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이승건·김슬아·김범준 등 스타트업도 尹 취임식 간다
입력
수정
오는 10일 국회에서 열리는 윤석열 대통령 취임식에 이승건 비바리퍼블리카(토스) 대표, 김슬아 컬리(마켓컬리) 대표 등 스타트업 업계 주요 인사들이 대거 참석한다.
8일 스타트업 업계에 따르면 이 대표와 김 대표를 포함해 김범준 우아한형제들(배달의민족) 대표, 안성우 직방 대표, 김세영 피에스엑스(서울거래비상장) 대표, 유범령 모비데이즈 대표, 남성준 다자요 대표, 김정현 셰어하우스우주 대표 등이 대통령 취임식에 초청됐다. 최성진 코리아스타트업포럼 대표도 참석한다.10여 명의 스타트업 업계 인사들이 초청된 것은 정부가 플랫폼 규제 개혁과 관련한 의지를 보인 것이라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금융 앱 토스로 핀테크 규제를 깨온 이 대표, 신선식품 배송 시장에 혁신을 일으킨 마켓컬리의 김 대표, 부동산 거래를 편리하게 만든 직방의 안 대표 등은 코리아스타트업포럼 2대 공동의장이다.
두나무(증권플러스비상장)와 함께 국내 비상장 주식 거래를 활성화시킨 피에스엑스는 2020년 정부의 규제 완화로 '서울거래비상장' 플랫폼을 출시했다. 지난 2월에는 '부산대체거래시스템 및 핀테크 액셀러레이팅센터 준비 법인'을 설립하고 부산대체거래소 사업을 추진 중이다.
빈집 재생 프로젝트를 하는 다자요 역시 정부가 규제를 한시적으로 유예해준 '규제 샌드박스' 적용으로 되살아난 스타트업이다. 앞서 다자요는 2019년 7월 ‘농어촌 민박법’ 위반의 이유로 사업이 전면 중단되기도 했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그동안 플랫폼에 대한 규제보다는 자율성을 보장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혀왔다. 대통령직 인수위원회도 자율 규제와 관련해 한국인터넷기업협회 등 온라인 플랫폼 업계 관계자들과 지속적으로 논의해 왔다. 윤 당선인은 “플랫폼은 혁신의 하나로 사회 발전에 있어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며 “규제는 사회 발전을 가로막는 암적인 존재”라고 말하기도 했다.
업계에서도 차기 정부의 규제 혁신을 기대하고 있다. 코리아스타트업포럼은 최근 정책 제언을 통해 “새 정부는 사전 규제 중심의 현 규제 방식을 사후 규제로 전환하는 등 과감한 혁신을 추진해야 한다”며 “디지털 시대에 맞는 혁신 인재를 양성하고, 이들이 스타트업에 뛰어들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안정락 기자 jran@hankyung.com
8일 스타트업 업계에 따르면 이 대표와 김 대표를 포함해 김범준 우아한형제들(배달의민족) 대표, 안성우 직방 대표, 김세영 피에스엑스(서울거래비상장) 대표, 유범령 모비데이즈 대표, 남성준 다자요 대표, 김정현 셰어하우스우주 대표 등이 대통령 취임식에 초청됐다. 최성진 코리아스타트업포럼 대표도 참석한다.10여 명의 스타트업 업계 인사들이 초청된 것은 정부가 플랫폼 규제 개혁과 관련한 의지를 보인 것이라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금융 앱 토스로 핀테크 규제를 깨온 이 대표, 신선식품 배송 시장에 혁신을 일으킨 마켓컬리의 김 대표, 부동산 거래를 편리하게 만든 직방의 안 대표 등은 코리아스타트업포럼 2대 공동의장이다.
두나무(증권플러스비상장)와 함께 국내 비상장 주식 거래를 활성화시킨 피에스엑스는 2020년 정부의 규제 완화로 '서울거래비상장' 플랫폼을 출시했다. 지난 2월에는 '부산대체거래시스템 및 핀테크 액셀러레이팅센터 준비 법인'을 설립하고 부산대체거래소 사업을 추진 중이다.
빈집 재생 프로젝트를 하는 다자요 역시 정부가 규제를 한시적으로 유예해준 '규제 샌드박스' 적용으로 되살아난 스타트업이다. 앞서 다자요는 2019년 7월 ‘농어촌 민박법’ 위반의 이유로 사업이 전면 중단되기도 했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그동안 플랫폼에 대한 규제보다는 자율성을 보장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혀왔다. 대통령직 인수위원회도 자율 규제와 관련해 한국인터넷기업협회 등 온라인 플랫폼 업계 관계자들과 지속적으로 논의해 왔다. 윤 당선인은 “플랫폼은 혁신의 하나로 사회 발전에 있어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며 “규제는 사회 발전을 가로막는 암적인 존재”라고 말하기도 했다.
업계에서도 차기 정부의 규제 혁신을 기대하고 있다. 코리아스타트업포럼은 최근 정책 제언을 통해 “새 정부는 사전 규제 중심의 현 규제 방식을 사후 규제로 전환하는 등 과감한 혁신을 추진해야 한다”며 “디지털 시대에 맞는 혁신 인재를 양성하고, 이들이 스타트업에 뛰어들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안정락 기자 jr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