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태그플레이션공포에 S&P 500지수 4,000선 붕괴…나스닥 4.3%↓(종합)
입력
수정
인플레·금리 부담 속 주식 투매…기술주·정유주 등 전방위 하락 스태그플레이션(경기침체와 물가상승이 동시에 발생하는 현상) 공포가 미국 뉴욕증시를 1년여 전 수준으로 끌어내렸다. 9일(현지시간) 뉴욕증시의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653.67포인트(1.99%) 떨어진 32,245.70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132.10포인트(3.20%) 급락한 3,991.24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521.41포인트(4.29%) 폭락한 11,623.25에 각각 장을 마감했다.
마켓워치에 따르면 S&P 500 지수가 4,000선 아래에서 마감한 것은 지난해 3월 31일 이후 1년여 만이다. 다우 지수도 지난해 3월 9일 이후 최저치로 마감했고, 나스닥 지수는 2020년 11월 10일 이후 가장 낮은 종가를 기록했다.
인플레이션 장기화와 금융당국의 통화긴축 정책이 경제성장 동력을 약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사흘째 주식 투매로 이어진 것으로 분석된다.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은 지난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후 기자회견에서 0.75%포인트의 금리인상을 고려하지 않는다고 선을 그었으나, 시장에서는 연준이 물가를 잡기 위해 과격한 금리인상에 나설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이에 따라 10년물 미 국채 금리가 2018년 말 이후 최고 수준인 3%를 넘어서면서 증시에 악재로 작용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연준의 빠른 통화긴축 전환이 중국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봉쇄 정책,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맞물려 글로벌 경기침체를 불러올 가능성까지 제기한다.
금리 부담은 그동안 '제로 금리'의 혜택을 누렸던 기술주들의 가격을 일제히 끌어내렸다. 이날 아마존은 5.2%, 넷플릭스는 4.4%,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 플랫폼과 마이크로소프트는 나란히 3.7%, 애플은 3.3% 각각 하락했다.
미 증권거래위원회(SEC)에 550만달러의 벌금을 내기로 합의한 엔비디아는 9.2%, 비용 절감과 채용 규모 축소를 선언한 우버는 11.6% 급락했다.
상장된 지 얼마 안 된 신생 기술기업들의 주가는 더 크게 추락했다.
빅데이터 분석 기업인 팔란티어는 부진한 실적 전망에 21.3% 떨어졌고,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쿠팡도 22.3% 폭락했다.
경기침체 가능성 제기에 나이키와 뱅크오브아메리카가 나란히 2.9% 떨어지는 등 소비자 기업과 은행들의 주가도 부진했다.
보잉은 10.5% 급락했다.
또 6월 인도분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가 6.1%, 7월 인도분 브렌트유가 5.7% 각각 떨어진 여파로 엑손모빌(-7.9%)과 쉐브론(-6.7%) 등 정유주도 동반 하락했다.
국제유가는 중국의 코로나19 봉쇄 조치와 무역 지표 부진, 사우디아라비아의 원유 수출가 인하 등의 소식에 민감하게 반응했다. 투자은행 바클리의 마니시 데시팬더는 CNBC방송에 "스태그플레이션 위험이 계속 증가하면서 시장이 하방 리스크를 지닌 채 계속 심한 변동성을 보일 것으로 예상한다"며 "베어마켓 랠리(약세장 속에서 주가가 일시적으로 반등하는 현상)의 가능성을 무시할 수는 없지만 상승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132.10포인트(3.20%) 급락한 3,991.24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521.41포인트(4.29%) 폭락한 11,623.25에 각각 장을 마감했다.
마켓워치에 따르면 S&P 500 지수가 4,000선 아래에서 마감한 것은 지난해 3월 31일 이후 1년여 만이다. 다우 지수도 지난해 3월 9일 이후 최저치로 마감했고, 나스닥 지수는 2020년 11월 10일 이후 가장 낮은 종가를 기록했다.
인플레이션 장기화와 금융당국의 통화긴축 정책이 경제성장 동력을 약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사흘째 주식 투매로 이어진 것으로 분석된다.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은 지난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후 기자회견에서 0.75%포인트의 금리인상을 고려하지 않는다고 선을 그었으나, 시장에서는 연준이 물가를 잡기 위해 과격한 금리인상에 나설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이에 따라 10년물 미 국채 금리가 2018년 말 이후 최고 수준인 3%를 넘어서면서 증시에 악재로 작용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연준의 빠른 통화긴축 전환이 중국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봉쇄 정책,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맞물려 글로벌 경기침체를 불러올 가능성까지 제기한다.
금리 부담은 그동안 '제로 금리'의 혜택을 누렸던 기술주들의 가격을 일제히 끌어내렸다. 이날 아마존은 5.2%, 넷플릭스는 4.4%,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 플랫폼과 마이크로소프트는 나란히 3.7%, 애플은 3.3% 각각 하락했다.
미 증권거래위원회(SEC)에 550만달러의 벌금을 내기로 합의한 엔비디아는 9.2%, 비용 절감과 채용 규모 축소를 선언한 우버는 11.6% 급락했다.
상장된 지 얼마 안 된 신생 기술기업들의 주가는 더 크게 추락했다.
빅데이터 분석 기업인 팔란티어는 부진한 실적 전망에 21.3% 떨어졌고,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쿠팡도 22.3% 폭락했다.
경기침체 가능성 제기에 나이키와 뱅크오브아메리카가 나란히 2.9% 떨어지는 등 소비자 기업과 은행들의 주가도 부진했다.
보잉은 10.5% 급락했다.
또 6월 인도분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가 6.1%, 7월 인도분 브렌트유가 5.7% 각각 떨어진 여파로 엑손모빌(-7.9%)과 쉐브론(-6.7%) 등 정유주도 동반 하락했다.
국제유가는 중국의 코로나19 봉쇄 조치와 무역 지표 부진, 사우디아라비아의 원유 수출가 인하 등의 소식에 민감하게 반응했다. 투자은행 바클리의 마니시 데시팬더는 CNBC방송에 "스태그플레이션 위험이 계속 증가하면서 시장이 하방 리스크를 지닌 채 계속 심한 변동성을 보일 것으로 예상한다"며 "베어마켓 랠리(약세장 속에서 주가가 일시적으로 반등하는 현상)의 가능성을 무시할 수는 없지만 상승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