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신저 "우크라, 전쟁 전 영토상황 인정한 채로 협상 나서야"

"두 달 내 협상 시작 필요…우크라, 유럽의 경계 아닌 중립적 완충국 돼야"
국제정치의 거목으로 평가받는 헨리 키신저 전 미 국무부 장관은 23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가 러시아를 상대로 완전한 승리를 얻으려 하지 말고 조속히 협상에 나서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키신저 전 장관은 이날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린 세계경제포럼 연차총회에서 "우크라이나가 러시아군에 참패를 안기려는 시도는 유럽의 장기적 안정에 재앙적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고 영국 일간 텔레그래프가 보도했다.

1970년 '핑퐁 외교'로 대변되는 미중 냉전 화해의 설계자로 통하는 키신저 전 장관은 국제적 분쟁이 있을 때마다 현실론에 입각한 갈등 완화, 세력 간 균형을 줄곧 강조해 왔다.

그는 러시아의 침공에 맞서 격전 중인 우크라이나가 이번 전쟁 이전에 러시아에 빼앗겼던 영토마저 회복하겠다는 태도를 버려야 하며, 미국을 비롯한 서방 국가들도 당장의 분위기에 휩쓸려 전쟁을 더 길게 끌고 가기보단 협상을 지지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키신저 전 장관은 "극복할 수 없는 격변과 긴장을 촉발하지 않으려면 협상을 두 달 안에 시작해야 한다"며 "이상적으로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경계선은 개전 전 상태(status quo ante)로 돌아가는 것이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우크라이나 동부 돈바스 지역에선 올해 2월 개전 전부터 친러시아 분리주의 세력이 일부 영토를 점유한 채 도네츠크인민공화국(DPR)과 루간스크인민공화국(LPR) 등을 세우고 우크라이나 정부군과 산발적으로 충돌해왔다.

러시아는 DPR과 LPR을 정식 국가로 인정하면서 러시아계 주민들을 보호한다는 빌미로 우크라이나를 침공했다. 러시아는 DPR과 LPR이 위치한 도네츠크주와 루한스크주 전역을 점령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삼고 있지만, 우크라이나는 DPR과 LPR 등으로부터 이들 지역을 모두 수복하고 2014년 러시아가 병합한 크림반도까지 되찾겠다는 의지를 보여왔다.

이에 대해 키신저 전 장관은 "개전 직전의 경계를 넘어 영토를 찾으려는 건 러시아 자체에 대한 새로운 전쟁"이라며 "유럽의 지도자들은 세력균형의 보증인 역할을 해 온 러시아와의 장기적 관계를 잊어선 안 된다"고 했다.

또 "우크라이나가 해야 할 일은 유럽의 국경이 아닌 중립적인 완충국가가 되는 것"이라며 "우크라이나인들이 이미 보여준 영웅적 행동을 지혜와 결합하길 바란다"고 제안했다. 현실정치(realpolitik)에 방점을 둔 키신저 전 장관의 언급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후 고조된 에너지 위기와도 맞닿아 있다고 텔레그래프는 분석했다.

미국에 이어 유럽연합(EU)이 러시아산 원유 금수 카드로 대러 제재에 나서고 있지만 전쟁이 장기화하면 러시아에 에너지 의존도가 높은 EU 회원국들 사이에 균열이 발생하고 제재가 한계에 도달할 공산이 크므로 장기전을 피해야 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로베르트 하벡 독일 부총리는 이번 다보스 포럼에서 "독일은 러시아산 원유 금수 조치의 충격을 견딜 준비가 돼 있지만 몇몇 다른 국가들은 마치 아무 일 없는 듯 거래를 유지하고 싶어 한다"고 했다.

서방 국가들의 대러 제재 동력이 각국의 이해관계 앞에서 약화하고 있다는 점을 드러내는 단면으로 풀이된다.

미국 정치권에서도 우려가 나온다.

크리스토퍼 쿤스(민주·델라웨어) 연방 상원의원은 "푸틴 대통령은 서방이 (대러 제재에) 초점을 잃을 것이라고 믿고 있다.

그건 우리가 직면한 진정한 도전"이라고 지적했다. 미국 은행 뱅크오브아메리카의 프란시스코 블랜치 애널리스트는 "현재 석유 시장 수급이 매우 타이트하다"며 "유럽과 북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아시아 국가들 모두 위험할 정도로 원유 재고가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고 진단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