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산업은행 유치 고삐죈다
입력
수정
지면A22
대통령 인수위에 당위성 강조
이전한 공기업 인력 이탈 없어
정주여건 만족도 압도적 우위
경제 유발 효과 2.5조 기대

○“이전 기관 근무인력 오히려 증가”

부산으로 이전한 금융공기업의 인력 이탈 문제도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시가 BIFC에서 일하는 4개 금융공기업의 근무인력을 조사한 결과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는 2014년 620명에서 올해 820명으로 늘어났다. 한국예탁결제원은 220명에서 437명으로, 한국주택금융공사는 283명에서 475명으로 늘었다. 주택도시보증공사도 286명에서 381명으로 증가했다.
혁신도시 정주 여건도 부산의 만족도가 다른 자치단체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기관 이전에 따른 만족도 조사 결과 전국 평균은 불만족 8.1%, 보통 46.5%, 만족 45.5% 수준으로 집계됐다. 부산은 불만족스럽다는 응답이 2.7%에 불과했다. 만족한다는 응답은 68.1%로, 2위인 경남(52.1%)보다 16%포인트 더 높았다.
○생산 유발 효과 2.5조원
시는 산은의 부산 이전에 따른 본사 신축과 운영으로 부울경(부산·울산·경남) 생산 유발 효과가 2조4706억원 발생할 것으로 추산했다. 부가가치 유발 효과는 1조5118억원, 취업 유발 효과는 3만6863명으로 예측됐다.시는 BIFC 내 10만2315㎡ 부지를 개발해 산은 본사로 제공할 계획이다. 현재 서울 여의도 본사의 본관과 별관 연면적(13만6172㎡)을 감안할 때 최소한 45층 규모의 새로운 랜드마크가 세워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외에 남구 문현동 등 재개발 단지를 주거지로 제공하고, 인근 교육 여건을 개선할 방침이다. 김윤일 시 경제부시장은 “산은 이전은 지식기반산업은 물론 지역 제조업의 성장으로 직결된다”며 “산은 부산 유치를 위한 총력전에 들어갔다”고 말했다.
찬반 논란에도 산은 이전이 곧 가시화할 것이란 기대가 나온다. 인수위 기획조정분과 인수위원으로 합류한 박수영 국민의힘 의원은 “대통령 당선인 공약인 데다 최근 금융위원회가 산은 이전에 관한 긍정적 보고를 마친 상황”이라며 “법 개정을 통한 이전이 핵심인데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에서 개정 찬성표가 얼마나 나오는지에 달렸다”고 했다.
부산=민건태 기자 mink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