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학과 신입생 1400명…석·박사 포함 매년 2000명 배출
입력
수정
산업계 요구 인력 수준에는 크게 못미쳐…"1년에 3000명 부족"
이과 쏠림·문과 공동화 가속…정원 확대 신중해야 한다는 의견도윤석열 대통령이 반도체 인재 양성을 강력하게 주문한 가운데 산업계가 요구하는 인력 규모에 맞춰 관련 학과 대학 정원이 얼마나 늘어나게 될지 관심이 쏠린다.10일 대학 정보공시 사이트인 대학알리미와 입시업계에 따르면 2023학년도 반도체 관련학과 신입생 모집 규모(정원)는 총 1천382명이다.
지역별로는 서울권이 475명, 경기권이 269명 등 수도권이 744명이고 지방이 638명이다.
이 중 기업들과 채용조건을 계약한 주요 7개 대학 계약학과의 신입생 모집 정원은 360명이다.계약학과는 졸업 후 채용을 조건으로 기업이 대학과 협약을 맺어 학비 등을 제공하고 입학생을 모집하는 학부 과정이다.
2023학년도 기준으로 반도체 계약학과의 경우 연세대 시스템반도체공학과(삼성전자) 50명, 고려대 반도체공학과(SK하이닉스) 30명, 성균관대 반도체시스템공학과(삼성전자) 70명, 서강대 시스템반도체공학과(SK하이닉스) 30명, 한양대 반도체공학과(SK하이닉스) 40명, 경북 포항공과대 반도체공학과(삼성전자) 40명, 한국과학기술원 반도체시스템공학과(삼성전자) 100명을 선발한다.
계약학과 외에도 국민대 전자공학부(지능형반도체융합전자전공) 95명, 동국대 물리반도체과학부 65명, 세종대 반도체시스템공학과 63명 등 전국 28개 대학에서 총 1천382명의 신입생을 모집한다.학부뿐 아니라 석·박사까지 포함하면 반도체 전공자 수는 조금 더 늘어난다.
교육부에 따르면 현재 배출되는 전문학사 이상 석·박사까지 반도체 전공자는 한해 약 2천 명으로 추산된다.
기업과 채용조건을 협약한 4년제 일반대학 반도체 계약학과와 전문대학 이상 반도체 직접 관련 학과의 정원내·외 인원까지 모두 합한 추계다.이외에 부품소재학과, 화공학과 등 반도체 공정에 필요한 학문을 전공한 인원까지 모두 포함하면 한해 배출되는 인원은 약 2만4천500명 정도다.
다만, 반도체 공정에서 필요한 전공을 어느 범위까지 포함할 것인지 기준에 따라 다를 수 있어 교육부는 산업통상자원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관련 부처와 함께 세밀한 산업 수요 추계를 내고 있다.
교육부 관계자는 "관계부처에서 산업계 현장 의견을 들어 (반도체 관련 전공으로) 설정한 범위에서 추산한 수치"라며 "산업체 수요 측면과 학교 공급 측면에서 차이가 있어 정확한 수치는 정밀하게 다듬어가는 과정에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한덕수 국무총리는 전날 SK하이닉스를 방문한 자리에서 "5개 부처 장관이 전화회의를 했다.
여기서 어떻게 인재 양성을 할 것인지, 수도권과 지방의 교육기관과 대학을 어떻게 증원할지 논의했고 공감대를 이룬 숫자가 있다"고 밝혔다.
현재의 반도체 인력 양성 규모가 산업계에서 요구하는 정도에 부족하다는 지적은 한참 전부터 나왔다.
한국반도체산업협회에 따르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제조사들과 소재·부품·장비(소부장) 기업 등 국내 반도체 업계에서 부족한 인력은 1년에 3천여명 수준으로 파악된다.
협회는 향후 10년간 누적 부족 인력이 3만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그러나 학령인구 감소와 대학 입시 현실을 고려했을 때 정원 확대 규모를 더 신중하게 생각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미 반도체 관련 학과가 개설된 대학 중에도 서울 주요 대학과 지방 대학 사이 학생들의 선호도 차이가 있는 데다, 현재 대입에서 발생하고 있는 이과 쏠림과 문·이과 불균형 문제가 심화할 수 있다는 우려다.
취업 문제와 문·이과 통합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에서 이과가 유리한 현상 등으로 초·중·고 학생들은 이미 이과로 쏠리기 시작했는데, 취업이 유망한 반도체 학과 정원이 늘어날 경우 이과 쏠림 현상은 더 심해져 지방뿐 아니라 서울 대학까지도 인문계열 학과는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현재 이과 상위권 학생이 선호하는 의대 3천여 명, 약대 1천700명, 치대 600~700명 선발에 더해 반도체 학과 정원까지 늘어나면, 이들 학과에 상위권 학생들이 쏠릴 수밖에 없다"며 "그렇게 되면 문과는 '공동화 현상'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교수 수급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
반도체 산업의 특성상 교수들이 이미 변화한 산업의 트렌드를 따라가지 못할 수 있다는 우려다.교육부 관계자는 "기술이 빨리 바뀌는 반도체 산업 상황을 고려한다면, 교수 채용 역시 부담일 수밖에 없다"며 "이 때문에 보다 유연한 체제의 계약학과를 만들고자 여러 부분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이과 쏠림·문과 공동화 가속…정원 확대 신중해야 한다는 의견도윤석열 대통령이 반도체 인재 양성을 강력하게 주문한 가운데 산업계가 요구하는 인력 규모에 맞춰 관련 학과 대학 정원이 얼마나 늘어나게 될지 관심이 쏠린다.10일 대학 정보공시 사이트인 대학알리미와 입시업계에 따르면 2023학년도 반도체 관련학과 신입생 모집 규모(정원)는 총 1천382명이다.
지역별로는 서울권이 475명, 경기권이 269명 등 수도권이 744명이고 지방이 638명이다.
이 중 기업들과 채용조건을 계약한 주요 7개 대학 계약학과의 신입생 모집 정원은 360명이다.계약학과는 졸업 후 채용을 조건으로 기업이 대학과 협약을 맺어 학비 등을 제공하고 입학생을 모집하는 학부 과정이다.
2023학년도 기준으로 반도체 계약학과의 경우 연세대 시스템반도체공학과(삼성전자) 50명, 고려대 반도체공학과(SK하이닉스) 30명, 성균관대 반도체시스템공학과(삼성전자) 70명, 서강대 시스템반도체공학과(SK하이닉스) 30명, 한양대 반도체공학과(SK하이닉스) 40명, 경북 포항공과대 반도체공학과(삼성전자) 40명, 한국과학기술원 반도체시스템공학과(삼성전자) 100명을 선발한다.
계약학과 외에도 국민대 전자공학부(지능형반도체융합전자전공) 95명, 동국대 물리반도체과학부 65명, 세종대 반도체시스템공학과 63명 등 전국 28개 대학에서 총 1천382명의 신입생을 모집한다.학부뿐 아니라 석·박사까지 포함하면 반도체 전공자 수는 조금 더 늘어난다.
교육부에 따르면 현재 배출되는 전문학사 이상 석·박사까지 반도체 전공자는 한해 약 2천 명으로 추산된다.
기업과 채용조건을 협약한 4년제 일반대학 반도체 계약학과와 전문대학 이상 반도체 직접 관련 학과의 정원내·외 인원까지 모두 합한 추계다.이외에 부품소재학과, 화공학과 등 반도체 공정에 필요한 학문을 전공한 인원까지 모두 포함하면 한해 배출되는 인원은 약 2만4천500명 정도다.
다만, 반도체 공정에서 필요한 전공을 어느 범위까지 포함할 것인지 기준에 따라 다를 수 있어 교육부는 산업통상자원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관련 부처와 함께 세밀한 산업 수요 추계를 내고 있다.
교육부 관계자는 "관계부처에서 산업계 현장 의견을 들어 (반도체 관련 전공으로) 설정한 범위에서 추산한 수치"라며 "산업체 수요 측면과 학교 공급 측면에서 차이가 있어 정확한 수치는 정밀하게 다듬어가는 과정에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한덕수 국무총리는 전날 SK하이닉스를 방문한 자리에서 "5개 부처 장관이 전화회의를 했다.
여기서 어떻게 인재 양성을 할 것인지, 수도권과 지방의 교육기관과 대학을 어떻게 증원할지 논의했고 공감대를 이룬 숫자가 있다"고 밝혔다.
현재의 반도체 인력 양성 규모가 산업계에서 요구하는 정도에 부족하다는 지적은 한참 전부터 나왔다.
한국반도체산업협회에 따르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제조사들과 소재·부품·장비(소부장) 기업 등 국내 반도체 업계에서 부족한 인력은 1년에 3천여명 수준으로 파악된다.
협회는 향후 10년간 누적 부족 인력이 3만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그러나 학령인구 감소와 대학 입시 현실을 고려했을 때 정원 확대 규모를 더 신중하게 생각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미 반도체 관련 학과가 개설된 대학 중에도 서울 주요 대학과 지방 대학 사이 학생들의 선호도 차이가 있는 데다, 현재 대입에서 발생하고 있는 이과 쏠림과 문·이과 불균형 문제가 심화할 수 있다는 우려다.
취업 문제와 문·이과 통합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에서 이과가 유리한 현상 등으로 초·중·고 학생들은 이미 이과로 쏠리기 시작했는데, 취업이 유망한 반도체 학과 정원이 늘어날 경우 이과 쏠림 현상은 더 심해져 지방뿐 아니라 서울 대학까지도 인문계열 학과는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현재 이과 상위권 학생이 선호하는 의대 3천여 명, 약대 1천700명, 치대 600~700명 선발에 더해 반도체 학과 정원까지 늘어나면, 이들 학과에 상위권 학생들이 쏠릴 수밖에 없다"며 "그렇게 되면 문과는 '공동화 현상'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교수 수급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
반도체 산업의 특성상 교수들이 이미 변화한 산업의 트렌드를 따라가지 못할 수 있다는 우려다.교육부 관계자는 "기술이 빨리 바뀌는 반도체 산업 상황을 고려한다면, 교수 채용 역시 부담일 수밖에 없다"며 "이 때문에 보다 유연한 체제의 계약학과를 만들고자 여러 부분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