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시급한 환경문제는…2년 연속 '쓰레기·폐기물 처리' 꼽혀
입력
수정
KEI '2021 국민환경의식조사'…코로나19 장기화 영향 우리 국민이 '쓰레기·폐기물 처리 문제'를 가장 중요하고 시급하게 해결해야 할 환경 문제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한국환경연구원(KEI)이 전국 만 19세 이상 70세 미만 성인 총 5천50명을 상대로 조사한 '2021년 국민환경의식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중 65.7%는 우리나라가 직면한 중요한 환경 문제(3개 복수 응답)로 '쓰레기·폐기물 처리 문제'를 선택했다.
'대기오염·미세먼지 문제'는 51%, '과대 포장에 따른 쓰레기 발생'은 40.4%였다.
'쓰레기·폐기물 처리 문제'는 2020년에 이어 2021년에도 가장 중요한 환경문제로 꼽혔고, 2020년 4위였던 '과대 포장에 따른 쓰레기 발생' 문제도 3위로 올라갔다. 연구원은 "코로나19로 과도하게 발생하는 쓰레기 문제에 대한 우려가 더 커진 것"이라고 분석했다. 가장 시급하게 해결해야 할 환경 문제로도 '쓰레기 증가'(21.4%)가 2020년처럼 1위로 꼽혔다.
2019년의 경우 '대기질 개선'이 1위에 올랐었다. '대기질 개선'은 19%, '기후변화 피해'는 18.1%로, 코로나19 장기화로 국민 인식에 변화가 생겼음을 파악할 수 있다고 연구원은 판단했다. 평소 전반적인 환경 문제에 '관심 있다'고 답한 비율은 73%였다.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은 2017년 54.4%에서 2018년 74.2%로 증가한 후 계속 70%대의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환경 전반에 대해 불만족한다는 응답은 44.3%, 만족한다는 응답은 6.3%였고, 개별 환경 상태의 경우 '자연경관(경치)'과 '도시 녹지 면적 및 공원 이용'을 제외한 모든 부문에서 만족 비율보다 불만족 비율이 더 높았다.
특히 '대기(공기)질' 부문이 67.9%로 불만족 비율이 가장 높았으나, 코로나19 이전과 비교해 낮았고, 2020년 71.2%보다도 감소했다. 기후변화의 심각성에 대한 질문에는 기후변화가 개인(자기 자신)에 미치는 영향보다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더 심각하다고 평가하는 경향이 몇 년째 두드러졌다.
기후변화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심각하다고 보는 비율은 88.3%에 달했으나, 개인 관점에서 기후변화가 심각하다는 응답은 2020년 70.7%에서 2021년 54.5%로 대폭 감소했다.
전반적으로 기후변화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이 낮아지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연구원은 분석했다.
환경 보전에 대한 태도를 묻는 말에는 '불편하더라도 환경친화적 행동이 우선한다'는 응답이 61.7%로 '생활의 편리함이 우선이다'라는 응답보다 높았지만, 수치 자체는 4년 연속 감소했다.
친환경적 생활 습관 실천의 어려움으로 작용하는 요인은 '제품을 구매하거나 행동할 때 친환경적인 대안이 없거나 품질이 떨어진다'(44.1%), '친환경적인 행동은 시간이 많이 소비된다'(43.7%), 친환경적인 행동은 비용이 많이 든다'(41%) 등의 순으로 나타나, 친환경적 행동의 접근성을 높이고 비용 효율적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고 연구원은 조언했다.
전반적인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방법으로는 '국민, 기업 등 개별 주체의 자발적 노력'(20.1%), '환경 피해 유발에 따른 처벌 강화'(15.3%), '환경보전 노력에 대한 금전적 보상'(15.2%) 순으로 응답이 나왔다. 환경보전 책임 주체로는 '중앙정부'(33.5%)와 '국민'(32.5%)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환경 보전 노력에 대한 평가는 '기업'이 가장 낮았다. 연구원은 기업이 환경보전의 책임이 높게 인식되는 주체가 아님에도 노력에 대한 평가가 낮게 나타나는 것은 기업의 노력이 국민의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평가했다.
/연합뉴스
'대기오염·미세먼지 문제'는 51%, '과대 포장에 따른 쓰레기 발생'은 40.4%였다.
'쓰레기·폐기물 처리 문제'는 2020년에 이어 2021년에도 가장 중요한 환경문제로 꼽혔고, 2020년 4위였던 '과대 포장에 따른 쓰레기 발생' 문제도 3위로 올라갔다. 연구원은 "코로나19로 과도하게 발생하는 쓰레기 문제에 대한 우려가 더 커진 것"이라고 분석했다. 가장 시급하게 해결해야 할 환경 문제로도 '쓰레기 증가'(21.4%)가 2020년처럼 1위로 꼽혔다.
2019년의 경우 '대기질 개선'이 1위에 올랐었다. '대기질 개선'은 19%, '기후변화 피해'는 18.1%로, 코로나19 장기화로 국민 인식에 변화가 생겼음을 파악할 수 있다고 연구원은 판단했다. 평소 전반적인 환경 문제에 '관심 있다'고 답한 비율은 73%였다.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은 2017년 54.4%에서 2018년 74.2%로 증가한 후 계속 70%대의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환경 전반에 대해 불만족한다는 응답은 44.3%, 만족한다는 응답은 6.3%였고, 개별 환경 상태의 경우 '자연경관(경치)'과 '도시 녹지 면적 및 공원 이용'을 제외한 모든 부문에서 만족 비율보다 불만족 비율이 더 높았다.
특히 '대기(공기)질' 부문이 67.9%로 불만족 비율이 가장 높았으나, 코로나19 이전과 비교해 낮았고, 2020년 71.2%보다도 감소했다. 기후변화의 심각성에 대한 질문에는 기후변화가 개인(자기 자신)에 미치는 영향보다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더 심각하다고 평가하는 경향이 몇 년째 두드러졌다.
기후변화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심각하다고 보는 비율은 88.3%에 달했으나, 개인 관점에서 기후변화가 심각하다는 응답은 2020년 70.7%에서 2021년 54.5%로 대폭 감소했다.
전반적으로 기후변화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이 낮아지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연구원은 분석했다.
환경 보전에 대한 태도를 묻는 말에는 '불편하더라도 환경친화적 행동이 우선한다'는 응답이 61.7%로 '생활의 편리함이 우선이다'라는 응답보다 높았지만, 수치 자체는 4년 연속 감소했다.
친환경적 생활 습관 실천의 어려움으로 작용하는 요인은 '제품을 구매하거나 행동할 때 친환경적인 대안이 없거나 품질이 떨어진다'(44.1%), '친환경적인 행동은 시간이 많이 소비된다'(43.7%), 친환경적인 행동은 비용이 많이 든다'(41%) 등의 순으로 나타나, 친환경적 행동의 접근성을 높이고 비용 효율적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고 연구원은 조언했다.
전반적인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방법으로는 '국민, 기업 등 개별 주체의 자발적 노력'(20.1%), '환경 피해 유발에 따른 처벌 강화'(15.3%), '환경보전 노력에 대한 금전적 보상'(15.2%) 순으로 응답이 나왔다. 환경보전 책임 주체로는 '중앙정부'(33.5%)와 '국민'(32.5%)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환경 보전 노력에 대한 평가는 '기업'이 가장 낮았다. 연구원은 기업이 환경보전의 책임이 높게 인식되는 주체가 아님에도 노력에 대한 평가가 낮게 나타나는 것은 기업의 노력이 국민의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평가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