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인건비 65%·한화 55%↑…高물가→高임금 '악순환' 시작
입력
수정
지면A3
주요 대기업 15곳 임금 1년새 24% '껑충'LG그룹 계열사들은 올 들어 ‘보너스 잔치’를 벌였다. 올해 초 각각 기본급의 1000%, 850%를 성과급으로 지급한 LG이노텍과 LG화학이 대표적 사례다. 역대급 실적에 걸맞은 성과급을 요구한 직원들의 요구를 사측이 받아들인 것이다.
대기업 월급 700만원 육박
치솟는 물가에 실질 구매력 '뚝'
근로자 임금인상 요구 거세져
MZ세대 SNS로 정보 공유하며
회사 압박…인상폭 더 키워
기업 실적·경제성장률 악화
기업 "재료비·인건비 오르는데
제품 가격 올릴 수밖에 없어"
고용 줄이고 소비 덩달아 감소
물가·임금發 경기침체 '경고등'
LG 계열사만이 아니다. 주요 대기업의 1분기 인건비는 지난해 동기보다 20% 넘게 늘었다. 벌써부터 경제계에선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생산성 향상이 동반되지 않은 인건비 상승은 기업의 경쟁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지적이다. 고(高)물가가 임금 인상을 유발하고 재차 물가 상승으로 이어지는 ‘임금 인플레이션(wage inflation)’이 한국 경제의 복병으로 떠올랐다는 분석도 나온다.
LG 계열사 인건비 50%↑
6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 1분기 LG에너지솔루션 삼성바이오로직스 LG화학 현대자동차 기아 등 시가총액 기준 상위 비금융 상장사 15곳의 인건비(급여총액 기준)는 6조7833억원으로 집계됐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를 비롯해 인건비를 공시하지 않은 기업을 제외한 시가총액 상위 업체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다.15개 대기업의 1분기 인건비는 작년 같은 기간(5조4615억원)과 비교해 24.2%(1조3218억원) 늘었다. 올 1분기 말 조사 대상 회사 직원 수는 23만7185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0.2% 감소했음을 감안하면, 1인당 인건비 지급액이 25%가량 늘었다는 계산이 나온다.조사 대상 대기업 가운데 LG에너지솔루션의 인건비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이 회사의 올 1분기 인건비는 344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5.6%(1365억원) 증가했다. 지난 1분기 말 임직원 수가 9721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21.2%(1701명) 늘어난 데다 기본급의 450%를 성과급으로 지급한 결과다.
한화솔루션(55.3%) LG화학(54.3%) LG이노텍(49.1%) 등도 올 인건비가 작년 동기 대비 50% 안팎 급증했다. LG전자는 스마트폰 사업을 접으면서 올 1분기 말 직원 수(3만4987명)가 12.1% 줄었다. 하지만 명예퇴직자 위로금 등이 반영되면서 전체 인건비는 되레 20.3%가량 늘었다.이들 회사를 비롯해 300명 이상 대기업의 1분기 임금은 전년 동기 대비 13.2% 증가했다. 분기 증가율 기준으로 2018년 1분기(16.2%) 후 가장 높았다. 임금이 뜀박질한 것은 기업들 실적이 늘어나면서 성과급 인상 요구가 빗발쳤기 때문이란 분석이 나온다. ‘MZ세대(밀레니얼+Z세대)’가 SNS를 통해 임금, 성과급 등의 회사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임금 인상을 요구하는 것도 급격한 임금 인상의 원인으로 작용했다는 지적이다.
경제계 관계자는 “뛰는 물가에 대응해 실질 구매력 수준을 유지하려는 근로자들의 임금 인상 요구가 거세졌다”고 설명했다. 올 5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5.4%(전년비 기준)를 기록해 13년9개월 만에 가장 높았다.
임금 인상→물가 상승 악순환 우려
과도한 임금 인상폭이 기업 실적과 경제 성장률을 갉아먹을 것이라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원자재 가격이 뛰는 데다 임금 상승 요구가 확산되자 기업들이 재료비·인건비를 제품 가격에 전가하거나 고용을 줄이는 방식으로 대응할 가능성이 높다는 설명이다.‘물가 상승→임금 상승→고용 감소·제품 가격 인상→물가 상승’의 악순환 고리가 생겨날 수 있다는 의미다. 인건비 상승에 직면한 기업이 고용을 줄이면 가계 소득·씀씀이도 덩달아 감소한다.벌써부터 기업의 생산·투자는 움츠러들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4월 산업 생산과 설비투자는 전월 대비 각각 0.7%, 7.5% 하락했다. 올 하반기에 악순환이 본격화할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된다. 한국은행은 4월 발간한 ‘최근 노동시장 내 임금 상승 압력 평가 및 시사점’ 보고서에서 “최근 임금 상승 압력이 커지고 있다”며 “올 하반기 이후 임금 상승률이 높아지면서 ‘물가 상승→임금 상승→ 물가 추가 상승’의 악순환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한국은행이 기준금리 인상 속도를 높이는 등의 방식으로 적극적인 대응에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장민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정책당국이 인플레이션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않으면 스태그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 급등)을 불러올 수 있다”고 경고했다.
김익환 기자 love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