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가계 주식투자·차입 또 '최대'…상반기까지 빚투 이어져

국내외 주식 110.5조원 취득, 금융기관 차입 189.6조원
금융자산 내 주식 비중 처음 20% 넘어

지난해 가계가 주식 투자를 위해 굴린 돈이 2020년에 이어 다시 역대 최대 기록을 갈아치웠다. 본격적 금리 인상이 시작되기 전 작년 상반기까지만 해도 '동학개미', '서학개미' 등 주식투자 열풍이 이어졌기 때문이다.

가계의 금융기관 차입금(대출)도 기록을 세웠다.

작년 가계 주식투자의 상당 부분이 대출을 통한 '빚투'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한국은행이 7일 공개한 '2021년 자금순환(잠정)' 통계에 따르면 가계(개인사업자 포함) 및 비영리단체의 순자금 운용액은 141조2천억원으로 집계됐다.

2020년보다 48조7천억원 감소했다.
순자금 운용액은 해당 경제주체의 자금 운용액에서 자금 조달액을 뺀 값으로, 보통 가계는 이 순자금 운용액이 양(+)인 상태에서 여윳돈을 예금이나 투자 등의 방식으로 기업이나 정부 등 다른 경제주체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작년 가계의 순자금 운용액 감소는 코로나19로 위축됐던 소비가 본격적으로 늘어 그만큼 여윳돈도 줄었기 때문이다.
자금 운용을 부문별로 나눠보면, 가계의 지분증권 및 투자펀드(92조5천억원·비거주자 발행주식 제외)가 2020년보다 36조9천억원 늘어 2009년 통계 편제 이래 최대 기록을 갈아치웠다.

투자펀드를 제외하고 가계는 작년 국내외 주식에만 110조5천억원의 자금을 운용했다. 한해 거주자 발행 주식 및 출자지분(국내주식) 87조6천억원어치와 비거주자 발행주식(해외주식) 22조9천억원어치를 취득했는데, 이는 각각 역대 최대 규모다.

작년 말 기준 가계의 국내주식과 해외주식 취득 잔액(944조6천억원, 77조3천억원) 역시 새 기록이었다.

이에 따라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전체 금융자산 내 주식의 비중도 2020년 말 19.4%에서 지난해 말 20.8%로 늘어 처음 20%를 넘어섰다.

다만 지난해 상·하반기를 나눠보면, 하반기 가계의 주식 등 위험자산 투자 열기는 상반기보다 상대적으로 식었다.

상반기 가계의 국내외 주식 취득액은 80조9천억원(국내 65조6천억원+해외 15조3천억원)에 이르는 데 비해 하반기 주식 취득액은 29조6천억원(국내 22조원+해외 7조6천억원)에 그쳤다.

반대로 장기저축성예금은 상반기 10조6천억원 감소에서 하반기 16조1천억원 증가로 돌아서면서 금리 인상 등과 함께 안전자산으로 자금이 이동하는 경향을 보였다.

2020년 말 기준으로 비교하면 우리나라 가계의 주식 비중(19.4%)은 미국(36.9%)과 프랑스(22.2%)보다는 낮지만 영국(10.4%), 일본(10.9%)을 웃도는 수준이다.

지난해 가계의 자금 조달액도 역대 가장 많았다.

가계는 192억1천만원의 자금을 끌어왔고, 이 가운데 금융기관 차입이 189조6천만원에 이르러 기록을 경신했다.

방중권 한은 경제통계국 자금순환팀장은 "가계의 대출 등 자금조달 규모가 늘어난 것은 주택 관련 대출 수요가 이어진데다 소비 회복으로 판매신용(결제 전 카드사용액 등)도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비금융 법인기업의 경우 작년 순조달 규모가 74조3천억원으로 2020년(89조6천억원)보다 줄었다.

수출 호조 등으로 기업의 영업이익이 크게 늘어 자금 사정이 좋아졌기 때문이라는 게 한은의 분석이다.

다만 지난해 대출(174조4천억원)과 주식발행(64조3천억원)을 통한 자금조달은 역대 최대 기록을 세웠다.

정부 부문의 순조달 규모도 1년사이 20조6천억원에서 12조7천억원으로 축소됐다. 코로나19 등에 대응해 적극적으로 재정을 집행하면서 정부 소비가 늘었지만, 국세 수입이 더 많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