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兆 까먹은 '애물단지' 브라질 제철소…철강 슈퍼호황에 동국제강 '보물단지'로
입력
수정
지면A11
작년 영업이익 8000억 견인2016년 준공 이후 2조원 넘는 손실을 내며 동국제강의 ‘애물단지’로 불렸던 브라질 일관제철소(CSP)가 작년부터 ‘슈퍼 호황’을 누리고 있다. 주력 생산제품인 슬래브(철강 반제품) 가격 급등으로 지난해 7000억원에 달하는 영업이익을 올린 데 이어 올해에도 작년을 능가하는 실적을 낼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모회사인 동국제강은 올해 컬러강판과 철근을 앞세워 1954년 창사 이후 최대 실적에 도전하고 있다. ‘후판 명가(名家)’에서 2015년 사업 부진으로 부도 위기까지 몰렸던 동국제강이 화려한 부활에 성공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밑빠진 독' 같았던 브라질CSP
철강값 강세, 순이익 8배 급증
"우크라 사태로 올해도 최대실적"
동국제강도 컬러강판·철근 호황
13년 만에 최대 영업이익
11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동국제강의 올 1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 컨센서스(추정치 평균)는 전년 동기(1094억원) 대비 46%가량 증가한 1600억원이다. 하이투자증권은 “글로벌 철강가격 강세로 실적이 당초 예상치를 웃돌 것”이라며 “2분기에도 CSP 실적 호조로 예상보다 좋은 흐름이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지난 1월 말 1만3400원까지 하락했던 동국제강 주가도 이날 1만6400원에 마감, 이 기간 22.4% 상승했다.동국제강은 지난해 ‘철강 슈퍼사이클’에 힘입어 창사 이후 역대 최대 규모였던 2008년(8562억원)에 버금가는 8030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렸다. 고철(철스크랩) 등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라 철근 판매단가가 올랐고, 컬러강판 판매가 급증한 덕분이었다. 더욱 고무적인 것은 당기순이익이 늘면서 재무 안정성이 크게 개선됐다는 점이다. 동국제강이 지난해 올린 당기순이익은 5585억원으로, 전년(694억원)의 약 8배로 늘었다. 부채비율도 127.7%로, 2019년(179.6%)에 비해 크게 낮아졌다.
동국제강은 2018~2019년 총 3861억원의 당기순손실을 냈다. 대규모 자금을 투입한 브라질 CSP가 2016년 준공 이후 2조2251억원의 누적 손실을 낸 영향이 컸다. CSP의 손실은 동국제강 실적에도 반영된다. 동국제강은 지분 30%를 보유한 CSP를 회계상 공동기업으로 분류하고, 지분법을 적용하고 있다.
5년 만에 ‘브라질 리스크’ 해소
브라질 북동부 세아라주에 있는 일관제철소 CSP는 장세주 동국제강 회장의 역작으로 불린다. CSP는 포스코와 동국제강, 세계 최대 철광석 회사인 브라질 발레가 공동 투자했다. 자본금 24억달러, 차입금 30억달러 등 총 54억달러를 투자해 2016년 준공했다. 지분율은 발레 50%, 동국제강 30%, 포스코 20%로 분산돼 있지만 모든 투자와 지급보증은 동국제강이 주도했다.2016년 6월 고로 화입(火入) 당시만 하더라도 CSP는 동국제강의 미래를 견인할 사업으로 불렸다. 2015년 퇴진한 장 회장의 뒤를 이어 취임한 장세욱 부회장도 CSP에 공을 들였다. 하지만 CSP는 첫해 905억원의 당기순이익을 낸 뒤 2017년부터 2020년까지 2조2251억원의 누적 순손실을 기록했다. 브라질 화폐인 헤알화 가치가 급락하면서 막대한 환차손이 발생했고, 영업도 크게 부진했다.
하지만 지난해부터 대반전이 시작됐다. CSP는 철강 반제품인 슬래브를 생산한다. 슬래브 수출가격(FOB)은 코로나19 사태가 발생한 직후인 2020년 4월 t당 334달러에서 1년 만인 지난해 4월 867달러까지 급등했다. CSP가 지난해 6986억원의 영업이익을 거둘 수 있었던 배경이다.
1000달러 돌파한 슬래브價
CSP는 올해도 사상 최대 실적을 예고하고 있다. 작년 하반기 다소 주춤했던 슬래브 가격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수급 상황이 불안정해지면서 지난달 t당 1068달러까지 치솟았다. 전쟁 직전인 지난 1월(618달러) 이후 두 달 만에 72.8% 급등했다. 주력 생산 국가인 러시아의 슬래브 수출이 사실상 중단된 데 따른 것이다.브라질 헤알화 가치가 꾸준히 상승하고 있는 점도 긍정적인 요인이다. 동국제강에 따르면 지금까지 CSP 순손실의 80%가량이 외화부채 평가 손실이다. 헤알화 가치가 떨어지면 환차손으로 인해 CSP 손실도 늘어난다. 작년 말 6헤알에 육박했던 헤알화의 미국 달러 대비 환율은 이달 들어 4.7헤알까지 하락(헤알화 가치 상승)했다.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