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수만 새조개 귀환, 치패방류 효과…올해 포획 30%는 방류 개체

충남 천수만 치패 투입 해역에서 올해 포획한 새조개 30%가량은 충남도 수산자원연구소가 방류한 개체인 것으로 확인돼 최근 새조개 생산량의 급증 원인이 도의 치패 방류 사업 효과로 분석됐다.

25일 도 수산자원연구소에 따르면, 도는 2017년 2월 새조개 모패 1만4천590 패를, 2018년 6월에는 중성패 97만 패를 천수만에 뿌렸으며 2019년 30만 패에 이어 지난해 7월에도 50만 패를 각각 방류했다. 도 수산자원연구소가 방류 효과 확인을 위해 지난 2∼3월 천수만 5개 지점에서 포획한 새조개를 구입, 1개 지점당 50패 씩 모두 250패를 추려 유전자 검사를 했다.

검사에는 국립해양생물자원관과 공동 개발한 새조개 유전자 분석 마커를 활용했다.

그 결과, 치패 방류 해역에서 올해 포획한 새조개의 28%는 도 수산자원연구소 새조개 모패와 유전자가 일치했다. 방류 해역에서 1㎞ 떨어진 곳에서는 8%, 2.5㎞ 떨어진 해역에서는 4%가량 유전자가 일치했으며, 5㎞ 이상에서는 유전자가 같은 새조개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를 토대로 도 수산자원연구소는 방류 치패 중 상당수가 성패로 성장했고, 생리적 특성이나 해류 등의 영향으로 방류 지점 3㎞ 안팎에서 서식하고 있다는 결론을 내놨다.

도 수산자원연구소 관계자는 "방류 해역에서의 혼획률을 토대로 볼 때 천수만 새조개의 10%가량은 방류 개체라는 계산이 나온다"라며 "이는 새조개 방류에 높은 자원 조성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충남 도내 새조개 생산량은 2003년 1천156t으로 정점을 찍은 뒤, 2010년 7t, 2011년 1t을 기록하고, 2012년부터 8년 연속 공식 통계상 '0'을 기록했다.

2020년 25t이 포획돼 9년 만에 생산량 '0'을 탈출했으며, 지난해는 정부 통계에 오르지 못했으나, 홍성군이 내놓은 2021년 어업권별 생산 실적 현황을 통해 보면, 지난 2월 추정치보다 4배 이상 많은 73.1t으로 집계됐다.

올해 생산량은 100t을 훨씬 웃돌 것으로 예상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