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는 대항해시대 이전 11세기에 이미 연결됐다

역사학자 발레리 한센 신간 '1000년'
포르투갈 탐험가 바스쿠 다 가마는 1497년 아프리카 서해안을 따라 남쪽으로 항해하며 희망봉을 돌았다. 이후 유럽인들이 앞다퉈 새 항로를 개척하고 미지의 대륙을 발견한 대항해시대가 열렸다.

오늘날 서양 중심 역사관은 이 시기 비로소 세계가 연결됐다고 여긴다.

미국 예일대 역사학과 교수 발레리 한센은 신간 '1000년'에서 인류 역사상 최초의 세계화가 이보다 500년가량 앞서 이뤄졌다고 주장한다. 문명교류사를 주로 연구하는 저자는 무역과 종교를 중심으로 11세기 전후 세계가 오늘날 모습과 생각보다 닮았다고 설명한다.

당시 가장 세계화된 지역은 유럽이 아닌 중국이었다.

요나라 황제의 손녀 진국공주는 1018년 사망한 뒤 시리아와 이집트, 수마트라와 인도에서 만들어진 유물과 함께 묻혔다. 호박(琥珀) 원석으로 제작된 장식품은 발트해에서 온 것이었다.

발트해와 요나라 궁정 사이의 거리는 6천500㎞가 넘었다.

이는 당시 최장 무역로 중 하나였다.
종교는 국가 간 교류를 원활히 하는 세계화의 핵심 도구였다.

군주들은 자신의 종교적 신념과 맞지 않더라도 힘센 이웃 나라의 종교를 국교로 삼고 왕권을 강화했다.

오늘날 우크라이나 지역에 살던 대공 블라디미르 1세는 전통 신앙을 대체할 종교로 유대교·이슬람·로마가톨릭·동방정교회를 검토했다.

동방정교회를 택한 이유는 경이로운 기술력으로 건축된 콘스탄티노플 대성당 때문이었다.

여러 지배자들이 특정 종교를 국교로 삼으면서 전세계 종교 수도 감소했다.

이후 창시된 종교는 시크교와 모르몬교 등 소수에 불과했다.

오늘날 신자의 92%는 당시 확립된 4대 종교 중 하나를 믿는다.

저자는 대항해시대 유럽인들이 아니었더라도 세계무역은 활발히 이뤄졌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산업혁명은 영국 중심 유럽의 경제적 우위를 확고히 했지만, 중국인들이 산업혁명을 일으키지 못한 게 아니라 필요하지 않았다고 본다.

중국은 11세기 무렵부터 증기력이나 전력 없이도 상품을 대량으로 제조할 수 있는 역량이 있었고, 인구가 넘쳐나 노동력이 덜 드는 기계도 불필요했다는 것이다. 민음사. 이순호 옮김. 488쪽. 2만7천원.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