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대 '갑' 된 중국…"비싸도 무조건 사야할 판" 탄식 [남정민의 생산현장 줌 인]

원자재도, 기름도, 광물도 "월급 빼고 다 올랐다"

유가 올라 석유제품 가격↑
플라스틱, 섬유, 고무 줄줄이 영향

2차전지 광물값 급등에 중국 업체가 '甲'
철광석價 오르자 자동차 가격 상승압박↑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최근 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3.0%에서 2.5%로 낮추고,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3.1%에서 4.0%로 올렸습니다. 한 마디로 경기는 나빠지는데 지갑에서 나가는 돈은 많아진다는 겁니다. 물가가 4%대로 오르는 것은 2011년 이후 11년만입니다.

기업 생산현장에서도 “월급 빼고 다 올랐다”는 말을 심심찮게 들을 수 있습니다. 코로나19,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그리고 그린플레이션(친환경 정책으로 주요 원자재 공급부족 현상이 나타나 가격이 오르는 현상)이 맞물리며 물가가 역대급으로 튀어오르고 있습니다.

일주일만에 15달러 오른 유가

우선 정유, 철강 등 대한민국 산업의 기초가 되는 대동맥 산업이 원자재가 인상으로 비상상황입니다.

정유사들이 원유를 수입하고 정제해서 휘발유 등 석유제품을 팔고, 또 원유에서 석유화학의 쌀이라 불리는 나프타도 뽑아내 석유화학사들이 플라스틱 등의 소재도 만들어야 하는데 국제 유가가 폭등 중입니다.유가가 올라가면 정유사 입장에서는 ‘재료값’이 오른거니 제품가격에도 반영될 수밖에 없고, 그 나비효과는 석유화학업계로 뻗어가 플라스틱, 섬유, 합성고무(모두 나프타로 만듭니다) 등의 가격에도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일생생활에서 쓰는 소비재 중 나프타가 쓰이지 않은 제품을 찾기가 어려울 정도이니 그 영향은 적지 않을 전망입니다.

물론 유가가 올라가면 재고평가 가치가 높아지니 정유사들의 핵심 수익지표인 정제마진은 연일 상승 중입니다. 그러나 유가 상승폭이 워낙 크다보니 제품가격 인상분을 상쇄하고, 게다가 궁극적으로는 수요 감소로까지 이어질 수 있어 정유사들은 전전긍긍하고 있습니다. 세계적 메가트렌드인 ESG(환경·사회·지배구조)도 무시할 수 없습니다.

고유가 영향으로 올해 1,2분기에는 역대급 실적을 내겠지만 “그게 앞으로 벌 전부일 수 있다”는 이야기가 나오는 이유입니다.
유가가 일주일만에 15달러가 뛰고, 정제마진도 이제껏 볼 수 없었던 기이한 숫자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당장 기업들 실적이 어떤지, 숫자가 얼마나 나왔는지가 아니라 이제는 에너지 안보 차원에서 접근해야 할 문제로 보는 게 맞습니다.코로나19와 세계 2위 산유국인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같은 기형적인 외부 변수, 그리고 기존 석유제품에서 대체 에너지로 넘어가는 과도기 시대에 발생하는 수요-공급 불균형이 한꺼번에 맞물려 있습니다. 앞으로 제품 수급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야 할지는 대한석유공사나 산업통상자원부도 함께 고민해야 할 듯 합니다.

-국내 모 정유사 임원
국제 유가는 브렌트유 기준 지난 11일 배럴당 98.48 달러였던 가격이 일주일 만인 지난 18일 113.16달러로 뛰었습니다. 4월 초만 해도 90달러 선이었던 두바이유 역시 지난 21일 106.17달러를 기록하며 고공행진 중입니다.

절대 ‘갑’이 된 中 리튬업체

기름뿐만이 아닙니다. 리튬 등 광물도 문제입니다. 리튬과 니켈은 전기차 2차전지에 들어가는 핵심 원료입니다. 리튬은 지난 21일 기준 kg당 448.5위안을 기록했습니다. 지난 1월 kg당 264위안 선이었던 점을 고려하면 3달 만에 2배가량 뛴 셈입니다. 니켈도 상황은 마찬가지입니다. 니켈은 지난 21일 기준 t당 3만3775 달러를 찍었습니다. 올해 들어서만 (1월 2만730달러) 60% 가량 치솟았습니다.
"리튬 가격이 미쳤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 트위터 캡처.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도 이런 광물값에 혀를 내두르고 있습니다. 그는 지난 8일(현지시간) 트위터에 통해 “리튬 가격이 미친(insane) 수준까지 올랐다”며 “비용이 개선되지 않으면 실제 채굴과 정제에 직접 대규모로 진출해야 할지도 모른다”고 적었습니다.

리튬은 그 자체가 희귀한 광물은 아닙니다. 미국, 아르헨티나, 칠레 등 세계 곳곳에 매장돼있습니다. 문제는 채굴, 가공하는 속도를 수요가 앞질렀다는 겁니다.

게다가 광물을 가공해 만드는 원재료(광물 화합물) 시장은 중국이 사실상 독점하고 있습니다. 배터리 업계에서 ‘중국이 절대 갑(甲)’이라는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입니다.
옛날에는 장기계약 맺으면서 할인율 협상도 하고 그랬는데, 이젠 가격 실랑이 자체가 의미가 없습니다.

공급이 워낙 부족해서 (리튬이) 들어오는 족족 사는 상황이에요. 그러니 중국업체들도 점점 장기계약이 아닌 스팟(단기성) 계약으로 돌리고 있습니다.
-국내 2차전지 업계 관계자

철광석 가격 오르자 車가격 상승압박↑

철강산업도 마찬가지입니다. 철강사가 공급하는 제품이 자동차, 조선, 건설, 기계산업 등에 다 들어가야 하는데 원재료인 철광석 가격이 지난 1월 초 t당 125.18달러에서 지난 15일 기준 t당 152.06달러로 오르는 중입니다.

당연히 자동차 강판 가격은 인상될 수 밖에 없습니다. 국내 철강사와 완성차 업체들은 t당 15달러를 올리는 선에서 합의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사진=연합뉴스
자동차 강판 가격은 지난해 2017년 이후 4년 만에 처음으로 인상됐습니다. 인상폭은 상반기 t당 5만원, 하반기 t당 12만원이었습니다. 올해는 인상폭이 더 커진 만큼 완성차 가격 인상 압력이 커지는 것도 불가피해 보입니다.

자동차 부품에 쓰이는 알루미늄 가격도 오르는 중입니다. 지난 3월 알루미늄 평균 가격은 t당 3538달러로 집계됐습니다. 한 달(2월 3261달러)만에 8% 가량 뛰었습니다.

기업 현장에서는 인플레이션이 최소한 올해 말까지는 이어질 것이란 목소리가 나옵니다. 일론 머스크는 지난 20일(현지시간) 실적발표회장에서 “현장에서 느끼는 인플레이션 압력은 정부가 발표하는 수치보다 훨신 높다”며 “이 같은 현상이 최소 올 연말까지 지속될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JP모건 프라이빗 뱅크의 EMEA(유럽·중동·아프리카) 투자 전략 책임자는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인플레이션이 올해 하반기 정점에 달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3월 생산자물가지수(잠정·2015년 수준 100)는 116.46으로, 전월(114.95)보다 1.3% 높아졌습니다. 전월 대비 상승률(1.3%)은 2017년 1월(1.5%) 이후 5년 2개월 만의 최고 기록입니다.

저성장과 고물가를 동시에 잡을 정책을 찾기란 쉽지 않은 만큼 단기·중기적인 대책 마련을 위해 머리를 맞대야 할 때입니다. 우크라이나 사태 등으로 인해 발생한 공급망 교란이 일시적 현상이 아닌 뉴노멀(새로운 기준)이 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옵니다.조상현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장은 “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한 공급망 교란과 원자재 가격 상승은 우리 기업의 가격 경쟁력 약화와 채산성 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며 “범정부적 위기대응 시스템을 구축하고 민관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남정민 기자 peux@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