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포트폴리오] 도시재생 뉴딜사업지 투자 전망은
입력
수정
한경닷컴 더 라이피스트얼마 전 정부는 전국 250곳을 선정해 지역 혁신거점으로 조성하는 등 3대 전략 5대 과제를 주요 내용으로 한 도시재생 뉴딜 로드맵을 발표했다. 정부의 주요 국정과제 중 하나인 도시재생 뉴딜사업이 본격화되는 모양새다. 향후 정부에서 전국 낙후지역 500여 곳을 선정해 5년간 총 50조 원을 투입한다고 하니 낙후된 도심지역은 개발로 인한 부동산 가치상승은 물론 지역경제 활성화마저 기대하는 분위기다.
현행법 하에서 도시재생 뉴딜사업은 도시의 기존 틀을 유지하면서 주거환경을 개선하고 도시 활력을 높이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는 만큼 전면철거방식보다는 현지개량방식으로 진행될 예정이다.우리나라의 도시재생사업은 수년 전에도 전국 여러 지방자치단체에서 의욕적으로 추진한 적이 있었지만 주민홍보 및 자금조달에 한계를 보이면서 부동산시장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다. 전면철거방식인 재개발·재건축과 달리 현지개량방식이라는 도시재생사업의 속성상 사업시행자나 조합원 입장에서 사업성이 떨어진다는 근본적인 한계성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최근 수년간 전국의 집값 상승을 서울의 재개발·재건축이 주도하자 도시재생 뉴딜사업 대상지로 선정만 되면 대상 지역이나 주변 지역의 부동산 가격이 급등할 것이라고 부추기거나 막연히 기대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은 듯하다. 하지만 이는 재개발·재건축 등 도시정비사업이 전면철거방식으로 진행돼 사업성이 담보되는 반면 도시재생 뉴딜사업의 경우 현지개량방식으로 진행돼 그렇지 못하다는 본질적 차이를 간과한 것이다. 더욱이 정부에선 도시재생 뉴딜사업 대상지 일대 부동산시장에 관한 별도의 관리방안을 마련해 투기세력을 사전차단하고 만일 과열양상을 보일 경우 대상지 선정에서 아예 배제하는 것도 고려하고 있다고 한다. 지난해 서울이 사업 후보지에서 빠지는 등 부동산시장이 과열양상을 보이는 지역을 배제하려는 방침이 대표적이다. 단기 투자 관점보다는 장기 실거주 관점에서 접근하는 편이 좋다.
다만 중앙정부 사업인 도시재생 뉴딜사업과 별개로 최근 서울시가 자체적으로 추진하는 재생사업지 몇 곳은 눈여겨볼 만하다. 서울 강남북의 신흥 인기 투자처인 성동구 성수동과 강동구 암사동 일대가 대표적이다. 이들 두 곳에서는 지역의 특색 있는 산업이나 관광상품 등을 테마로 한 도심 재정비가 이뤄지고 있다.
"외부 필진의 기고 내용은 본지의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독자 문의 : the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