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밀꽃 필 무렵' 동이는 허생원의 아들이었을까? [책X책]
입력
수정
'책X책'은 같은 주제를 다룬 다른 책, 저자·출판사 등은 달라도 곁들여 읽으면 좋을 책들을 소개합니다."산허리는 온통 메밀밭이어서 피기 시작한 꽃이 소금을 뿌린 듯이 흐뭇한 달빛에 숨이 막힐 지경이다. 붉은 대궁이 향기같이 애잔하고 나귀들의 걸음도 시원하다."이효석의 소설 '메밀꽃 필 무렵'은 여름 빌딩 숲의 독자를 단숨에 잡아채 가을 달빛 흐드러지는 메밀꽃밭에 던져놓는다. 눈앞에서 장돌뱅이 셋이 줄지어 지나갈 것만 같다. 허 생원은 "장선 꼭 이런 날 밤이었네" 하며 성 서방네 처녀와의 하룻밤 인연 이야기를 시작하고, 곧 아비를 모른 채 태어나 자랐다는 동이가 자기처럼 왼손잡이라는 것을 알아차릴 것이다.
한 편의 서정시 같은 단편소설 '메밀꽃 필 무렵'은 1936년 10월 잡지 <조광>을 통해 '모밀꽃 필 무렵'이라는 제목으로 처음 공개됐다. 표준어가 바뀌도록 시간이 흘렀지만 여전히 독자들에게 읽힌다. 80년 넘는 세월, 무수한 독자들은 똑같은 질문을 품었다. 동이랑 허 생원은 제천에 갔을까? 그러니까, 두 사람은 정말 부자(父子) 사이였을까?이런 호기심은 또 다른 창작을 낳는다. 최근 발간된 <대산문화> 2022년 여름호에는 김원우, 하창수, 전성태, 서수진, 이주란, 소유정 등 여섯 작가가 '메밀꽃 필 무렵'을 이어쓰는 특별기획이 실렸다. <대산문화>는 대산문화재단이 발행하는 문예교양지다.'이어쓰기'이자 '다시 쓰기'다. 예컨대 소설가 서수진은 원작에서는 언급될 뿐 발화하지 않던 성씨 처녀를 화자로 채택했다. 성정순이라는 이름도 지어준다. 그녀는 허 생원 이전에 소운이라는 인물을 마음에 담았다. 동이는 사실 허 생원이 아닌 소운의 아들이다. 그녀를 뒤흔드는 건 태동뿐이 아니다. 소운과 허 생원을 향한 애증에 떠밀려 메밀꽃 사이로 쓰러진다.
1947년에 태어나 1977년에 등단한 중견소설가 김원우 작가부터 등단 4년차 소유정 문학평론가까지. 여섯 사람은 '메밀꽃 필 무렵'을 제각기 새로 읽어낸다.<대산문화>는 이처럼 선배 문인의 명단편을 이어쓰는 기획을 지속적으로 선보이고 있다. 닻을 올린 건 2015년 여름호. 황순원 탄생 100주년을 기념해 그의 제자와 후배 소설가들이 '소나기'의 감동과 여운을 이어갈 단편소설 다섯 편을 선보였다.이 기획을 발전시켜 책으로 낸 게 <소년, 소녀를 만나다>(전상국 등 지음, 김종회·황순원문학촌소나기마을 엮음, 원작 황순원, 문학과지성사)다.
작가의 면면이 화려하다. 전상국, 박덕규, 김형경, 이혜경, 서하진, 노희준, 구병모, 손보미, 조수경. 등단 연차를 따졌을 때 50년의 세월을 아우르는 국내 주요 작가의 글을 한 자리에서 만날 수 있다. 이들은 '황순원에게 직접 문학을 배운 제자, 혹은 그 제자에게서 문학을 익힌 제자'라는 공통점이 있다. 책을 읽다보면 황순원이 여전히 한국 문학의 거대한 스승으로 살아 있다는 사실을 새삼 깨닫게 된다.'메밀꽃 필 무렵'에 대한 후배 문인들의 상상력을 좀더 즐기고 싶다면 <메밀꽃 질 무렵>(김도연 외 지음, 단비)도 함께 읽어볼 만하다. 강원도 출신 작가 여섯 명이 '메밀꽃 필 무렵'의 여운과 감동을 이어받을 단편소설을 썼다.이효석의 고향은 강원도 평창군 봉평면이다. 서울 유학으로 고향을 떠난 뒤 1942년 평양에서 숨을 거둘 때까지 타향살이를 했다. 이효석의 '들'에는 이런 구절이 나온다. "고향을 꾸미는 것은 사람이면서도 그리운 것은 더 많이 들과 시냇물이다." 그가 내내 그리워했을 메밀꽃은 올 가을에도 새로 필 것이다.
구은서 기자 k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