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합실 대신 홍합 분비 물질로 끊어진 신경 잇는 기술 개발
입력
수정
포항공대·이화여대·서울성모병원 공동연구…국제학술지에 게재 절단된 신경을 수술용 봉합실 없이 홍합에서 추출한 단백질을 이용해 이어붙일 수 있는 기술이 나왔다. 포항공대(포스텍)는 화학공학과 차형준 교수·정호균 박사 연구팀과 이화여대 화공신소재공학과 주계일 교수,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성형외과 전영준 교수·이종원 교수·재활의학과 이종인 교수 연구팀이 공동으로 홍합접착단백질 기반 의료용 하이드로젤 접착제를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신경은 재생이 어려운 조직 중 하나여서 절단되면 봉합실을 이용해 정교하게 이어붙이는 것이 유일한 치료법이었다.
이 방식은 의료진 숙련도가 높아야 하고 시간이 매우 오래 걸리며 봉합실로 관통할 때 가해지는 2차 손상에 의해 신경 재생이 방해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연구팀은 홍합이 바위와 같은 젖은 고체 표면에 붙어 있기 위해 분비하는 물질인 홍합접착단백질을 젤리 형태의 광가교 하이드로젤 접착제 형태로 만들어 문제를 극복하고자 했다.
이 접착제는 빛을 쬐지 않았을 때 액상으로 존재하고 가시광선을 쬐면 하이드로젤 상태로 순식간에 변하며 접착력이 생긴다.
연구팀이 개발한 접착제로 신경을 이으면 신경의 2차 손상을 막고 환부의 면역 염증반응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연구 결과는 최근 화학공학분야 최고 권위 국제 학술지인 '케미컬 엔지니어링 저널'에 실렸다.
차형준 교수는 "혁신 원천 소재인 홍합접착단백질 기반의 신경재생용 무해 의료접착제로 수술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환자 증세도 개선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신경은 재생이 어려운 조직 중 하나여서 절단되면 봉합실을 이용해 정교하게 이어붙이는 것이 유일한 치료법이었다.
이 방식은 의료진 숙련도가 높아야 하고 시간이 매우 오래 걸리며 봉합실로 관통할 때 가해지는 2차 손상에 의해 신경 재생이 방해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연구팀은 홍합이 바위와 같은 젖은 고체 표면에 붙어 있기 위해 분비하는 물질인 홍합접착단백질을 젤리 형태의 광가교 하이드로젤 접착제 형태로 만들어 문제를 극복하고자 했다.
이 접착제는 빛을 쬐지 않았을 때 액상으로 존재하고 가시광선을 쬐면 하이드로젤 상태로 순식간에 변하며 접착력이 생긴다.
연구팀이 개발한 접착제로 신경을 이으면 신경의 2차 손상을 막고 환부의 면역 염증반응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연구 결과는 최근 화학공학분야 최고 권위 국제 학술지인 '케미컬 엔지니어링 저널'에 실렸다.
차형준 교수는 "혁신 원천 소재인 홍합접착단백질 기반의 신경재생용 무해 의료접착제로 수술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환자 증세도 개선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