컬리, IPO 앞두고 우울한 성적표…상장 '빨간불' [박종관의 유통관통]
입력
수정
상장 예비심사 신청서를 제출해 본격적인 기업공개(IPO) 절차에 들어간 컬리의 상장 적정성 여부를 놓고 논란이 커지고 있다. 상장 전 마지막으로 받아든 성적표(2021년 사업보고서)가 예비 투자자들을 실망시킨 게 계기가 됐다.
특히 2016년 첫 사업보고서 공개 후 꾸준히 문제로 제기돼 온 판매와 관리비(판관비) 항목 중 변동비를 통제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상이 다시 한번 확인됐다. 이에 따라 ‘신선식품 새벽 배송 ’이라는 사업모델이 구조적으로 흑자를 낼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이 시장에서 제기되는 실정이다.
특히 시장에서는 컬리가 그간 꾸준히 제기돼 온 과다한 변동비 문제를 지난해에도 전혀 해결하지 못한 것을 뼈아픈 점으로 꼽는다. 변동비는 원재료와 운송비, 포장비 등 매출이 늘어나는 시기에 함께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비용을 뜻한다. 성장기의 회사들은 변동비를 효율적으로 통제해야 손익분기점(BEP) 도달 시기를 최대한 앞당길 수 있다.
하지만 컬리는 신선식품 새벽 배송이라는 업(業)의 특성상 배송에 드는 비용이 다른 플랫폼 기업들보다 많다. 콜드체인 물류의 기술적 어려움 때문이다. 실제로 컬리의 지난해 운반비(지급수수료 포함)는 1089억원으로 전년(585억원) 대비 86.2% 불어났다. 한 증권사 유통 담당 애널리스트는 “변동비가 매출보다 빠른 속도로 늘어난다는 것은 사업이 잘되더라도 흑자전환을 기대하기 쉽지 않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게다가 회사가 관리할 수 있는 비용인 고정비도 변동비와 마찬가지로 매출보다 많이 불어났다. 지난해 컬리의 급여비용은 1677억원으로 전년(591억원) 대비 세 배 가까이 급증했다. 광고선전비는 435억원으로 전년(297억원)에 비해 46.5% 늘었다.
새벽 배송 시장 경쟁도 점점 더 치열해지고 있다. 수익성에 의문을 품고 망설이던 식품·유통 대기업들이 적자를 감수하고 출혈 경쟁에 참전하면서다. 소비자들 입장에선 컬리를 대체할 선택지가 그만큼 많아졌다는 얘기다.
오프라인 판매 거점이 없다는 것도 컬리의 약점으로 꼽힌다. 신선식품을 주력으로 하는 유통사 입장에서 오프라인 점포가 없으면 재고를 처리하는 데 드는 비용이 그만큼 많아질 수밖에 없다.새벽 배송 경쟁사인 오아시스마켓은 50여개 오프라인 매장을 물류 거점이자 신선식품 재고를 소진하는 창구로도 활용하고 있다. 이를 통해 비용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초신선 축산물 유통 스타트업 정육각도 최근 오프라인 판매채널 초록마을을 인수하며 ‘옴니채널’로 거듭날 준비를 하고 있다.
변동비 지출이 급증하는 것도 아직 성장의 속도를 늦출 생각이 없는 회사 전략 상 당연한 귀결이라는 것이다. 벤처캐피탈 업계 관계자는 “기업의 재무 건전성을 판단하는 기존 방식으로 스타트업을 바라보면 어떤 유망 기업도 그저 적자를 내는 회사일 뿐”이라며 “한국거래소가 적자기업도 상장이 가능하도록 ‘테슬라 요건’을 만든 것 자체가 이런 특수성을 인정할 필요성이 커졌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박종관 기자 pjk@hankyung.com
특히 2016년 첫 사업보고서 공개 후 꾸준히 문제로 제기돼 온 판매와 관리비(판관비) 항목 중 변동비를 통제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상이 다시 한번 확인됐다. 이에 따라 ‘신선식품 새벽 배송 ’이라는 사업모델이 구조적으로 흑자를 낼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이 시장에서 제기되는 실정이다.
과다한 변동비 해결 못해
5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마켓컬리’ 운영사 컬리는 지난해 2177억원의 영업손실을 내 전년(1163억원)보다 그 규모가 87.2% 급증했다. 매출총이익은 1693억원에서 2935억원으로 73.3% 불어났지만, 판관비가 2856억원에서 5113억원으로 79.0% 증가해 이를 상쇄시켜버렸다.특히 시장에서는 컬리가 그간 꾸준히 제기돼 온 과다한 변동비 문제를 지난해에도 전혀 해결하지 못한 것을 뼈아픈 점으로 꼽는다. 변동비는 원재료와 운송비, 포장비 등 매출이 늘어나는 시기에 함께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비용을 뜻한다. 성장기의 회사들은 변동비를 효율적으로 통제해야 손익분기점(BEP) 도달 시기를 최대한 앞당길 수 있다.
하지만 컬리는 신선식품 새벽 배송이라는 업(業)의 특성상 배송에 드는 비용이 다른 플랫폼 기업들보다 많다. 콜드체인 물류의 기술적 어려움 때문이다. 실제로 컬리의 지난해 운반비(지급수수료 포함)는 1089억원으로 전년(585억원) 대비 86.2% 불어났다. 한 증권사 유통 담당 애널리스트는 “변동비가 매출보다 빠른 속도로 늘어난다는 것은 사업이 잘되더라도 흑자전환을 기대하기 쉽지 않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게다가 회사가 관리할 수 있는 비용인 고정비도 변동비와 마찬가지로 매출보다 많이 불어났다. 지난해 컬리의 급여비용은 1677억원으로 전년(591억원) 대비 세 배 가까이 급증했다. 광고선전비는 435억원으로 전년(297억원)에 비해 46.5% 늘었다.
사업 모델에 제기되는 의문
유통·증권업계에선 “컬리의 사업모델 자체가 적자를 면하기 쉽지 않은 형태”라는 지적이 적지 않다. 운반비·포장비 등이 많이 들어 매출원가율이 높지만 객단가는 낮아 수익성을 끌어올리기 쉽지 않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컬리의 지난해 매출원가율(매출원가÷매출)은 81.2%로, 2020년(82.2%)에 비해 그다지 개선되지 않았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최근 컬리가 식품을 넘어 냉장고와 세탁기 등 전자제품 판매에 나선 이유도 객단가를 높여 수익성을 개선하기 위한 전략인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새벽 배송 시장 경쟁도 점점 더 치열해지고 있다. 수익성에 의문을 품고 망설이던 식품·유통 대기업들이 적자를 감수하고 출혈 경쟁에 참전하면서다. 소비자들 입장에선 컬리를 대체할 선택지가 그만큼 많아졌다는 얘기다.
오프라인 판매 거점이 없다는 것도 컬리의 약점으로 꼽힌다. 신선식품을 주력으로 하는 유통사 입장에서 오프라인 점포가 없으면 재고를 처리하는 데 드는 비용이 그만큼 많아질 수밖에 없다.새벽 배송 경쟁사인 오아시스마켓은 50여개 오프라인 매장을 물류 거점이자 신선식품 재고를 소진하는 창구로도 활용하고 있다. 이를 통해 비용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초신선 축산물 유통 스타트업 정육각도 최근 오프라인 판매채널 초록마을을 인수하며 ‘옴니채널’로 거듭날 준비를 하고 있다.
“비용 통제 얼마든 가능”
컬리에 대한 이런 공격에 반박하는 전문가들도 많다. 우선 개발자 채용, IPO 등을 계기로 늘어난 고정비는 사업이 성숙단계로 접어들면서 자연스럽게 줄어들 것이란 게 ‘컬리 긍정론자’들의 주장이다.변동비 지출이 급증하는 것도 아직 성장의 속도를 늦출 생각이 없는 회사 전략 상 당연한 귀결이라는 것이다. 벤처캐피탈 업계 관계자는 “기업의 재무 건전성을 판단하는 기존 방식으로 스타트업을 바라보면 어떤 유망 기업도 그저 적자를 내는 회사일 뿐”이라며 “한국거래소가 적자기업도 상장이 가능하도록 ‘테슬라 요건’을 만든 것 자체가 이런 특수성을 인정할 필요성이 커졌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박종관 기자 pj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