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경호 "공급망-금융시장 위험 대비…아세안과 한중일 협력해야"
입력
수정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2일 화상으로 열린 '아세안+3(태국·베트남·인도네시아 등 아세안 10개국과 한중일) 재무장관 및 중앙은행총재 회의'에 참석해 이 같은 의견을 피력했다. 추 부총리는 아세안+3 회의에 앞서 해당 회의 의제를 점검하는 '한중일 재무장관 및 중앙은행총재 회의'를 통해 국제무대에 데뷔했다.추 부총리는 데뷔 무대의 핵심 의제로 공급망 위험 완화를 위한 협력을 강조했다. 그는 "그간 아세안+3가 지향해온 '자유롭고, 규칙에 기반한 다자무역시스템'을 통해 역내 공급망 위험을 완화하기 위한 회원국 간 협력이 필요하다"고 다른 회원국에 촉구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계기로 원자재 가격이 폭등하면서 에너지·식량 생산국들의 수출 규제가 이어지자 공식적으로 우려를 표한 것이다.
뉴욕타임즈에 따르면 지난해 10건 이내였던 식품·비료 분야 전 세계 각국의 수출 규제 건수는 올들어 47건으로 늘었다. 중국은 지난 해부터 자국 재고 확보를 위해 비료 수출을 통제하고 있다. 인도네시아 역시 지난 달부터 팜유 수출을 통제하고 있다.
추 부총리는 이날 회의에서 금융위기에 대비한 역내 협력 강화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그는 "실물·금융 연계성이 강화되는 가운데, 국제금융 시장 불안에 따른 역내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에 대비해 치앙마이 이니셔티브 다자화(CMIM) 모의훈련 등 지역금융안전망을 촘촘히 구축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CMIM은 회원국의 유동성 위기 시 이를 지원하는 다자간 통화스와프 체계로 총 2400억달러 규모로 조성됐다. 한국의 분담분은 386억달러로 분담비율은 16%다.
이날 회원국들은 올해 말까지 CMIM 내 제3국 통화 공여절차를 마련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지난해 회의를 통해 회원국이 특정국 통화 지원을 요청할 경우 해당국이 자국통화를 지원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한데 이어 제3국이 필요 통화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예를 들면 필리핀이 위안화 지원이 필요할 경우 일본이 보유한 위안화를 지원할 수 있는 셈이다.
황정환 기자 j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