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두현의 아침 시편] 패랭이꽃과 카네이션에 얽힌 이야기
입력
수정
패랭이꽃(石竹花)
사람들은 모두 붉은 모란을 좋아해
뜰 안 가득 심고 정성껏 가꾸지만
누가 잡풀 무성한 초야에
예쁜 꽃 있는 줄 알기나 할까.
색깔은 달빛 받아 연못에 어리고
향기는 바람 따라 숲 언덕 날리는데
외진 땅에 있노라니 찾는 귀인 적어
아리따운 자태를 농부에게 붙이네.
*정습명(鄭襲明, ?~1151) : 고려 문신.
-------------------------------초야에 묻혀 사는 처지를 패랭이꽃에 비유하면서 세속의 모란과 대비시킨 시입니다. 고려 문신 정습명의 오언율시이지요. 패랭이꽃은 꽃 모양이 옛 민초들의 모자인 패랭이를 닮았다고 해서 붙은 이름입니다. 문학작품에서도 소시민을 비유하는 꽃으로 자주 쓰이지요.
이 시에서 패랭이꽃은 시인 자신을 의미합니다. 정몽주의 10대조인 정습명은 어려서부터 글을 잘 지었다고 해요. 예종 때 과거에 급제해서 내시(內侍, 이때까지는 문신이 맡았으나 의종 이후 환관이 차지)에 임명됐습니다.
그는 예종에 이어 인종의 총애를 받았고, 의종의 태자 시절 스승까지 맡았지요. ‘삼국사기’ 편찬 감독관으로 김부식, 김효충 등과 함께 작업하기도 했습니다. 그는 말년의 인종에게 "의종을 특별히 잘 보필해달라"는 부탁을 받았습니다. 어릴 때부터 의종을 가르쳤기에 누구보다 장단점을 잘 아는 그는 의종 즉위 이후 무엇이든 조언하며 가까이에서 도왔지요.
그러나 의종의 무절제한 행동과 유흥 향락이 이어지면서 그는 점차 배척받기 시작했습니다. 간신들이 기미를 알아채고 밤낮으로 참소하니 의종도 그를 미워하게 됐죠. 임금을 바른길로 돌이킬 수 없게 된 것을 확인한 그는 스스로 관복을 벗어 던지고 독약을 마셔 자결하고 말았습니다.결국 의종은 간사한 무리에 둘러싸여 민심을 완전히 잃었죠. 한번은 귀법사라는 절에 놀러 갔다가 말을 달려 달영다원까지 가게 됐는데 따르는 신하가 하나도 없었습니다. 그때 나무 기둥에 기대어 서서 주변 사람에게 “습명이 살아 있었다면 내가 어찌 이 지경에 이르렀겠는가” 하고 탄식했다고 합니다. 무신정변으로 축출될 때도 그를 찾았으나 소용이 없었지요.
이런 비극적인 사연을 미리 알기나 했을까요. 시의 소재인 패랭이꽃은 줄기에 대나무처럼 마디가 있다 해서 석죽화(石竹花)라고 부릅니다. 고려시대 시나 그림에 자주 등장하는데, 암 수술이 꽃잎 속에 숨어 있어 ‘정절’이라는 꽃말을 갖고 있기도 하지요.
하지만 이규보(李奎報) 같은 시인도 ‘영락(零落)하여 가을 날씨를 견디지 못하니, 죽(竹)이란 이름을 쓰기엔 외람되다(飄零不耐秋, 爲竹能無濫)’고 했으니 초야에 핀 들꽃의 운명은 어쩔 수 없었던 모양입니다.
누가 알아주지 않는 불우한 처지에서도 철 따라 제 몫의 아름다움을 피워내는 이 무명인(無名人)의 상징이 카네이션의 조상이라는 걸 알고는 슬며시 놀라는 사람도 있습니다.
어버이날에 카네이션을 선물하는 전통은 불과 100여 년 전에 생겼다고 합니다. 1907년 미국의 한 여성이 카네이션을 좋아하는 어머니에게 5월 둘째 주 일요일에 이 꽃을 선물한 것이 계기였다는군요. 이것이 우리나라에 전해져 어버이날이나 스승의날 기념 꽃으로 쓰였답니다.
그러고 보니 곧 ‘가정의 달’ 5월이군요. 어버이날(8일)과 스승의날(15일)도 머지않았습니다. 카네이션을 선물하면서 패랭이꽃에 얽힌 이야기까지 들려드릴 수 있다면 더욱 좋겠죠?■ 고두현 시인·한국경제 논설위원 : 1993년 중앙일보 신춘문예 당선. 시집 『늦게 온 소포』, 『물미해안에서 보내는 편지』, 『달의 뒷면을 보다』 등 출간. 시와시학 젊은시인상 등 수상.
고두현 논설위원 kdh@hankyung.com
사람들은 모두 붉은 모란을 좋아해
뜰 안 가득 심고 정성껏 가꾸지만
누가 잡풀 무성한 초야에
예쁜 꽃 있는 줄 알기나 할까.
색깔은 달빛 받아 연못에 어리고
향기는 바람 따라 숲 언덕 날리는데
외진 땅에 있노라니 찾는 귀인 적어
아리따운 자태를 농부에게 붙이네.
*정습명(鄭襲明, ?~1151) : 고려 문신.
-------------------------------초야에 묻혀 사는 처지를 패랭이꽃에 비유하면서 세속의 모란과 대비시킨 시입니다. 고려 문신 정습명의 오언율시이지요. 패랭이꽃은 꽃 모양이 옛 민초들의 모자인 패랭이를 닮았다고 해서 붙은 이름입니다. 문학작품에서도 소시민을 비유하는 꽃으로 자주 쓰이지요.
이 시에서 패랭이꽃은 시인 자신을 의미합니다. 정몽주의 10대조인 정습명은 어려서부터 글을 잘 지었다고 해요. 예종 때 과거에 급제해서 내시(內侍, 이때까지는 문신이 맡았으나 의종 이후 환관이 차지)에 임명됐습니다.
임금의 잘못 바로잡지 못하고 끝내…
그러나 자신을 알아주는 사람이 드물었다고 합니다. 어느 날 그는 이 시 ‘패랭이꽃’을 읊으며 혼자 한숨을 지었습니다. 이를 알게 된 예종이 감탄해 그를 옥당(玉堂·한림원)에 특별히 천거했지요. 그러니 이 시가 그의 출세작인 셈입니다. ‘파한집’에 이 얘기가 실려 있습니다.그는 예종에 이어 인종의 총애를 받았고, 의종의 태자 시절 스승까지 맡았지요. ‘삼국사기’ 편찬 감독관으로 김부식, 김효충 등과 함께 작업하기도 했습니다. 그는 말년의 인종에게 "의종을 특별히 잘 보필해달라"는 부탁을 받았습니다. 어릴 때부터 의종을 가르쳤기에 누구보다 장단점을 잘 아는 그는 의종 즉위 이후 무엇이든 조언하며 가까이에서 도왔지요.
그러나 의종의 무절제한 행동과 유흥 향락이 이어지면서 그는 점차 배척받기 시작했습니다. 간신들이 기미를 알아채고 밤낮으로 참소하니 의종도 그를 미워하게 됐죠. 임금을 바른길로 돌이킬 수 없게 된 것을 확인한 그는 스스로 관복을 벗어 던지고 독약을 마셔 자결하고 말았습니다.결국 의종은 간사한 무리에 둘러싸여 민심을 완전히 잃었죠. 한번은 귀법사라는 절에 놀러 갔다가 말을 달려 달영다원까지 가게 됐는데 따르는 신하가 하나도 없었습니다. 그때 나무 기둥에 기대어 서서 주변 사람에게 “습명이 살아 있었다면 내가 어찌 이 지경에 이르렀겠는가” 하고 탄식했다고 합니다. 무신정변으로 축출될 때도 그를 찾았으나 소용이 없었지요.
이런 비극적인 사연을 미리 알기나 했을까요. 시의 소재인 패랭이꽃은 줄기에 대나무처럼 마디가 있다 해서 석죽화(石竹花)라고 부릅니다. 고려시대 시나 그림에 자주 등장하는데, 암 수술이 꽃잎 속에 숨어 있어 ‘정절’이라는 꽃말을 갖고 있기도 하지요.
하지만 이규보(李奎報) 같은 시인도 ‘영락(零落)하여 가을 날씨를 견디지 못하니, 죽(竹)이란 이름을 쓰기엔 외람되다(飄零不耐秋, 爲竹能無濫)’고 했으니 초야에 핀 들꽃의 운명은 어쩔 수 없었던 모양입니다.
카네이션의 조상인 패랭이꽃
시골 들판 건조한 곳이나 냇가 모래땅에서 저 혼자 피고 지는 패랭이꽃!누가 알아주지 않는 불우한 처지에서도 철 따라 제 몫의 아름다움을 피워내는 이 무명인(無名人)의 상징이 카네이션의 조상이라는 걸 알고는 슬며시 놀라는 사람도 있습니다.
어버이날에 카네이션을 선물하는 전통은 불과 100여 년 전에 생겼다고 합니다. 1907년 미국의 한 여성이 카네이션을 좋아하는 어머니에게 5월 둘째 주 일요일에 이 꽃을 선물한 것이 계기였다는군요. 이것이 우리나라에 전해져 어버이날이나 스승의날 기념 꽃으로 쓰였답니다.
그러고 보니 곧 ‘가정의 달’ 5월이군요. 어버이날(8일)과 스승의날(15일)도 머지않았습니다. 카네이션을 선물하면서 패랭이꽃에 얽힌 이야기까지 들려드릴 수 있다면 더욱 좋겠죠?■ 고두현 시인·한국경제 논설위원 : 1993년 중앙일보 신춘문예 당선. 시집 『늦게 온 소포』, 『물미해안에서 보내는 편지』, 『달의 뒷면을 보다』 등 출간. 시와시학 젊은시인상 등 수상.
고두현 논설위원 kd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