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대통령경호처 인원 30% 줄인다…'개방형' 체계로 개편
입력
수정
文 5년간 532명에서 697명으로 증가
소통 위해 '차단' 아닌 '개방' 경호로
인위적 감축 어려워 신규채용 줄일듯
육군·경찰 파견부대 조정안도 거론

윤 당선인 측 핵심관계자는 한국경제신문과의 통화에서 "현재 700여명인 대통령 경호처 인원을 30% 줄여 400명대 수준으로 조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는 문 대통령 재임 기간 경호처 인원이 과도하게 늘어나 불필요한 인원이 늘어났다고 판단한 데 따른 조치다. 문 대통령은 취임 중 3차례에 걸쳐 경호처 인원을 늘렸고 2017년 7월 총 532명이던 경호처 및 소속기관 정원은 165명 증가했다. 국민과의 소통을 늘리기 위해 인력 중심의 경호에서 '스마트 경호'로 체계를 개편하라는 윤 당선인의 지시도 반영됐다. 윤 당선인은 지난 3월 20일 대통령 집무실 이전 브리핑에서 "경호 기술도 상당히 첨단화돼있다. 그래서 국민들과 소통하고 국민 곁으로 다가가는 데 불편함이 없도록 경호 체계도 좀 바꿔나갈 생각"이라고 했다. 이에 따라 당선인 측은 인원을 동원해 통제·감시하는 '차단 분리형 경호'가 아닌 인공지능(AI)를 탑재한 CCTV, 무인로봇 등을 활용한 '개방형' 경호체계로 개편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육군·경찰 파견 인력을 줄이는 방안도 거론된다. 대통령경호처는 경찰 산하의 101경비단, 22경찰경호대, 수도방위사령부의 33군사경찰경호대, 55경비단 등의 지원을 받아 경호인력을 운용하고 있다. 당선인 측 한 관계자는 "용산으로 대통령집무실을 이전하는 만큼 현재 청와대 경호를 맡고 있는 지원부대들의 파견 규모를 조정할 수 있지 않겠느냐"고 전했다.
김인엽 기자 insid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