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 덮친 S쇼크…'실적 악몽' 현실이 됐다
입력
수정
지면A1
원자재값 급등·공급망 대란에 신음
162개 상장사 올 영업이익 전망
5개월새 9.3조 감소
수출 의존도 높은
화학·조선·車부품업계 피해 '눈덩이'
15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증권사 세 곳 이상의 실적 추정치가 있는 국내 182개 상장기업(금융사 공기업 제외)의 이달 초 기준 올해 영업이익 컨센서스(시장 전망치)는 204조4534억원으로 집계됐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직전인 지난 1월 초(191조6786억원) 대비 12조7748억원(6.7%) 증가했다.문제는 글로벌 공급망 대란과 유가 상승으로 ‘슈퍼 호황’을 누리고 있는 반도체, 운수, 에너지 등 3개 업종을 제외하면 영업이익 컨센서스가 대폭 하향 조정되고 있다는 점이다. 3개 업종을 제외한 162개 상장기업의 영업이익 컨센서스는 1월 105조1683억원에서 이달 초 95조7840억원으로 9조3843억원(8.9%) 감소했다. 23개 업종 중 절반을 넘는 13개 업종의 영업이익 컨센서스가 1월 대비 줄었다. 화학(3조7113억원)을 비롯해 IT·게임(2조3120억원) 조선(1조1623억원) 자동차부품(1조1509억원) 업종 등의 감소폭이 컸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컨센서스가 나오지 않은 기업을 포함하면 감소폭은 더 커질 것”이라고 추정했다.
경영 환경 불확실성과 비용 압박으로 기업들은 설비투자를 대폭 축소하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 1분기 설비투자는 전 분기 대비 3.9% 감소했다. 2019년 1분기(-8.3%) 후 3년 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
삼성 현대자동차 SK 등 주요 그룹은 한국 경제가 복합위기에 빠져들고 있다는 판단에 따라 이달 말부터 경영전략회의를 잇달아 열어 위기 극복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강경민/박의명 기자 kkm1026@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