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건축 등 규제완화 기대감에 4월 서울 주택가격 상승 전환
입력
수정
아파트는 하락폭 축소…정비사업 호재 연립주택 가격 올라
전세 낙폭 줄고 월세는 상승폭 확대…서민 주거비 부담 커져지난 3월 대선 이후 재건축·재개발 규제완화, 부동산 세제 감면 등에 대한 기대감으로 지난달 서울의 주택가격이 석 달 만에 상승 전환된 것으로 나타났다.16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지난달 서울 주택(아파트·연립주택·단독주택 통합) 가격은 전월 대비 0.04% 상승했다.
서울 주택가격은 연초 대출 규제와 극심한 거래 가뭄 여파로 2월과 3월 두 달 연속 각각 -0.04%, -0.01%의 하락세를 보였다.
그러나 대선 이후 새 정부의 재건축·재개발 등 정비사업 규제 완화와 다주택자 양도세·종합부동산세 등 보유세 감면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 가격이 상승 전환된 것으로 풀이된다.유형별로 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0.01% 하락했으나 낙폭은 전월(-0.07%)보다 크게 둔화됐고, 연립주택은 지난 3월 -0.01%에서 4월에는 0.01%로 상승 전환됐다.
단독주택 매매가격은 지난 3월 0.32%에서 4월 0.36%로 상승폭이 확대됐다.
서울의 주택종합 매매가를 구별로 보면 대통령실 이전 호재가 있는 용산구가 0.15% 올라 상승세가 두드러졌고, 강남구(0.14%)와 서초구(0.12%) 등 강남권 역시 규제완화에 대한 기대로 상승했다.3월 하락세를 보였던 인천과 경기지역 주택가격도 4월에는 각각 0.01%, 0.03% 올라 상승 전환됐다.
이에 따라 수도권 주택가격도 0.03% 올라 2개월 연속 이어진 하락세를 멈추고 오름세로 돌아섰다.
인천과 경기도의 아파트값은 각각 0.05%, 0.06% 내려 낙폭이 축소됐고 연립주택은 각각 0.10%, 0.18% 상승해 전월보다 오름폭이 커졌다.지방 주택시장도 4월 들어 상황이 개선된 모습이다.
지방 5대 광역시의 주택가격은 0.04% 하락해 전월(-0.06%)보다 하락폭이 축소됐다.
다른 지방은 0.09%로 올라 전월(0.07%)보다 상승폭이 확대되면서 전국의 주택가격도 3월 0.02%에서 4월에는 0.06%로 오름폭이 커졌다.
지난달 수도권 주택 전세(-0.03%)는 약세가 이어졌지만 전월(-0.08%)보다 하락폭은 줄었다.
3월 대선을 전후해 대출 전세자금대출이 재개되면서 급전세가 소화된 영향이다.
서울 주택 전셋값은 0.04% 떨어져 2월 이후 3개월 연속 하락세가 지속됐으나 전월(-0.06%)보다는 낙폭이 축소됐다.
인천은 3월 -0.26%에서 4월 -0.08%로, 경기는 -0.06%에서 4월 -0.01%로 하락폭이 줄었다.
이런 영향으로 전국의 주택 전셋값은 3월 0.02% 하락에서 4월은 0.01% 상승으로 반전됐다.
전국의 주택 월세가격은 지난 3월 0.14%에서 4월 0.15%로 상승폭이 커졌다.
특히 준월세(0.18%)와 월세(0.20%)의 오름폭이 전월보다 확대되며 서민들의 주거비 부담이 커진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의 주택 월세가격은 0.04%로 올라 전월(0.06%)보다 오름폭이 줄었지만 인천(0.10→0.15%)과 경기(0.23%→0.26%)는 상승폭이 커졌다.지난달 서울의 주택 전월세전환율은 4.7%로 전월과 동일한 수준을 유지했고, 아파트는 3월과 같은 4.2%로 조사됐다.
/연합뉴스
전세 낙폭 줄고 월세는 상승폭 확대…서민 주거비 부담 커져지난 3월 대선 이후 재건축·재개발 규제완화, 부동산 세제 감면 등에 대한 기대감으로 지난달 서울의 주택가격이 석 달 만에 상승 전환된 것으로 나타났다.16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지난달 서울 주택(아파트·연립주택·단독주택 통합) 가격은 전월 대비 0.04% 상승했다.
서울 주택가격은 연초 대출 규제와 극심한 거래 가뭄 여파로 2월과 3월 두 달 연속 각각 -0.04%, -0.01%의 하락세를 보였다.
그러나 대선 이후 새 정부의 재건축·재개발 등 정비사업 규제 완화와 다주택자 양도세·종합부동산세 등 보유세 감면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 가격이 상승 전환된 것으로 풀이된다.유형별로 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0.01% 하락했으나 낙폭은 전월(-0.07%)보다 크게 둔화됐고, 연립주택은 지난 3월 -0.01%에서 4월에는 0.01%로 상승 전환됐다.
단독주택 매매가격은 지난 3월 0.32%에서 4월 0.36%로 상승폭이 확대됐다.
서울의 주택종합 매매가를 구별로 보면 대통령실 이전 호재가 있는 용산구가 0.15% 올라 상승세가 두드러졌고, 강남구(0.14%)와 서초구(0.12%) 등 강남권 역시 규제완화에 대한 기대로 상승했다.3월 하락세를 보였던 인천과 경기지역 주택가격도 4월에는 각각 0.01%, 0.03% 올라 상승 전환됐다.
이에 따라 수도권 주택가격도 0.03% 올라 2개월 연속 이어진 하락세를 멈추고 오름세로 돌아섰다.
인천과 경기도의 아파트값은 각각 0.05%, 0.06% 내려 낙폭이 축소됐고 연립주택은 각각 0.10%, 0.18% 상승해 전월보다 오름폭이 커졌다.지방 주택시장도 4월 들어 상황이 개선된 모습이다.
지방 5대 광역시의 주택가격은 0.04% 하락해 전월(-0.06%)보다 하락폭이 축소됐다.
다른 지방은 0.09%로 올라 전월(0.07%)보다 상승폭이 확대되면서 전국의 주택가격도 3월 0.02%에서 4월에는 0.06%로 오름폭이 커졌다.
지난달 수도권 주택 전세(-0.03%)는 약세가 이어졌지만 전월(-0.08%)보다 하락폭은 줄었다.
3월 대선을 전후해 대출 전세자금대출이 재개되면서 급전세가 소화된 영향이다.
서울 주택 전셋값은 0.04% 떨어져 2월 이후 3개월 연속 하락세가 지속됐으나 전월(-0.06%)보다는 낙폭이 축소됐다.
인천은 3월 -0.26%에서 4월 -0.08%로, 경기는 -0.06%에서 4월 -0.01%로 하락폭이 줄었다.
이런 영향으로 전국의 주택 전셋값은 3월 0.02% 하락에서 4월은 0.01% 상승으로 반전됐다.
전국의 주택 월세가격은 지난 3월 0.14%에서 4월 0.15%로 상승폭이 커졌다.
특히 준월세(0.18%)와 월세(0.20%)의 오름폭이 전월보다 확대되며 서민들의 주거비 부담이 커진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의 주택 월세가격은 0.04%로 올라 전월(0.06%)보다 오름폭이 줄었지만 인천(0.10→0.15%)과 경기(0.23%→0.26%)는 상승폭이 커졌다.지난달 서울의 주택 전월세전환율은 4.7%로 전월과 동일한 수준을 유지했고, 아파트는 3월과 같은 4.2%로 조사됐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