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단체장 취임 앞둔 대구·구미…'물싸움' 재연되나

대구 취수원 이전에 견해는 상반, "재검토 필요" vs "강력히 추진"
찬반 논란 13년 만에 현 구미시장 조건부 동의했으나 앞날 불확실
다음 달 1일로 대구시와 경북 구미시의 단체장이 동시에 바뀌면서 대구시 취수원 이전을 둘러싼 논란이 재연될지 주목된다. 16일 구미시 등에 따르면 6·1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당선된 홍준표 대구시장 당선인과 김장호 구미시장 당선인이 '대구 취수원 다변화(구미 이전)' 문제에 대해 상반된 견해를 보인다.

문재인 정부 말기 현 장세용 구미시장이 정부의 취수원 공동 활용 결정에 조건부 동의했으나, 김 당선인이 비판적 입장을 보여 앞날이 불확실하다.

김 당선인은 시장 후보 시절부터 "취수원 이전 보상과 관련해 중앙정부 지원 부분이 불분명하다"며 "지난 4월 체결된 '맑은 물 나눔과 상생발전에 관한 협정'이 구미에 이익이 되는지 등을 재검토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현 시장이) 취수원 문제를 결정하면서 여론조사나 시민 의견 수렴을 거치지 않았다"며 "시의회 등 시민들이 동의하는지를 묻겠다"는 입장을 보였다.

경북도와 구미시의회 등은 김 당선인의 우군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이철우 경북지사는 지난 2월 시의회 '대구 취수원 이전 반대특위'를 면담한 자리에서 "취수원 다변화는 구미 시민 이해와 동의 속에서만 가능한 일"이라며 "시민 동의 절차를 거친 후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구미시의회 취수원 이전 반대특위 위원장이던 윤종호 의원이 경북도의원에 당선됐고 특위 위원 6명 전원이 선거에 당선돼 반대 활동을 이어갈 전망이다.
홍준표 당선인은 대구시장 선거 과정에서 맑은 물 공급을 위해 구미 취수원 다변화 합의를 존중하고 추진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또 낙동강 상류 안동댐 등의 물을 도수관로로 연결해 공급하는 방안도 함께 추진하겠다고 했다. 그는 "해묵은 현안들을 단숨에 해결할 강력한 추진력과 결단을 갖췄다"며 취수원 이전 문제를 포함해 대구 현안을 힘있게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낙동강 물을 둘러싼 대구와 구미간 갈등 해소 문제는 최소 13년, 길게는 30년 넘게 찬반 논란을 빚어온 해묵은 과제다.

앞서 대구시는 2009년 2월 구미국가산단에서 배출되는 유해 화학물질이 대구에 수돗물을 공급하는 달성군 다사읍 매곡·문산 취수장 원수를 오염시킨다는 이유로 구미공단 상류 지역으로 취수장을 이전하도록 정부에 건의했다.

대구시는 2018년 10월 낙동강 수계에 '폐수 무방류시스템'을 도입하자고 제안하면서 취수원 이전 문제에 다시 불을 지피기도 했다.

취수원을 구미 국가산단 상류 해평취수장으로 이전하는 것에 구미시와 시민이 반발하자 당시 환경부에서 제안한 폐수 무방류시스템을 공동 검증해 불안을 없애자는 취지였다.

구미시 반대 등 논란이 벌어졌으나 13년 만인 지난 4월 국무조정실과 환경부,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구미시, 한국수자원공사는 세종시에서 '맑은 물 나눔과 상생발전에 관한 협정'(이하 협정)을 체결했다.

협정은 구미 해평취수장을 거친 하루 평균 30만t 물을 대구시 등 경북 지역에 공급하는 내용을 담았다.
그러나 구미시는 "대구 취수원을 구미로 옮기면 구미시민 식수와 구미공단 공장용수 및 농업용수 부족, 상수원 보호구역 지정으로 인한 개발 제한 등이 우려된다"며 반대해왔다.

이에 정부는 국무조정실을 통해 2017년 9월부터 대구 취수원 이전 문제 중재에 나섰다.

환경부 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회는 지난해 6월 '낙동강 통합물관리방안, 안전한 먹는 물을 위한 수질 개선과 취수원 다변화' 안건을 의결해 낙동강 수질 개선 및 취수원 다변화 정책을 뒷받침하고 나섰다.

이에 대해 구미지역 정치권과 시의회 다수파 등이 "주민 동의 없는 이번 결정은 제고돼야 한다"며 반대했다.

그러다가 지난해 8월 구미시가 환경부의 구미 해평취수장 공동 활용 결정에 '조건부 동의' 입장을 밝히면서 취수원 이전이 급물살을 탔다.

장세용 시장은 "정부의 낙동강 통합물관리방안과 '협정'에 협조하면서 지역 현안에 대한 정부와 대구시 등 지원을 끌어낼 수 있다"며 "가업 요구 1순위인 KTX 역 신설 등 전폭적 지원을 받아 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낙동강 유역 물 문제는 1991년 3월 14일 구미시 두산전자 구미공장에서 파이프가 터져 페놀 원액 30여t이 낙동강으로 흘러드는 사고가 발생하면서 비롯했다.
/연합뉴스