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O "원숭이두창 확산, 의료폐기물 통해 전파됐을 수도"
입력
수정
의료폐기물 때문일 수 있다는 우려원숭이두창이 확산하는 것은 의료폐기물 부실 관리 때문일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설치류가 바이러스 전파했을 가능성
방역당국, 격리 필요성 검토
지난 2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세계동물보건기구(WOAH) 야생동물 분과 윌리엄 카레시 대표는 세계보건기구(WHO)가 주최한 언론 브리핑에서 "아프리카 외부 지역에서 확산하는 원숭이두창을 비롯한 감염병이 인간의 의료폐기물을 통해 동물로 전파되며 널리 퍼졌을 수 있다"고 말했다.그는 "코로나19 사태에서처럼 설치류가 의료 폐기물을 물어가며 바이러스를 전파했을 가능성을 생각해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교외 지역 병원에서 의료폐기물을 야외에 방치한 경우 등이 있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카레시 박사는 동물에서 인간으로 원숭이두창 바이러스가 전파한 것으로 보고 있지만, 어떤 종을 통해 감염됐는지는 여전히 불확실하다고 설명했다.원숭이두창 바이러스는 1958년 원숭이에서 처음 발견됐으며, 다람쥐와 쥐 등 여러 다른 동물도 걸릴 수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천연두와 증상이 비슷한 원숭이두창 인간 감염 사례는 1970년 처음 보고됐으며 이후 중·서부 아프리카에서 풍토병이 됐다. 나이지리아에서는 2017년부터 원숭이두창 감염자가 계속 나오고 있다.
지난달 7일 영국에서 감염 사례가 나온 이후 유럽과 미주·중동·호주 등지에서도 확진자가 속출하고 있다. WHO는 1일까지 비 풍토병 지역 30여 개국에서 550건 이상의 원숭이두창 감염 사례가 확인됐다고 밝혔다.전문가들은 아프리카 풍토병으로 알려진 원숭이두창이 아프리카 여행과 관계없이 유럽에서 퍼지자 그 원인을 찾고 있다.
한편 방역 당국은 원숭이두창이 전 세계 30개국으로 확산한 가운데 원숭이두창 확진자와 접촉한 사람에 대한 격리 필요성 검토를 진행한다.
고재영 중앙방역대책본부 위기 소통팀장은 같은 날 출입기자단 온라인 백브리핑에서 "향후 원숭이두창 확진자가 발생할 경우 자가 격리가 아닌 병원을 통한 치료가 이뤄질 것"이라며 "다만 원숭이두창 위험도 평가를 계속 진행하며 격리와 격리 수준에 대해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김현덕 한경닷컴 기자 khd9987@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