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종 앱장터 원스토어, 연내 동남아 진출"
입력
수정
지면A14
이재환 대표 IPO 간담회
애플 제치고 국내 시장 2위
거래액 연평균 26% 늘어
상장후 기업가치 1조 추산
증시 부진에도 기업공개 강행
![](https://img.hankyung.com/photo/202205/AA.29907323.1.jpg)
애플 제치고 국내 앱 마켓 2위
![](https://img.hankyung.com/photo/202205/AA.29909497.1.jpg)
원스토어는 SK텔레콤의 자체 앱 마켓인 T스토어가 전신이다. 이 대표가 KT와 LG유플러스를 직접 찾아가 설득한 끝에 통신 3사의 앱 마켓을 통합한 원스토어가 출범했다. 이후 네이버 앱스토어도 합병하면서 덩치를 키웠다. 출범 직후에는 시장점유율 확대에 어려움을 겪었지만 2018년 7월 수수료를 30%에서 20%로 인하하면서 반전의 계기를 마련했다. 거래액이 2019년부터 연평균 26.7%씩 늘어나 지난해 1조1319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원스토어의 국내 앱 마켓 시장점유율은 13.8%로 애플 앱스토어(11.6%)를 제치고 국내 2위 자리를 차지했다. 점유율 1위는 구글로 74.6%였다.성장을 이끈 건 모바일 게임이다. 모바일 게임 부문 매출이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연평균 40.6%씩 증가했다. 이 대표는 “상위 50위권 게임 중 원스토어에 입점한 게임이 2018년 12개에서 2021년 24개로 늘었다”고 말했다. 이에 더해 웹툰, 웹소설 등을 제작·유통하는 스토리 콘텐츠 사업을 성장동력으로 삼는다는 전략이다.
글로벌 시장 진출 원년
원스토어는 국내 사업에서 축적한 노하우를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을 본격적으로 개척하겠다는 계획이다. 하반기에 대만과 동남아시아 등 6개국에서 서비스를 시작하고 이후 북미와 유럽 등으로 확장하기로 했다. 이 대표는 “원스토어는 (국내에서) 애플을 제치고 구글을 추격하면서 해외 정부와 언론의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며 “구글과 애플의 독점 구조를 깨뜨릴 유일한 대안은 원스토어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원스토어는 20% 수수료 정책을 글로벌 시장에서도 유지한다. 아울러 각국 현지 사정에 맞는 진출 전략을 수립한다. 예를 들어 선불카드 결제 비중이 높은 동남아에서는 이를 지원하는 시스템을 갖추고, 다국적 통신사의 영향력이 높은 유럽에서는 ‘유럽판 원스토어 모델’을 만드는 식이다.광고 사업에 진출하겠다는 계획도 내놨다. 이 대표는 “이미 유저와 광고주를 확보했고 플랫폼 내 광고 관련 데이터를 충분히 축적해 타기팅 광고 등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고 말했다.
“성장 기회 놓치지 않겠다”
이 대표는 “책정된 공모금액은 어려운 시장 상황을 충분히 반영해 정해진 것”이라고 말했다. 원스토어는 이번 IPO를 통해 총 666만 주를 공모할 예정이다. 희망 공모가 범위는 주당 3만4300~4만1700원이다.상단 기준으로 상장 이후 시가총액은 1조1111억원, 공모 예정금액은 2777억원이다. 9~10일 기관투자가 대상 수요예측을 진행해 최종 공모가를 확정한 뒤 12~13일 일반 청약을 한다.
최석철 기자 dolso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