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세차 한 대 빌리는데 2000만원?…수십억 '쩐의 전쟁'
입력
수정
지방선거 D-5…선거의 경제학제8회 전국지방동시선거를 앞두고 유권자들이 후보자 검증으로 바쁜 시기, 그 이면에는 선거 특수를 노리는 지역 소상공인들의 경쟁이 있다. 공보물 인쇄부터 차량 대여, 선거 용품 제작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주문이 폭증하면서 지역 소상공인들도 ‘선거 특수’를 누리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인다.
출마자만 7616명…2년 전 총선때의 7배
공보물 인쇄 등 지역 소상공인 '반짝 특수'
선관위, 후보 낸 6개 정당에 490억 보조금
단독 출마땐 무투표…선거운동 안해 '비용 0'
특히 이번 지방선거는 구·시·도의원 등은 물론 교육감과 국회의원 보궐 선거까지 동시에 치러지면서 출마자 수가 무려 7616명에 이른다. 2020년 제21대 총선 당시 등록된 후보자(1101명)의 7배가 넘는다. 인쇄물과 홍보 트럭 수도 그만큼 더 들어간다. 정치권에선 ‘선거의 경제학’이라는 용어가 나올 정도다.
후보자의 학력·경력·재산·전과 등 관련 자료와 정당별 공약이 세세하게 담긴 공보물의 경우 분량과 종이 질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제작 및 발송에 최대 수십억원이 든다. 지난 지방선거에선 총 6억4650만부의 공보물이 인쇄됐다.
선거송도 최고의 홍보수단이다. ‘잘 만든 선거송, 열 공약 안 부럽다’라는 말이 나돌 정도다. 최근엔 중독성 있는 멜로디로 후보자들의 이름과 정책을 잘 표현할수 있는 트로트 장르가 대세다. 지난 대선에선 이찬원 ‘진또배기’, 영탁 ‘찐이야’ 등이 불렸다. 사용료는 천차만별이지만 한국음악저작권협회에 따르면 대개 한 곡당 200만~300만원 가량 드는 것으로 알려진다. 가수와 상관없이 저작권자인 작사·작곡가의 사용 허락만 받으면 쓸 수 있다. 이 밖에 선거 운동원 모집부터 모자, 의상, 선거 사무실 임대료도 그야말로 ‘억’ 소리가 난다.
선거 비용 ‘0원’으로 투표 전 당선을 확정지은 후보도 있다. 경쟁 후보 없이 단독 출마한 경우다. 이 경우 선거운동이 금지된다. 중앙선관위에 따르면 이번 지방선거에서 투표없이 당선된 후보자는 총 494명에 이른다. 4년 전에 비해 5배 가량 늘었다. 정치 지형이 극심하게 양극화한 결과로 해석된다. 광주·전북·전남에서는 민주당 후보 68명이, 대구·경북·경남에서는 국민의힘 후보 87명이 무투표로 당선됐다.
서희연 기자 cub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