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목 전 차관 경제수석 내정…농협이 조용히 미소짓는 이유는
입력
수정
최상목 전 재정경제부 제1차관(사진)이 윤석열 정부 청와대의 초대 경제수석으로 내정되면서 정작 농협중앙회, 농협금융 등이 조용히 '미소'를 짓고 있을 것이라는 얘기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와 금융권 안팎에서 나오고 있다.
이성희 농협중앙회장은 2020년 취임 직후 계열사 대표에 대한 물갈이 인사를 단행하면서 최 전 차관을 농협대 총장으로 임명했다. 선거를 통해 뽑힌 농협중앙회장은 첫 번째 인사를 통해 '논공행상'을 벌인다. 전국에 퍼져있는 지역농협이 농협중앙회에 권한을 행사하는 농협 지배구조의 특성상 인사에선 '지역 안배'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오산고 출신인 최 전 차관은 '서울' 권역 몫으로 농협대 총장에 낙점됐다.이때 농협 안팎에선 '왜 무리한 인사를 하느냐'는 뒷말이 적지 않았던 것으로 전해진다. 농협의 상아탑으로 불리는 농협대 총장은 농협중앙회 각 사업 부문의 대표이사급의 위상을 가진다. 농협대 총장은 이전까지 줄곧 농협중앙회 출신이 맡아와 최 전 차관의 선임은 파격으로 여겨졌다. 특히 최 전 차관이 박근혜 정부 시절 국정농단 사건에 연루돼있다는 의혹을 받고 퇴진한 터라 '굳이 왜…'라는 의문이 농협 안팎에서 적지 않았다는 후문이다. 농협의 한 관계자는 "최 전 차관은 정부 조직에서 신망 높은 관료로 선임 당시 '능력'면에선 아무도 이의를 제기할 수 없는 분위기였다"고 말했다.
농협은 경제·금융 관료를 적절히 영입해 효과를 봤던 조직이다. 특히 농협금융 회장 자리를 거친 관료 출신 인사만 신동규(2대), 임종룡(3대), 김용환(4대), 김광수(5대) 회장 등 총 4명이다. 이들은 농협금융이 지주사 체계를 다지고, 우리투자증권(NH투자증권) 인수하고, 대규모 부실 청산(빅배스)을 해내는 변곡점을 넘어서는 데 크게 기여했다는 평을 듣는다.
이 회장도 중앙회 이사(2003~2010년), 감사위원장(2008년~2015년) 등을 지내며 이 과정을 모두 지켜본 인물이다. 농협은 농협법에 근거한 조직인데다, 농협금융은 농업 정책대출을 많이 취급하는 특성상 '관가'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할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이 회장도 정관계에 두터운 인맥을 가진 것으로 전해졌다. 이 회장은 평소 능력 있는 관료는 언제든 쓰일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정부 안팎에서 최 전 차관의 재임 기간 농협이 최소한 손해는 보지 않을 것이라는 말이 나오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최근 농협금융 계열 NH농협생명에 지급여력비율(RBC) 문제가 불거지자, 최 전 차관이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경제1분과 간사 자격으로 금융당국에 보험사 건전성 위기에 대한 대책 마련을 지시했다는 얘기도 들린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최 전 차관이 힘든 시절 농협이 손을 잡아준 것만큼은 분명해 보인다"며 "팔을 안쪽으로 굽힐 순 없더라도, 바깥으로만 굽지 않아도 농협은 성공한 셈"이라고 말했다.
김대훈/이호기 기자 daepun@hankyung.com
이성희 농협중앙회장은 2020년 취임 직후 계열사 대표에 대한 물갈이 인사를 단행하면서 최 전 차관을 농협대 총장으로 임명했다. 선거를 통해 뽑힌 농협중앙회장은 첫 번째 인사를 통해 '논공행상'을 벌인다. 전국에 퍼져있는 지역농협이 농협중앙회에 권한을 행사하는 농협 지배구조의 특성상 인사에선 '지역 안배'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오산고 출신인 최 전 차관은 '서울' 권역 몫으로 농협대 총장에 낙점됐다.이때 농협 안팎에선 '왜 무리한 인사를 하느냐'는 뒷말이 적지 않았던 것으로 전해진다. 농협의 상아탑으로 불리는 농협대 총장은 농협중앙회 각 사업 부문의 대표이사급의 위상을 가진다. 농협대 총장은 이전까지 줄곧 농협중앙회 출신이 맡아와 최 전 차관의 선임은 파격으로 여겨졌다. 특히 최 전 차관이 박근혜 정부 시절 국정농단 사건에 연루돼있다는 의혹을 받고 퇴진한 터라 '굳이 왜…'라는 의문이 농협 안팎에서 적지 않았다는 후문이다. 농협의 한 관계자는 "최 전 차관은 정부 조직에서 신망 높은 관료로 선임 당시 '능력'면에선 아무도 이의를 제기할 수 없는 분위기였다"고 말했다.
농협은 경제·금융 관료를 적절히 영입해 효과를 봤던 조직이다. 특히 농협금융 회장 자리를 거친 관료 출신 인사만 신동규(2대), 임종룡(3대), 김용환(4대), 김광수(5대) 회장 등 총 4명이다. 이들은 농협금융이 지주사 체계를 다지고, 우리투자증권(NH투자증권) 인수하고, 대규모 부실 청산(빅배스)을 해내는 변곡점을 넘어서는 데 크게 기여했다는 평을 듣는다.
이 회장도 중앙회 이사(2003~2010년), 감사위원장(2008년~2015년) 등을 지내며 이 과정을 모두 지켜본 인물이다. 농협은 농협법에 근거한 조직인데다, 농협금융은 농업 정책대출을 많이 취급하는 특성상 '관가'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할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이 회장도 정관계에 두터운 인맥을 가진 것으로 전해졌다. 이 회장은 평소 능력 있는 관료는 언제든 쓰일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정부 안팎에서 최 전 차관의 재임 기간 농협이 최소한 손해는 보지 않을 것이라는 말이 나오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최근 농협금융 계열 NH농협생명에 지급여력비율(RBC) 문제가 불거지자, 최 전 차관이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경제1분과 간사 자격으로 금융당국에 보험사 건전성 위기에 대한 대책 마련을 지시했다는 얘기도 들린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최 전 차관이 힘든 시절 농협이 손을 잡아준 것만큼은 분명해 보인다"며 "팔을 안쪽으로 굽힐 순 없더라도, 바깥으로만 굽지 않아도 농협은 성공한 셈"이라고 말했다.
김대훈/이호기 기자 daep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