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금리대출 조이는 은행들…중신용자, 2금융권 내몰리나
입력
수정
지면A17
은행 10곳 중 7곳 규모 줄여주요 은행 10곳 중 7곳에서 최근 2년 새 중금리대출 규모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국민은행의 작년 중금리대출 취급액은 99억원에 그쳐 2019년(226억원) 대비 절반 넘게 감소했다. 같은 기간 신한은행(1157억원→1049억원)과 하나은행(551억원→446억원), 농협은행(41억원→13억원)도 감소세를 보였다. 5대 은행 가운데 우리은행만 2019년 698억원에서 지난해 1028억원으로 47% 증가했다.지방은행의 상황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경남은행(64억원→70억원)은 소폭 늘었지만 부산은행(83억원→74억원), 광주은행(298억원→153억원), 전북은행(473억원→266억원)은 쪼그라들었다. 대구은행이 2019년 155억원에서 2020년 1337억원, 지난해 1179억원으로 코로나19 사태 이후 중금리대출 취급액을 크게 늘려 눈에 띄었다. 대구은행 관계자는 “신천지발(發) 코로나19 사태로 대구가 직격탄을 맞으면서 지역의 영세 자영업자 등을 대상으로 대출을 확대했다”고 설명했다.은행들이 취약계층을 포용하는 대신 고신용자 대상 대출에 집중하고 있는 것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적지 않다. 은행들이 작년 총량 규제를 맞추기 위해 대출 문턱을 높인 게 중신용자한테 더 큰 충격으로 다가왔다는 분석이다. 하지만 저축은행과 캐피털사, 신용카드사는 중신용자를 타깃으로 하는 등 시장이 세분화돼 있는 만큼 1·2금융권 사이 역할 분담은 당연하다는 평가도 있다.
"고신용자에만 대출" 비판도
금융권에선 은행들의 실제 중금리대출 규모가 더 크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작년까지 ‘중금리대출 상품’으로 사전공시된 상품을 통해 나간 대출만 중금리대출로 분류가 됐기 때문이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신용등급 4등급 이하에게 돈을 빌려줬더라도 중금리대출 상품이 아니라 일반 신용대출 상품을 통했다면 중금리대출 실적으로 인정되지 않았다”며 “통계에 잡히지 않은 중금리대출이 있다”고 했다.
향후 은행권의 중금리대출 확대 여부에 대한 전망은 엇갈린다. 금리 인상기에 올 들어 가계대출 수요가 감소하고 있는 만큼 은행들이 중금리대출 활성화를 통한 여신 포트폴리오 다변화에 나설 것이란 관측이다. 반면 윤석열 대통령이 대선 후보 시절 공약한 ‘예대금리차(예금금리와 대출금리의 차이) 공시제도’가 시행되면 은행들이 이 수치를 줄이고자 금리가 높은 중신용자 대출을 더욱 줄일 것이란 예상도 있다.
이인혁 기자 twopeopl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