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구처럼 놀면 나만의 AI 완성"…SKT 인공지능 슈퍼앱 '에이닷'
입력
수정
지면A13
자체개발 거대언어모델 적용SK텔레콤이 새로운 대화형 인공지능(AI) 서비스 ‘에이닷(A.)’을 내놨다. 콘텐츠 감상부터 일정 관리, 학습, 생활정보 제공 등 이용자가 필요한 모든 서비스를 앱 안에서 해결할 수 있는 ‘슈퍼 앱’으로 진화시켜 나갈 계획이다.
일상 대화 나누고 OTT 재생
외형은 물론 목소리까지 설정
안드로이드 오픈 베타 버전
원스토어·구글플레이서 다운

이현아 SK텔레콤 AI&CO 담당은 “스마트폰의 앱이 늘어나고 있지만 고객이 원하는 기능을 찾아 앱을 설치하고 이용하는 데 대한 부담이 커지고 있다”며 “에이닷 같은 AI 서비스는 이런 탐색 비용을 줄여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애플의 시리, 삼성전자 빅스비 같은 AI 서비스와의 차별점에 대해선 “기존 서비스가 음성 서비스였다면 에이닷은 시각화된 서비스로 빠르게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며 “우리의 지향점은 고객의 시간을 절약해주고 심심할 때는 즐길 거리를 제공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에이닷에는 SK텔레콤이 자체적으로 개발한 거대언어모델(GPT-3)의 한국어 특화 버전이 적용됐다. 이를 통해 고객과 한국어로 자유 주제 대화가 가능해졌다. 하지만 학습이 필요한 AI 언어 모델 특성상 서비스 초기에는 사실이 아닌 답변이나 맥락을 벗어난 대화가 나올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 때문에 정식 출시가 아닌, 오픈 베타 형태로 공개하면서 이용자들의 피드백을 받고 있다. 이상호 SK텔레콤 최고기술책임자(CTO)는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수집할 때 개인정보와 편향정보를 필터링했지만 혐오 발언을 완벽하게 막을 수는 없다”며 “이런 답변에 대해 화면 내 ‘나빠요’ 피드백을 해준다면 꾸준히 개선될 것”이라고 말했다.에이닷은 우선 안드로이드 기반 스마트폰 고객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시작한다. 애플 iOS 버전은 다음달 출시 예정이다. 통신사와 관계없이 누구나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출시 프로모션으로 SK텔레콤 고객은 에이닷 서비스에 필요한 데이터를 무료로 받는다.
하반기에는 이용자가 좋아할 만한 콘텐츠를 먼저 찾아 재생해주는 ‘마이 TV’ 등 신규 기능도 추가한다. 이후에도 영어학습, 사진 관리, 컨시어지 등 다양한 서비스를 선보인다. 외부 회사와 제휴해 서비스 영역도 확대할 계획이다.
이승우 기자 leesw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