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은혜, 오세훈과 '원팀' 어필 "손잡고 숙원사업 해결할 것"
입력
수정
김은혜·오세훈, '경기·서울 상생발전 정책협약'오는 6·1 지방선거 경기도지사 선거에 출마한 김은혜 국민의힘 후보가 오세훈 서울시장 후보와 경기도민과 서울시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상생 협약식을 가졌다. 출마 때부터 오 후보와 호흡을 맞춘 이력을 강조해온 김 후보가 여론조사에서 거듭 '초접전' 구도가 지속되자, '원팀'을 어필하며 지지 확장에 나서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金 "경기 문제는 경기만으로 풀 수 없어"
"중앙정부 전폭 지원+서울 협력 필수"
김 후보는 16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오 후보와 '경기-서울 상생발전 정책협약'을 체결했다. 상생 협약 내용은 총 9가지로 다음과 같다.▲GTX 노선의 조기 완공 및 서울시 도시철도 노선의 경기도 연장·급행화 ▲서울-경기도 간 광역버스, 심야버스 노선 신설 및 증편 ▲서울 경계 구간 교통체증 문제 해소 및 환승 정류소 등 교통 편익 시설 환경개선 ▲맑고 깨끗한 대기질 개선을 위한 노후 경유 차 관리 등 친환경 정책 협력 ▲한강과 한강 지천에 대한 생태환경의 보전 및 수질개선으로 쾌적한 환경구축 ▲광역재난재해의 신속 대응을 위한 종합 대응 시스템 구축 운영 ▲서울시와 경기도의 디지털플랫폼 행정을 활용한 생활 체감형 서비스 공동 제공 ▲경기 판교-과천과 서울 동남권을 연계한 첨단산업 클러스터 조성 ▲노인, 아동, 장애인의 더 나은 삶을 위한 복지사업의 협력체계다.김 후보는 이날 협약식 이후 '김은혜의 진심으로, 오세훈과 썸타자'는 입장문을 냈다. 김 후보는 오 후보의 선거 캠프 이름인 '오썸캠프'(오세훈과 썸타자)를 언급하면서 "썸을 잘 타려면 어떻게 해야 하겠나. 바로 진심이 있어야 한다"며 "저 김은혜의 캠프 이름이 바로 '진심캠프'"라고 했다.
김 후보는 "저는 경기도의 문제는 경기도만으로 풀 수 없다고 여러 차례 말한 바 있다. 중앙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은 물론이거니와, 서로 경계를 마주하며 많은 것을 공유하고, 또 같은 문제를 고민하는 서울과의 협력은 현안 해결에 필수"라며 "시작도 전부터 사사건건 중앙정부와 각을 세우며 정쟁에 몰두하는 '발목잡기 도정', 바로 옆 서울시와도 불통으로 일관하며 아무런 성과도 내지 못하는 '외톨이 도정'으로는 경기도민의 삶을 나아지게 할 수 없다"고 했다.김 후보는 이어 "힘 있는 집권 여당의 후보, 저 김은혜가 오세훈 후보와 함께 당선돼 손을 잡고 숙원사업들을 해결해 나가겠다"며 "선언적인 내용에 그치지 않겠다. 선거가 끝나면 나 몰라라 하지도 않겠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오늘 협약의 내용은 즉각 실무협의체를 구성해, 도지사에 당선되는 즉시 실천에 옮길 수 있도록 만반의 준비를 하겠다"며 "이제 저 김은혜가 만들어갈 경기도는 주거, 교통, 복지, 환경 등 모든 분야에서 '서울특별시'와 머리를 맞대는 '경기특별도'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한편, 이날 공표된 여론조사에서 김은혜 후보는 김동연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오차범위 내 접전을 이어가고 있는 반면, 오 후보는 경쟁자인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후보를 20%포인트 이상 격차로 앞섰다. 오 후보 측은 오는 지방선거에서의 낙승(樂勝)을 전망하고 있지만, 김은혜 후보 측은 긴장을 늦추지 못하는 상황이다.한국갤럽이 중앙일보 의뢰로 지난 13~14일 경기도 거주 만 18세 이상 남녀 1010명을 대상으로 경기도지사 후보자 지지율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김은혜 후보 40.5%, 김동연 후보 38.1% 순으로 나타났다. 두 후보 간 격차는 2.4%포인트로, 오차범위(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 안이다. 강용석 무소속 후보는 4.0%로 집계됐다.
한국갤럽이 같은 기간 서울 거주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서울시장 후보자 지지율을 조사해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오세훈 후보가 56.5%를 기록해 31.4%를 기록한 송영길 후보를 오차범위 밖에서 앞섰다. 두 후보 간 격차는 25.1%포인트다.
이번 여론조사는 유선 임의전화걸기(RDD)와 무선(가상번호)을 결합한 전화 면접조사 방식으로 실시됐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최대 서울 ±3.1%포인트, 경기 ±3.1%포인트, 인천 ±3.5%포인트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홍민성 한경닷컴 기자 ms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