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선 '깡통전세' 속출…보증금 사고액 사상 최대
입력
수정
지면A5
전셋값 상승세가 가팔랐던 지방 중소도시에서 깡통전세가 등장하고 있다. 최근 지방 아파트값이 고점을 찍고 하락세로 돌아선 만큼 전세가가 매매가를 앞지르는 역전 현상이 줄을 이을 전망이다. 올 들어 4월까지 전세보증금반환보증 사고 금액이 역대 최대를 기록하면서 전세가 급등 부작용이 지방에서부터 현실화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12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방 중소도시의 전세가율은 지난해 11월(76.9%)부터 올해 3월(77.1%)까지 상승세다. 반면 수도권은 같은 기간 0.2%포인트(63.8%→63.6%) 감소했다. 지방은 4~5월에도 전셋값이 매매가보다 더 큰 폭으로 올랐다. 지방 중소도시 매매가격지수는 4월 첫째주 106.1에서 5월 첫째주 106.2로 0.1포인트 올랐다. 충남, 전남 등지의 전세가격지수도 0.2포인트(104.9→105.1) 상승했다.
이로 인해 일부 지방 단지에서는 전세가가 매매가를 앞서는 역전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부동산 빅데이터업체 아실에 따르면 경남 김해시 대청동 ‘갑오마을4단지부영’(2002년 준공·760가구)의 전용면적 80㎡(4층)는 3월 1억7850만원에 매매된 뒤 다음달 보증금 1억9500만원에 세입자를 찾았다. 1650만원의 마이너스 갭이 발생한 셈이다. 경북 구미시 옥계동 ‘대동한마음타운’(1995년 준공·690가구)의 전용 59㎡(8층)는 2월 7700만원에 팔린 뒤 4월 1500만원 높은 9200만원에 전세 계약이 체결됐다.
마이너스 갭 거래가 나오면서 깡통전세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깡통전세가 증가하면 세입자는 보증금을 돌려받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실제로 올 들어 전세금반환보증보험 사고액도 증가하고 있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따르면 1~4월 전세보증금반환보증 사고 액수는 2018억원이다. 사고액이 연간 역대 최대였던 지난해 같은 기간(1556억원)에 비해 22.8%(462억원) 증가한 규모다.김효선 농협은행 부동산수석위원은 “지방의 매매가는 고점이 지나 상승세가 잠잠해졌지만, 전셋값은 아직 억눌려 있어 오는 8월 이후 계약갱신청구권이 종료된 매물이 등장하면서 더 상승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혜인 기자 hey@hankyung.com
12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방 중소도시의 전세가율은 지난해 11월(76.9%)부터 올해 3월(77.1%)까지 상승세다. 반면 수도권은 같은 기간 0.2%포인트(63.8%→63.6%) 감소했다. 지방은 4~5월에도 전셋값이 매매가보다 더 큰 폭으로 올랐다. 지방 중소도시 매매가격지수는 4월 첫째주 106.1에서 5월 첫째주 106.2로 0.1포인트 올랐다. 충남, 전남 등지의 전세가격지수도 0.2포인트(104.9→105.1) 상승했다.
이로 인해 일부 지방 단지에서는 전세가가 매매가를 앞서는 역전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부동산 빅데이터업체 아실에 따르면 경남 김해시 대청동 ‘갑오마을4단지부영’(2002년 준공·760가구)의 전용면적 80㎡(4층)는 3월 1억7850만원에 매매된 뒤 다음달 보증금 1억9500만원에 세입자를 찾았다. 1650만원의 마이너스 갭이 발생한 셈이다. 경북 구미시 옥계동 ‘대동한마음타운’(1995년 준공·690가구)의 전용 59㎡(8층)는 2월 7700만원에 팔린 뒤 4월 1500만원 높은 9200만원에 전세 계약이 체결됐다.
마이너스 갭 거래가 나오면서 깡통전세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깡통전세가 증가하면 세입자는 보증금을 돌려받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실제로 올 들어 전세금반환보증보험 사고액도 증가하고 있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따르면 1~4월 전세보증금반환보증 사고 액수는 2018억원이다. 사고액이 연간 역대 최대였던 지난해 같은 기간(1556억원)에 비해 22.8%(462억원) 증가한 규모다.김효선 농협은행 부동산수석위원은 “지방의 매매가는 고점이 지나 상승세가 잠잠해졌지만, 전셋값은 아직 억눌려 있어 오는 8월 이후 계약갱신청구권이 종료된 매물이 등장하면서 더 상승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혜인 기자 he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