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치권 행사 나선 둔촌주공 시공사업단 "상황 장기화할 수도"
입력
수정
시공사업단 공사중단 사유 입장문 발표
조합은 '계약 해지'…강 대 강 대치 예고
이주비·사업비 등 조합원 부담 증가 전망

시공사업단은 15일 입장문을 내고 "빠른 입주를 위하여 현재까지 여러 어려움을 감내하면서 약1조7000억원의 외상 공사를 진행했다. 공사비와 별개로 시공사업단의 신용공여(연대보증)를 통해 조합 사업비 대출 약 7000억원도 조달하고 있다"며 "그런데도 공사가 중단될 수밖에 없는 사유를 알린다"고 밝혔다.시공사업단이 밝힌 첫 이유는 조합이 공사 도급 변경계약을 부정하는 점이다. 2019년 12월 조합 임시총회에서 당초 1만1106가구였던 가구 수를 1만2032가구로 늘리고, 상가 공사까지 포함하는 조건으로 공사계약을 변경하기로 했고, 이에 따라 2020년 6월 공사비도 2조6708억원에서 3조2294억원으로 5586억원 증액해 공사 도급 변경계약을 체결해 공사를 진행하고 있는데 조합이 집행부 변경 이후 이 계약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는 주장이다.
조합은 16일 임시총회를 열 예정인데, 1호 안건은 '2019.12.07. 임시총회 공사계약 변경의 건 의결 취소의 건'이다. 지난달 21일에는 시공사업단을 상대로 서울동부지법에 공사비 증액과 관련한 계약 변경 무효확인 소송을 제기했다. 공사비 증액 계약이 적법한 절차를 거치지 않아 무효라는 것이 현재 조합의 주장이다. 시공사업단은 "공사의 근거가 되는 적법한 계약을 조합이 부정하고 있어 더 이상 공사를 지속할 계약적, 법률적 근거가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조합원님들께 매우 죄송스럽고 유감스러운 마음과 이주비 및 사업비 대출 연장 등 조합의 시급한 사안에 대한 걱정을 전한다"며 "왜곡된 정보를 지속해서 제공하고 있는 조합 집행부와 자문위원단을 더 이상 신뢰할 수 없어 현재 상황이 장기화할 것에 대한 우려도 함께 전한다"고 덧붙였다.
4786가구 규모로 예정됐던 일반분양도 기약 없이 미뤄지게 된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현재 시공사업단과 계약이 해지되면 둔촌주공 현장에 대형 건설사가 참여하긴 쉽지 않을 것"이라며 "공정률이 50%를 넘었고 소송비용과 각종 이자 비용을 감당해야 하기에 사업을 이어 맡을 건설사가 있을지 미지수"라고 우려했다.
오세성 한경닷컴 기자 ses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