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토론회 개최한 與…"학과 늘리기 아닌 전문인력·교수 필요해"

김병욱 의원 주최 반도체 전문인력 육성 토론회
정부-산업-대학 협업해 수요 맞는 학·석박사 균형 양성해야
"정원 확대보다 단기 이수 과정·대학 컨소시엄 등 대안이 먼저" 의견도
사진=한경DB
국민의힘이 최근 윤석열 정부의 반도체 산업 강화 기조에 발 맞춰 반도체 산업에 대한 지원책을 모색하고 나섰다.

김병욱 국민의힘 의원은 14일 ‘반도체 전문인력 육성을 위한 교육 개혁 방안 마련 토론회’를 열었다. 지난 국무회의 당시 윤 대통령이 “교육부를 비롯해 전 부처가 인재 양성을 위해 특단의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언급한 것에 대한 후속조치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반도체 전문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가 대학 관련학과 증원과 교수 확보뿐 아니라 정부 주도 연구과제 확대, 설비 예산 투자 등 다각적으로 지원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김성재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는 "전문인력 배출을 위한 인프라가 절대 부족하고 유학 후 귀국하는 인력 공급이 한계에 도달했다"며 "국내외 특히 국내에서 최고 기술을 교육받은 학사·박사급 인력이 모두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대학에 대해서는 연구개발, 설계·디자인 등 석박사급 고급 인력과 학사급 실무인력을 동시에 양성해야 하고 '넓은 피라미드 구조'의 인력풀이 요구된다"며 "여러 학과에 산재한 반도체 분야를 전면적으로 육성해야 한다"고 제안했다.장시간에 걸친 설계·공정 실습 위주 교육과정이 필요하고 산업체와 함께 업계 수요와 연계된 실무인력 양성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고도 지적했다.

산업체는 이런 프로그램의 개발을 지원하는 동시에 소자기술뿐 아니라 소부장 등 기반기술에 대한 대학과의 협업을 확대해야 한다고 김 교수는 제안했다. 그는 특히 학부생 증원이나 교수 확보에는 대학뿐 아니라 산업체, 정부가 함께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다른 토론자들도 반도체 산업 강화를 위해 전문 인력을 육성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탁승수 한국반도체산업협회 본부장은 "반도체가 지난해 수출 1280억 달러를 달성하는 등 국가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히 높지만, 인력은 연간 1500∼2000명 정도 부족하다"며 "계약학과 등을 통해 인력을 증원할 목표를 세우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했다.

탁 본부장은 "단순히 양적으로만 인재를 늘리는 것은 의미가 없고 질적으로 인재들이 나올 수 있도록 좋은 프로그램과 실습 기자재들이 갖춰져야 한다"며 "전문 교수 인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이 부분도 같이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기창 서울대 산학협력중점교수도 "지금 배출되는 반도체 인력은 턱없이 부족하다. 반도체 학과 정원을 늘리는 방안이 필요하다"며 "연구비를 지급해 교수를 늘리고 교육 인프라가 확충돼야 한다"고 말했다.정원 확대나 학과 신설로는 인재 부족 문제를 장기적인 측면에서 해결할 수 없기 때문에 다른 대안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이정수 포스텍 전자전기공학과 교수는 "반도체 인력 부족 문제를 학과를 신설해서 해결하는 방식은 무리가 있지 않나 싶다"며 "계약학과가 아닌 반도체 학과 신설을 추진하면 취업이나 지속성 측면에서 문제가 있을 것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반도체 계약학과의 경우에도 교원 정년보장 문제가 심각하다"며 "대부분 대학원 과정이 없어 계약학과 전임 교수들이 전자과나 신소재, 화공과 겸임 교수로 대학원생을 데려와야 하는데 이 문제가 만만치 않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반도체 계약학과를 기존 전자과 내에 융합부전공으로 설치하는 방식으로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며 "지난해부터 시작한 디지털 혁신 공유대학 사업이라는 인력 양성 사업도 대안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디지털 혁신 공유대학 사업은 2026년까지 신기술 분야 핵심 인재 10만 명을 양성하기 위해 공유대학 체계를 구축하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대학들이 연합체를 만들어 신기술분야 공동 교육과정을 개발해 운영하는 방식이다. 차세대반도체 분야는 서울대가 주관이 돼 강원대, 대구대, 숭실대, 중앙대, 포항공과대, 조선이공대 등이 참여했다.

송상헌 중앙대 전자전기공학부 교수는 '마이크로 디그리'(Micro Degree·단기 이수 과정)를 대안으로 제시했다.

송 교수는 "마이크로 디그리는 세 과목 정도를 들으면 작은 학위를 주는 프로그램으로, 다른 전공 학생이 다전공을 하겠다는 큰 결심을 하지 않아도 마이크로 디그리 인증서를 받으면 취업이나 대학원 진학할 때 반도체에 대해 이미 공부 했다는 것을 증빙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학생 수는 한정돼있으므로, 먼저 그들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원하는 전공으로 유도할 수 있는지 생각해보고 그게 안 된다면 정원을 늘리는 것이 맞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장미란 교육부 산학협력정책관 직무대리는 "단기적으로 어떤 반도체 인력이 어떻게 배치돼야 할지 살펴보고 범부처적으로 민간까지 포함해서 인력 양성 방안을 만들기 위해 특별 미션팀을 구성했다"며 "되도록 이른 시일 내에 반도체 인력 양성 지원 방안을 내겠다"고 말했다.

맹진규 기자 mae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