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면 위해 커피 대신 이것 마셔요"…요즘 뜨는 음료 봤더니
입력
수정
지난해 수입 27.5% 급증
카페인 90% 줄였지만 맛 괜찮아
커피업계, 디카페인 신제품 속속 출시

김 씨처럼 디카페인 커피를 찾는 이들이 늘면서 관련 제품을 내놓는 업체들이 늘고 있다. 일반 커피보다 카페인 함량을 90% 이상 제거한 디카페인 커피는 카페인에 민감하지만 커피를 즐기려는 이들이 찾고 있다. 최근엔 임산부 등 카페인에 민감한 사람들이 마시던 특수 음료에서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음료로 바뀌고 있는 것이다.실제로 업계는 최근 디카페인 커피 신제품을 쏟아내고 있다. 14일 관세청에 따르면 지난해 디카페인 원두 수입량은 4737t으로 전년(2020년) 3712t보다 27.5% 증가했다.
디카페인 커피는 염화메틸렌 등 용액이나 이산화탄소를 이용해 커피 콩에서 카페인을 제거한다. 국내에선 90% 이상이 수입이다. 디카페인이 전체 수입 원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49%로 아직 적은 편이지만 성장세는 가파르다. 2021년 전체 원두 수입량은 2020년보다 7.27% 증가한 가운데 디카페인은 이보다 4배 가까이 더 성장했다.
한국인의 1인당 커피 소비량은 연 350잔 이상. 세계 평균 커피 소비량(130잔)보다 훨씬 많이 마신다. 하루 두세 잔씩 마시는 사람도 많다. 다만 수면장애 등을 호소하는 사람도 늘었다. 그 대안으로 디카페인 커피를 찾는 소비자가 부상하는 것이다. 단체 회식이 줄고 2차 대신 카페에 가는 문화가 자리잡은 것도 디카페인 커피 시장이 커지는 요인으로 꼽힌다.

캡슐 커피 역시 디카페인 소비량이 상당하다. 네스프레소에선 카페인 없는 캡슐 커피를 팔고 있다. 코카콜라사는 최근 '조지아 크래프트 디카페인 오트라떼'를 선보였다. 커피 향과 부드러운 우유, 고소한 곡물 맛을 한 번에 느낄 수 있는 디카페인 컵커피다.
안혜원 한경닷컴 기자 anh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