날 오전 인사청문회 태스크포스(TF) 사무실이 있는 서울 중구 부영태평빌딩 로비서 기자들과 만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가장 빠른 속도로 올라가는 가계부채 증가 속도를 잡을 수 있도록 한은이 정책적 노력을 해야 한다"며 이 같이 말했다. 한은의 금리인상 기조를 바탕으로 가계부채 증가속도를 늦추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그는 이어 "금리가 균형금리보다 낮으면 가계부채가 너무 늘어나서 자산가격에 영향을 주고 국가경제 안정화에 나쁜 영향을 준다”며 "장기적으로는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과 가계부채를 어떻게 해결할지 고민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가계대출이 많은 상태에서는) 금리에 따라 성장률이 둔화할 수 있다"며 "앞으로 고령화에 따라 나이 많은 분들이 은퇴 후 생활자금을 위해 가계대출을 받기 시작하면 가계대출의 퀄리티(질)도 나빠질 수 있기 때문에 중장기적으로 해결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우크라이나 사태가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이야기하니 비둘기파(통화 완화 선호)라고 하는데, 물가에 미치는 영향도 만만찮아서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보고 있다”며 “매파 비둘기파로 구분하는 것 적절치 않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어떨때는 매파도 비둘기파도 될 수 있다”며 “데이터를 보고 정부정책 조합을 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한미 금리역전 가능성에 대해서는 “미국은 금리인상 올리는 속도가 빠르고 금리역전할 가능성은 당연하다”며 “우리 경제를 볼때 한미 금리역전이 자본유출에 미치는 영향이 적을 것이라고 아직까지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걱정은 (금리격차에 따른) 환율 절하가 물가에 미치는 영향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치솟는 물가에 대해서는 “상반기는 3.1%보다 높고, 하반기는 예측하기보다는 불확실성 큰 상황에서 리스크관리에 치중하겠다”며 “우크라이나 사태가 얼마나 오래갈지와 유가가 어느 정도까지 오를지, 중국 봉쇄조치가 얼마나 갈지 등 하반기 불확실성이 너무 크다”고 말했다.
김익환 기자 love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