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재부 "외환시장 급격한 시장 쏠림 발생하면 안정조치 실시할 것"
입력
수정
주요국 금리인상-중국 봉쇄-우크라 리스크 여전이억원 기획재정부 1차관은 최근 급등중인 원·달러 환율과 관련해 29일 "외환시장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며 급격한 시장 쏠림이 발생할 경우 시장안정조치를 실시한다는 원칙을 견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美장단기 금리차 역전에도 "아직 경기침체 예단X"
"한미 금리차 축소되도 급격한 자금 유출 없을 것"
러시아 디폴트 영향도 "직접 영향은 제한 적"
이 차관은 이날 서울 은행회관에서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고 “외환시장에서 미국의 금리 인상 가속화에 대한 우려와 함께 중국의 코로나 봉쇄조치에 따른 경기 둔화 우려가 맞물리며 원·달러 환율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전날인 28일 서울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날보다 7원30전 오른 1272원50전에 마감했다. 지난 20일(1236원10전) 이후 종가 기준 6거래일 연속 상승했다. 환율이 달러당 1270원을 넘은 건 2020년 3월 19일(1285원70전) 이후 2년1개월 만에 처음이다.
이날 거시금융회의는 전 세계적인 인플레이션 가속화와 주요 선진국들의 금리 인상 등 통화정책 정상화에 맞물리는 상황에서 금융시장의 리스크를 점검하고 향후 대응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열렸다. 기재부를 비롯해 금융위원회, 한국은행, 금융감독원, 국제금융센터가 회의에 참석했다.
이 차관은 "미국 국채의 장단기 금리가 일시적으로 역전됐고, 한국과 미국의 국채 금리차도 축소되는 등 국내외 금리 여건이 변화하고 있다"며 "우크라이나 사태와 대러제재의 지속, 중국 경기 준화 우려 등이 선진국들의 금리 인상과 함께 금융시장의 충격요인이자 글로벌 경제의 하방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말했다.정부는 주요국 금리 인상 속도와 수준에 대한 시장 불확실성이 해소되기 전까진 국내외 금융시장에서의 변동성 확대가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하지만 최근 미국 국채의 장단기 금리차 역전 현상 발생으로 불거진 경기 침체 우려에 대해선 유보적인 입장을 내놨다. 이 차관은 "경기 침체에 선행성이 높은 10년물과 3개월물 금리차 등에선 특이 징후가 관찰되지 않고 있다"며 "미 국채 10년물과 2년물 금리격차의 일시적 역전만으로 현 시점에서 경기침체를 예단하긴 어렵다"고 설명했다.
미국 금리의 급격한 상승에 다른 한·미 금리차 축소가 부를 외국인 자금 유입 둔화 우려에 대해서도 "현재 상황에서 외국인 투자 자금의 급격한 유출이 일어날 가능성은 제한적"이라고 밝혔다. 이 차관은 "외국인 자금의 유출입은 금리차 외에도 환율 전망, 실물 경제 여건, 대외신인도 등 다양한 요인이 영향을 미친다"며 "과거 내외금리 역전 시기에도 외국인 자금 유입세가 지속됐다는 점을 감안하면 여파는 제한적"이라고 말했다.
러시아 디폴트 우려 관련해서도 직접적인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 내다봤다. 지난 20일 신용파생상품결정위원회(CDDC)는 러시아의 달러표시 국채 2건에 대한 채무불이행을 결정했다. 오는 5월4일까지 달러화로 상환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최종 디폴트 판정이 내려질 전망이다.이 차관은 "러시아 디폴트가 선언되더라도 글로벌 주요은행들의 대러 익스포저가 과거 대비 절반 수준으로 감소한 상황"이라며 "국내 금융기관의 대러 익스포저도 전체의 미미한점 등을 볼 때 디폴트에 따른 직접적인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평가했다. 정부에 따르면 2022년 2월말 기준 국내 금융기관의 대러 익스포저 비중은 전체의 0.4% 수준이다.
다만 러시아 디폴트가 글로벌 유동성 위기로 전이될 가능성은 배제하지 않았다. 이 차관은 "러시아 민간 부문의 대외지급 불능으로 확대되거나 취약국의 실물·금융 부문으로 위험이 전이될 경우 글로벌 유동성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 등이 상존한다"며 "관련 동향과 우리 경제에 미칠 파급영향 등을 면밀히 점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황정환 기자 j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