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희경의 7과 3의 예술] 나와 그대의 절망을 비추다, 뭉크

김희경 문화부 기자
아름답지도, 유쾌하지도 않다. 순간을 생생하게 포착해서 정교하게 그려내지도 않았다. 거친 붓질과 일렁이는 선으로 표현한 핏빛 하늘, 해골 같은 얼굴로 비명을 지르는 사람만 덩그러니 있을 뿐이다.

그런데 전 세계 많은 사람이 이 그림을 알고 좋아한다. 노르웨이 출신 화가 에드바르 뭉크(1863~1944)의 ‘절규’(사진)라는 작품이다. 인기가 높은 만큼 패러디도 숱하게 이뤄졌다. 사람들은 대체 왜 절망과 공포만이 가득한 이 그림에 열광하는 걸까.○지독한 어둠으로부터 탄생한 명화

생각해 보면, 살면서 저런 표정을 한 번쯤은 지어봤던 것 같다. 겉으로 비명을 지르진 않았어도, 속으로 크게 좌절하면서 소리를 지르고 싶던 순간도 많았다. 하지만 당시의 고통과 절망을 오랫동안 묻어둔 채 외면해온 건 아닐까 싶기도 하다.

뭉크는 달랐다. 자신의 불안과 매일 마주하며, 그 감정 안으로 지독하게 파고들어 갔다. 그리고 화폭에 고스란히 담아냈다. 뭉크의 그림에 공감이 가고, 위로받게 되는 건 이 때문이다.뭉크에겐 유달리 더 아프고 안타까운 사연이 있다. ‘네가 반드시 죽는다는 사실을 기억하라’는 뜻의 ‘메멘토 모리(Memento mori)’라는 말은 유명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 사실을 잊은 채 살아간다. 하지만 뭉크는 평생 자신의 죽음을 떠올리며 살아갈 수밖에 없었다. 그가 태어난 지 5년 만에 어머니가 폐결핵에 걸려 세상을 떠났고, 누나도 9년 후 같은 병으로 눈을 감았기 때문이다. 그도 잦은 병치레에 시달려 죽음에 대한 공포에 휩싸였다.

그러다 뭉크는 우울함을 달래기 위해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고, 본격적으로 화가의 길을 가게 됐다. 하지만 대부분의 작품이 어두웠다. 22세 때 그린 작품 ‘병든 아이’도 아픈 소녀가 침대에서 죽음을 기다리는 장면을 그린 것이다. 신랄한 혹평을 받았지만, 뭉크는 자기 그림의 가치는 지독한 어둠에 있다고 생각했다. “더 이상 사람들이 독서하고 뜨개질하는 여인을 그려선 안 된다. 고통받고 있는 사랑하는 사람들을 그려야 한다.”

○잔인하고 찬란한 하루를 사는 법 한결같은 고집과 철학 덕분이었을까. 뭉크는 갈수록 유명해졌다. 29세에 첫 개인전을 열었는데, 독일의 일부 예술가들이 이때 뭉크를 눈여겨봤다. 그들은 뭉크가 신화나 역사가 아닌, 감정에 오롯이 집중하고 자유분방하게 표현했다는 점에 주목했다. 이를 계기로 뭉크는 많은 사람에게 인정받고 큰돈도 벌게 됐다.
하지만 그는 부귀영화를 누리는 것엔 큰 관심이 없었던 것 같다. 은둔 생활을 하며 더 깊숙이 자신의 내면세계로 빠져들었다. 서른 살에 그린 ‘절규’도 그렇게 탄생했다. 이 그림에서 뭉크가 경악하고 있는 이유는 뭘까. 그는 이렇게 설명했다. “어느 날 저녁, 나는 두 친구와 함께 길을 걷고 있었다. 피곤하고 지친 느낌이 들었다. 해가 저물고 있었고 구름은 피처럼 붉게 변했다. 나는 자연을 뚫고 나오는 절규를 느꼈다.” 뭉크의 심연에서 절망과 불안이 솟구쳐 나오고, 그 감정으로 온 세상이 핏빛으로 물든 듯한 기분이 든 것이다.

다행히 뭉크는 오래 살았다. 81세에 세상을 떠났다. 끊임없는 작품 활동으로 노년엔 조금씩 안정을 되찾았다. 세상을 떠날 땐 자신의 모든 작품과 재산을 오슬로시에 기증하고 평화롭게 눈을 감았다.

그의 어두운 그림들이 오래도록 사랑받는 이유는 누구보다 자신의 감정을 충실하게 들여다보고, 표현했기 때문이 아닐까. 뭉크의 작품을 보며 지금 이 순간 우리들의 마음을 떠올려보자. 알게 모르게 좌절감과 불안, 공포를 품고 있진 않은가. 오늘만큼은 그 감정들을 직시하고 스스로에게 위로를 건네는 건 어떨까. 그럼에도 이 잔인하고 찬란한 하루를 거뜬히 살아내야 하니까.○‘7과 3의 예술’에서 7과 3은 도레미파솔라시 ‘7계음’, 빨강 초록 파랑의 ‘빛의 3원색’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큰 감동을 선사하는 예술가들의 삶과 철학을 살펴봅니다.
김희경 기자 hk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