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 칼럼] 사이버 망명
입력
수정
지면A31
북한과 더불어 세계에서 인터넷 통제가 가장 심한 나라 중 하나가 중국이다. 구글 같은 유명 해외 사이트와 SNS 중 상당수가 접속이 차단돼 있다. 시진핑 국가주석의 별명인 ‘시다다((習大大·시씨 아저씨)’나 그를 풍자할 때 쓰는 캐릭터 소재인 ‘곰돌이 푸’ 등의 단어는 아예 검색 엔진에서 필터링된다. 중국 정부가 만리장성(The Great Wall)에 빗댄 이른바 ‘만리방벽(The Great Firewall)’이라는 사이버 검열 시스템으로 인터넷 세계를 꽉 틀어쥐고 있어서다.
그러다 보니 중국 유학생이나 주재원들에게는 VPN(가상 사설망)이 필수다. VPN을 통해 본인의 스마트폰이나 PC의 온라인 접속 위치를 중국 아닌 곳으로 바꿔 설정하는 방식으로 검열망을 우회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VPN을 활용해 독재 정부의 감시망을 피해 디지털 자유를 추구하는 행위를 ‘사이버 망명’이라고 부른다. 중국 거주 한국인들도 유료 VPN 서비스 등을 통해 구글·네이버 접속, 넷플릭스·유튜브 시청, 카톡 채팅 등을 하고 있다.요즘 사이버 망명이 가장 폭발적으로 늘고 있는 나라가 러시아다.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지시로 러시아 정부가 해외 주요 온라인 서비스와 사이트에 ‘디지털 장막’을 치자 VPN을 통해 이들 사이트에 접속하는 사람이 폭증하고 있다. 외신에 따르면 이달 들어 러시아 내 VPN 이용자 수는 지난 1월에 비해 50배 이상 급증했다고 한다.
러시아 정부가 접속을 막은 해외 사이트는 1000개 이상으로 추정된다. 인스타그램 트위터 페이스북 등 SNS와 CNN BBC 뉴욕타임스 등 해외 유수 언론 사이트가 포함돼 있다. 그러나 해외 SNS 서비스를 이용하던 러시아인 80%가 정부의 접속 차단 이후에도 VPN을 통한 접속으로 서비스를 계속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러시아 정부는 VPN 단속에도 나서고 있지만, 현재 20여 곳을 차단했을 뿐 세계 모든 VPN을 막기란 사실상 불가능하다.
만리방벽을 포함해 중국의 국가적 사이버 검열 시스템을 ‘금순공정(金盾工程)’이라고 한다. 우리말로 ‘황금 방패 계획’쯤으로 번역할 수 있다. 독재 국가가 제아무리 황금 방패를 갖다 댄들 언론과 표현의 자유에 대한 갈망을 막을 순 없다. 아날로그 세상이든, 디지털 세상이든 인류 보편의 최고 가치는 자유다.
윤성민 논설위원 smyoon@hankyung.com
그러다 보니 중국 유학생이나 주재원들에게는 VPN(가상 사설망)이 필수다. VPN을 통해 본인의 스마트폰이나 PC의 온라인 접속 위치를 중국 아닌 곳으로 바꿔 설정하는 방식으로 검열망을 우회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VPN을 활용해 독재 정부의 감시망을 피해 디지털 자유를 추구하는 행위를 ‘사이버 망명’이라고 부른다. 중국 거주 한국인들도 유료 VPN 서비스 등을 통해 구글·네이버 접속, 넷플릭스·유튜브 시청, 카톡 채팅 등을 하고 있다.요즘 사이버 망명이 가장 폭발적으로 늘고 있는 나라가 러시아다.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지시로 러시아 정부가 해외 주요 온라인 서비스와 사이트에 ‘디지털 장막’을 치자 VPN을 통해 이들 사이트에 접속하는 사람이 폭증하고 있다. 외신에 따르면 이달 들어 러시아 내 VPN 이용자 수는 지난 1월에 비해 50배 이상 급증했다고 한다.
러시아 정부가 접속을 막은 해외 사이트는 1000개 이상으로 추정된다. 인스타그램 트위터 페이스북 등 SNS와 CNN BBC 뉴욕타임스 등 해외 유수 언론 사이트가 포함돼 있다. 그러나 해외 SNS 서비스를 이용하던 러시아인 80%가 정부의 접속 차단 이후에도 VPN을 통한 접속으로 서비스를 계속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러시아 정부는 VPN 단속에도 나서고 있지만, 현재 20여 곳을 차단했을 뿐 세계 모든 VPN을 막기란 사실상 불가능하다.
만리방벽을 포함해 중국의 국가적 사이버 검열 시스템을 ‘금순공정(金盾工程)’이라고 한다. 우리말로 ‘황금 방패 계획’쯤으로 번역할 수 있다. 독재 국가가 제아무리 황금 방패를 갖다 댄들 언론과 표현의 자유에 대한 갈망을 막을 순 없다. 아날로그 세상이든, 디지털 세상이든 인류 보편의 최고 가치는 자유다.
윤성민 논설위원 smyo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