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시민단체 대신 관료 중용…요직엔 검찰 출신 포진
입력
수정
지면A6
비서관급 이상 50명 분석윤석열 정부 대통령비서실에서는 문재인 정부 청와대에서 중책을 맡았던 교수·시민단체 출신이 크게 줄고, 검찰 및 관료 출신이 약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당장 일할 수 있는 ‘실무형 인력’을 우선 선발하라는 윤 대통령의 주문에 따른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한국경제신문이 11일까지 발표된 대통령비서실 인사 50명을 분석한 결과 연령별로는 50대, 출신 학교는 서울대, 직업은 관료 출신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50대가 38명(76%)으로 가장 많았고, 60대가 8명(16%), 40대가 4명(8%)이었다. 평균 연령은 54.1세다. 출신 학교는 서울대가 19명(38%), 고려대가 7명(14%), 연세대가 6명(12%) 순으로 나타났다. 육군사관학교 출신은 4명(8%)이다.비서관급 이상 인사 50명 중 여성은 4명(8%)에 불과했다. 강인선 대변인, 조성경 과학기술비서관, 김정희 농해수비서관, 권성연 교육비서관 등이다. “인위적 성별 할당은 하지 않겠다”는 윤 대통령의 원칙이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 이어 대통령비서실 인선에도 적용된 결과다.
50대·서울대 출신이 대세
'실무형 인력' 최우선 선발
복두규·주진우 등 '尹 사단' 발탁
강인선 대변인 등 여성은 4명뿐
윤 대통령 비서실 인선이 전 정부 비서실과 가장 다른 점은 ‘교수·시민단체 출신’의 퇴조다. 문재인 전 대통령은 청와대 정책실장에 교수 출신인 장하성 주중대사, 민정수석에 조국 서울대 법학과 교수를 등용했다. 사회수석과 경제수석도 학자 출신인 김수현 세종대 공공정책대학원 교수와 홍장표 부경대 경제학부 교수가 각각 맡았다. 하승창 사회혁신수석, 조현옥 인사수석 등 시민단체 출신도 중용됐다.
하지만 윤석열 정부에서 교수 출신 인사는 김성한 국가안보실장과 안상훈 사회수석 두 사람뿐이다. 김 실장은 박근혜 정부 외교부 2차관을 지낸 만큼 행정 경험이 없는 교수 출신은 안 수석이 유일하다. 시민단체 출신은 범시민사회단체연합 공동대표 출신의 임헌조 시민소통수석비서관 한 명이다.대신 검찰·관료 출신이 새로운 주류로 떠올랐다. 비서관급 이상 인사 10명 중 4명은 관료 출신이다. 특히 경제수석실과 사회수석실은 비서관이 모두 각 부처에서 경력을 쌓은 실무형 인사다.
인사·총무·부속 등 핵심 부서에는 검찰 출신이 중용됐다. 더불어민주당은 물론 국민의힘 일각에서도 “윤 대통령을 가장 가까운 거리에서 보좌하는 ‘문고리 권력’을 검찰 출신으로 채웠다”는 지적이 나올 정도다.
인사기획관실에는 ‘윤석열 라인’으로 꼽히는 복두규 인사기획관, 이원모 인사비서관이 포진했다. 주진우 법률비서관과 강의구 부속실장도 검찰에서 윤 대통령과 인연을 맺은 인사다. 인수위에서 일했던 한 인사는 “1기 비서진은 검찰, 기획재정부, 윤핵관(윤석열 핵심 관계자) 출신이 약 3분의 1씩 차지한 셈”이라고 말했다.
김인엽 기자 insid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