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임하는 '최장수 부총리' 홍남기 "부동산은 아쉬워"

사진=뉴스1
퇴임을 앞둔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임기 중 아쉬운 점으로 '부동산'을 꼽았다. 홍 부총리는 3년 6개월동안 자리를 지키면서 '최장수 부총리'라는 타이틀을 달게 됐다. 임기의 대부분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 놓인 와중에도 경제 회복을 이끌었지만, 부동산 문제 등은 아쉬운 점으로 꼽혔다. 홍 부총리 또한 이러한 점을 어느정도 인정하면서 임기를 마무리하게 됐다.

24일 연합뉴스 등에 따르면 홍 부총리는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 회의 개최 기간 미국 워싱턴D.C.에서 동행 기자단을 만나 "임기 중 아쉬운 점을 꼽으라면 역시 부동산시장 대책"이라며 "조금 더 시간이 있었다면 상당폭 하향 안정세를 시키고 나갔으면 좋았을 건데 다음 정부로 넘겨주게 됐다"고 아쉬움을 드러냈다. 그러면서 "언론에서 불안하다, 더 올라갈 것 같다, 이러면서 불안 심리가 더 커진 것도 있고, 우리나라는 근로소득에 의해 부를 축적하려는 것보다도 투기적 횡재 소득을 노리는 게 많아서 그런 측면에서 쉽지 않다"고 설명했다. 이어 "5년 단위로 보면 공급이 절대 적지 않다"며 "일부 언론은 자화자찬이라고 하지만, 물러나면서 그 정도 얘기는 해야 한다고 생각했다"고 덧붙였다.

또 아쉬운 점으로는 11년째 국회 문턱을 넘지 못한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서발법)과 재정준칙 입법미비 등을 언급했다. 서발법은 홍 부총리가 기재부 정책조정국장으로 재임할 때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 입법 실무를 맡았다. 2011년 12월 국회에 제출된 후 지금까지 계류 중이다.
사진=뉴스1
홍 부총리는 "2012년 기재부 정책조정국장 때 서발법을 처음 발의해 꼭 있어야 한다고 거품 물고 얘기했는데 부총리가 되고도 의료민영화 때문에 안 됐다"며 "의료민영화가 되려면 의료법, 약사법, 의료관계법을 고쳐야 하고 지난해 법조항에 '의료산업은 제외한다'고 정의하라고 했는데도 대화가 잘 안 됐다"고 털어놨다.재정준칙과 관련해서는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적자국채가 늘어나는데도 재정지출을 할 수밖에 없던 상황이었다"며 "앞으로 재정 정상화 과정에 꼭 필요한데 법제화가 안 됐다"며 아쉬워했다.

한편 보람찬 일로는 코로나 위기 극복을 꼽았다. 홍 부총리는 "2020년 2월 코로나19가 생길 때부터 지금 (감염병 등급) 2등급으로 떨어지면서 거리두기가 해제되기까지 A부터 Z까지를 했다"며 "코로나19 위기를 극복하고 경제를 회복한다는 (노력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고 회고했다.

이 밖에 홍 부총리는 2019년 일본 수출 규제에 우리가 소부장(소재·부품·장비) 대책으로 맞선 것을 언급하기도 했다. 그는 "소부장 특별회계는 예산실에서 다 반대했지만 내가 고집을 피워 만들었다"며 소부장 핵심품목의 대일의존도를 2019년 1~5월 31.4%에서 지난해 1~5월 24.9%까지 낮추다고 설명했다. 홍 부총리는 재임 기간 추가경정예산 7번, 본예산 4번 등 예산만 11번 편성하는 진기록도 세웠다. 그는 "앞으로 50년을 가도 한 부총리가 10번 이상 하는 경우가 없을 것"이라며 "자랑은 아니지만 깨지기 어려울 기록"이라고 말했다.

홍 부총리는 "내가 서울대 출신도 아니고, 영·호남 출신도 아니지만 그래도 장관까지 왔는데, 돌이켜 보면 열심히 한 것밖에는 없는 것 같다"며 "어디에 있든 가장 근본은 학연도 아니고, 지연도 아닌 자기 열정과 성실함이 쌓인 평판"이라고 전했다. 퇴임 후 정치권 진출에 대해서는 "별로 관심이 없다"고 다시 한번 강조했다. 장래 총리 차출 가능성에 대해서도 "나는 '자연인 1호'"라며 "일단 취업제한 3년 때문에 뭘 못 한다. 이제 추운 한겨울로 들어간다"고 답했다.

김하나 한경닷컴 기자 han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