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삼성전기, 애플에 반도체 기판 공급…한국 업체 유일
입력
수정
'맥 시리즈' 탑재용 M2 프로세서에 투입삼성전기가 미국 애플이 올해 출시할 차세대 맥북, 아이패드 등에 반도체 패키지 기판을 공급한다. 한국 업체로는 유일하다.
애플, 연내 9종 이상 맥 시리즈 출시
핵심먹거리로 반도체 패키지 기판 부상
삼성전기 1.6조 투자…사업 확대
21일 전자업계에 따르면 애플은 최근 차세대 중앙처리장치(CPU) 'M2 프로세서'에 들어갈 반도체 패키지 기판(FC-BGA) 공급처로 삼성전기를 확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애플은 올해 M2 프로세서를 탑재한 노트북(맥북), 태블릿PC(아이패드) 신제품 출시를 준비 중이다.FC-BGA는 반도체 칩을 기판과 연결해주는 반도체용 기판이다. 정보처리 속도가 빨라 PC나 서버, 네트워크 등에 주로 사용된다. 반도체 기판 중 기술 난이도가 가장 높다. 그동안 일본 이비덴, 대만 유니마이크론 등 소수 업체가 주도했던 분야다. 삼성전기가 이 같은 ‘양강’ 구도를 뚫고 애플 M2 프로세서 주요 공급처로 선정된 것은 주목할 만하다는 게 업계 평가다. M2 프로세서는 애플이 2020년 선보인 기존 M1 프로세서보다 연산, 그래픽 성능, 전력 효율 등이 높다.
M2 프로세서는 애플 맥 시리즈 대부분에 투입될 전망이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애플은 요즘 최소 9종 이상의 맥 시리즈 신제품에 대한 자체 테스트를 진행 중이다. 연내 순차 출시할 것으로 알려졌다. 애플 맥 시리즈 판매량은 지난해 2890만대를 기록했다. 2020년보다 28.3% 증가한 수준이다.
삼성전기는 애플 공급을 중심으로 FC-BGA 사업을 본격 확대할 계획이다. 지난해 12월 베트남 생산법인에 약 1조3000억원 규모의 FC-BGA 생산시설 투자를 단행했다. 지난 21일엔 부산사업장 FC-BGA 공장 증축 및 생산설비 구축에 3000억원을 투입한다고 밝혔다.
○삼성전기-애플 동맹 강화
맥북, 맥북프로, 아이맥, 아이패드, 맥미니, 맥프로, 맥스튜디오…. 미국 애플의 차세대 중앙처리장치(CPU) ‘M2 프로세서’가 탑재될 주요 제품이다. 삼성전기가 M2 프로세서의 핵심 부품인 반도체 패키지 기판(FC-BGA)을 공급하게 된 것은 그만큼 ‘안정적 수익원’을 확보한 것으로 볼 수 있다.전자업계에선 삼성전기가 M2 프로세서에 FC-BGA를 공급하면서 ‘애플 신제품 출시 후광효과’를 볼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애플은 올해 M2 프로세서를 기반으로 한 제품군을 공격적으로 확대할 것으로 알려졌다.애플이 2020년 선보인 ‘M1 프로세서’는 경쟁사인 인텔 프로세서와 비교했을 때 전력 효율 대비 성능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았다. 애플 맥 시리즈 판매 확대에 중요 역할을 한 것으로 꼽힌다. M2 프로세서는 M1 프로세서보다 주요 성능을 진화시킨 것이다. 관련 제품 판매 확대가 이어질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삼성전기가 지난해 12월부터 FC-BGA 사업과 관련해 베트남, 부산 등에 총 1조6000억원에 달하는 투자를 결정한 것은 이런 배경이 작용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삼성전기 주력사업 바뀐다
기판 사업은 삼성전기에서 ‘미미한 존재’였다. 그동안은 휴대전화, TV 필수 부품인 MLCC(적층세라믹콘덴서)가 주력 사업이었다. 삼성전기가 기판 사업을 키우기로 한 것은 반도체 고성능화로 반도체 패키지 기판 수요가 늘어나면서다.삼성전기는 지난해 10월 기판 중에서도 기술 장벽이 낮아 단가 경쟁력이 떨어지는 ‘RF-PCB(경연성회로기판)’ 판매를 중단했다. 대신 고부가가치 제품인 FC-BGA에 집중하는 방침을 세웠다. 지난해 M1 프로세서에 FC-BGA를 공급하면서 애플과 우호적인 관계를 구축했다.FC-BGA 시장은 최근 수급 불균형이 일어날 정도로 수요가 급증했다. 코로나19로 비대면 디지털 수요가 늘어나면서 서버, PC 등에 고성능 반도체 기판을 찾는 흐름이 형성됐다.
그럼에도 수요에 비해 FC-BGA를 생산할 수 있는 업체는 제한적이다. 국내에선 삼성전기가 유일하고, 일본 이비덴, 신코덴키, 대만 유니마이크론, 난야 등 5곳뿐이다. 부품업계 관계자는 “FC-BGA는 미세회로 구현, 대면적화, 층수 확대 등 고도의 기술력이 필요해 진입장벽이 높다”며 “후발업체가 진입하기 어려운 영역”이라고 설명했다.
반도체 고성능화 추세는 한동안 계속될 것이라는 게 업계 전언이다. 특히 5G, 인공지능(AI), 클라우드가 확대되면서 더 높은 성능의 반도체 패키지 기판에 대한 수요는 대폭 증가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삼성전기가 지난해 12월, 지난 2월 총 1조6000억원을 투자한 FC-BGA 신규 생산설비는 내년 본격 가동될 전망이다. 가격 경쟁력을 높이면서 공급 물량을 확보해 매출이 빠르게 늘어날 것으로 분석된다. 김지산 키움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지난해 5700억원이었던 삼성전기 FC-BGA 매출이 2024년 1조1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일각에선 M2 프로세서 공급을 계기로 삼성전기가 올해 처음 연간 매출 10조원을 넘어설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예상도 나온다.
○애플카에도…경쟁 치열
FC-BGA를 둘러싼 부품업계 경쟁은 심화될 전망이다. 향후 애플이 내놓을 자율주행차 ‘애플카’에도 FC-BGA의 쓰임새가 많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자율주행의 핵심인 고속 정보처리를 구현하려면 FC-BGA가 필요한 것으로 전해졌다.경쟁사인 LG이노텍도 지난 2월 이사회에서 FC-BGA 생산시설 구축에 4130억원을 투자하기로 결의했다. LG이노텍은 아직 FC-BGA를 생산하지 않는다. 이 분야 후발주자로, 지난해 말 FC-BGA 대응 조직을 신설했다.LG이노텍은 2024년 4월까지 관련 생산 기반을 마련한다는 목표다. 추후 시장 상황을 지켜보며 증설 등을 검토할 것으로 관측된다.
정지은 기자 je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