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성車 'ESG 회초리'에…부품사들, 탄소중립 시동

앞다퉈 저공해 소재 개발 나서
배출가스 줄이고 유해성분 대체
부품업계 "인력·예산 지원 필요"
현대자동차와 기아에 디젤 엔진용 실린더 블록과 헤드 등을 공급하는 대동금속은 작년 12월 19억4000만원을 투자해 환경 설비를 교체했다. 완성차 업체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눈높이에 맞춰 분체도장설비와 흡착탑, 집진기와 철편(사용 후 남은 금속 부스러기) 회수 컨베이어벨트 시스템 등을 새로 도입했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설비 교체 효과는 상당하다. 도장설비의 탄화수소 배출량은 기존 31.4ppm (1ppm·공기 1㎥당 1cc)에서 3.4ppm으로 89% 줄었다. 집진기는 미세먼지 배출량을 23.4㎎/㎥에서 3㎎/㎥로 87% 감소시켰다. 철편 회수 시스템으론 연간 3.7t의 고철 폐기물을 재활용하는 효과를 거뒀다.22일 업계에 따르면 친환경 설비를 도입하거나 저공해 소재 개발에 뛰어드는 등 ESG 경영 확산을 대비하는 자동차 부품업체가 부쩍 늘었다.

현대차와 기아에 차량용 웨더 스트립과 브레이크 호스 등 고무 제품을 납품하는 화승알앤에이는 관계사 화승소재를 통해 친환경 소재인 바이오 특수고무(TPV)를 개발했다. 사탕수수와 옥수수, 콩 등에서 유래한 바이오 성분을 55% 이상 함유해 석유화학 제품에서 유해한 성분을 대체했다.

탄소 배출량에도 신경 썼다. 바이오 TPV 400㎏을 완성하는 데 평균 300㎾h의 전기가 사용된다. 같은 양의 고무를 만들 때보다 전력 소비량이 30%가량 적다. 에너지 소모량이 줄면서 탄소 배출량도 함께 줄어든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자동차 부품업계에 친환경 바람이 거세진 것은 완성차 업체들이 앞다퉈 ESG 경영을 선언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대차와 기아, 현대모비스 등은 지난달 글로벌 탄소중립 프로젝트 RE100에 가입했다. 2050년까지 제조 공정에 필요한 모든 에너지를 재생에너지를 통해 조달하겠다는 의미다. 탄소중립 계획도 내놨다. 기아와 현대모비스는 2040년, 현대차는 2045년, 현대위아는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고 밝힌 상태다. 자동차 부품업계 관계자는 “공급망 탄소중립이 새로운 ESG 트렌드로 부상하면서 부품업체의 친환경 전환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와 완성차 업체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사내에 ESG 전문가를 갖춘 기업이 드물고, 예산도 턱없이 부족하다는 게 대다수 부품업체의 토로다.

자동차 내장재 제조기업 A사 관계자는 “자체 연구개발로 친환경 제품을 개발하기는 했지만 제품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이 얼마나 되며, 설비와 공정 개선을 통해 어느 정도 감소시킬 수 있는지 확인하는 게 매우 어렵다”고 했다.

김진원 기자 jin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