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페북·아마존 온라인광고 성장세 급락…코로나 반사이익↓

코로나19의 반사이익이 약해지면서 구글과 페이스북, 아마존 등 이른바 '온라인 광고 빅 3'의 온라인 광고 매출 증가세가 둔화하고 있다고 미 월스트리트저널(WSJ)이 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 신문은 지난주 나온 이들 기업의 실적에서 코로나19가 가져온 디지털 광고 성장세 둔화가 확연히 드러났다면서 이같이 전했다. 코로나19 충격에서 벗어나 점진적인 일상 회복이 이뤄지는 가운데 인플레이션 우려와 공급망 혼란, 우크라이나 전쟁, 틱톡의 부상, 애플의 새로운 사생활 보호 정책 등이 맞물리면서 디지털 광고 수요가 감소하고 있다는 것이다.

구글 모회사인 알파벳,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 플랫폼스, 아마존의 1분기 광고 매출은 각각 22%, 6%, 23% 늘었다.

성장하기는 했지만, 50%가 훌쩍 넘었던 지난해와 비교하면 성장률이 현저히 낮아졌다. 페이스북은 기업을 공개한 2012년 이후 가장 낮은 매출 증가세를 보였다.

'빅 3'은 2020년에는 코로나19 특수에 힘입어 처음으로 미국 전체 광고시장을 주도하는 주류 광고매체로 부상했다.

그렇지만 코로나19의 퇴조와 함께 소비자들의 행동도 점차 정상적인 패턴으로 돌아가면서 코로나19로 인한 반사이익도 사라지고 있다. 마크 저커버그 메타 최고경영자(CEO)도 지난주 실적발표 후 코로나19가 몰고 온 전자상거래 활성화에 따른 급격한 매출 성장세가 꺾이고 있다고 말했다.

세계 최대 다국적 광고회사 WPP의 계열사인 그룹M에 따르면 올해 정치광고를 제외한 전 세계 디지털 광고 지출 증가율은 13%로 지난해의 30%에 크게 못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디지털 광고 지출이 전체 광고 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67% 정도가 될 것으로 예상됐다. 메타와 알파벳은 우크라이나 전쟁도 광고 매출 증가세 둔화의 한 원인이라고 지목했다.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광고 수요가 줄었으며 특히 유럽 내 브랜드 광고 감소세가 두드러졌다는 것이다.

여기에 표적 광고와 광고효과 측정을 어렵게 한 애플의 새로운 사생활 보호 정책도 디지털 광고에 악영향을 줬다고 WSJ은 지적했다.

애플은 지난해 4월 앱의 이용자 추적을 제한하는 새로운 사생활 보호 정책을 도입, 앱을 실행하면 이 앱이 이용자의 검색·방문 기록을 추적해도 될지를 반드시 이용자에게 묻고 승인을 받도록 했다.

애플의 사생활 보호 정책 변경 이후 많은 기업이 광고 효과가 떨어진 페이스북이나 인스타그램에 쓰던 광고 예산을 다른 플랫폼으로 옮기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 메타는 애플의 사생활 보호정책으로 올해 100억달러(약 12조7천580억원)의 광고 매출 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중국 바이트댄스의 짧은 동영상 공유 플랫폼인 틱톡의 꾸준한 인기도 디지털 광고 시장의 경쟁을 격화시키고 있다.

인사이더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틱톡의 올해 전 세계 광고 매출은 116억달러(약 14조7천946억원)로 세배 늘어나면서 경쟁상대인 트위터와 스냅의 광고 매출을 합한 것보다 많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트위터와 스냅의 올해 광고 매출은 각각 55억8천만달러(약 7조1천167억원)와 48억6천만달러(약 6조1천984억원)로 전망됐다. 특히 트위터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의 인수에 따른 광고주 이탈 가능성도 나오고 있다고 WSJ은 전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