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정상회담 앞두고…'통화스와프 논쟁' 재점화
입력
수정
지면A4
"안전판 역할…빨리 체결을"원·달러 환율이 2008~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수준인 1290원 근처까지 오르면서 비상시 ‘안전판’ 역할을 할 한·미 통화스와프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다시 커지고 있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2일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한·미 정상회담 때 한·미 통화스와프를 의제로 올리는 걸 검토해볼 수 있다고 했다. 이에 따라 오는 20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방한과 한·미 정상회담을 계기로 한·미 통화스와프가 재개될 가능성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vs
"시장에 잘못된 신호 줄수도"
한국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에 이어 2020년 코로나19 위기 당시 미국과 통화스와프 협정을 체결했는데, 이 협정은 작년 말 종료됐다. 김정식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한국경제신문과의 통화에서 “외환시장이 단기간에 안정되기는 어렵다”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한·미 통화스와프를 빨리 추진하는 것이 좋다고 본다”고 말했다.오정근 건국대 금융IT학과 특임교수는 “바이든 대통령이 한국을 방문할 때 한·미 통화스와프 체결이 의제가 돼야 한다”며 “국가적 역량을 총동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한·미 통화스와프 체결이 시급한 건 아니란 시각도 있다. 최근 원·달러 환율 급등은 한국 경제의 펀더멘털(기초체력)에 문제가 있다기보다 미국의 긴축에 따른 ‘달러 강세’ 때문이란 이유에서다. 원화뿐 아니라 엔화, 유로화 등 주요국 통화 역시 달러 대비 약세를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정부에서도 추 부총리의 ‘한·미 통화스와프 검토’ 발언은 ‘원론적’ 수준의 얘기일 뿐 지금 당장 한·미 통화스와프 논의가 이뤄지는 건 아니라는 말이 나온다. 정부 관계자는 “당장 미국과의 통화스와프가 필요할 정도로 위기라고 판단하지 않는다”며 “미국의 의지도 중요할뿐더러 섣불리 추진했다가 시장에 잘못된 시그널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조미현/임도원 기자 mwis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